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皐陶謨
[傳]謨 謀也 皐陶爲帝舜謀
[疏]○傳‘謨謀’至‘舜謀’
○正義曰:孔以此篇惟與禹言, 嫌其不對帝舜, 故言‘爲帝舜謀.’ 將言爲帝舜謀, 故又訓謨爲謀, 以詳其文.
皐陶시니라
[傳]亦順考古道以言之 夫典謨 聖帝所以立治之本이니 皆師法古道하여 以成不易之則이라
[傳]迪 其也 古人也 言人君當信蹈行古人之德하고 謀廣聰明하여 以輔諧其政이라
禹曰 兪 如何
[傳]然其言하고 問所以行이라
皐陶曰 都 하며
[傳]歎美之重也 愼修其身하여 思爲長久之道
○身修 絶句
惇敍九族하면 하리니 邇可遠 在玆하니이다
[傳]言愼修其身하고 厚次敍九族하면 則衆庶皆明其敎하여 而自勉勵翼戴上命하리니 近可推而遠者 在此道니라
禹拜昌言曰 兪
[傳]以皐陶言爲當이라 拜受而然之
[疏]‘曰若’至‘曰兪’
○正義曰:史將言皐陶之能謀, 故爲題目之辭曰, “能順而考案古道而言之者, 是皐陶也.”
其爲帝謀曰 “爲人君者, 當信實蹈行古人之德, 而謀廣其聰明之性, 以輔諧己之政事, 則善矣.”
禹曰 “然.” 然其謀是也. “此當如何行之.” 皐陶曰 “嗚呼.” 重其事而歎美之.
“行上謀者, 當謹愼其己身, 而修治人之事, 思爲久長之道. 又厚次敍九族之親而不遺棄,
則衆人皆明曉上意, 而各自勉勵翼戴上命, 行之於近, 而可推而至遠者, 在此道也.” 禹乃拜受其當理之言曰 “然.” 美其言而拜受之.
[疏]○傳‘亦順’至‘之則’
○正義曰:二謨其目正同, 故云 “亦順考古道以言”也. 堯舜考古以行謂之爲典, 大禹皐陶考古以言謂之爲謨.
典‧謨之文不同, 其目皆云考古, 故傳明言其意, “夫典‧謨, 聖帝所以立治之本.”
雖言行有異, 皆是考法古道以成不易之則, 故史皆以稽古爲端目. 但君則行之, 臣則言之, 以尊卑不同, 故典‧謨名異.
禹亦爲君而云‘謨’者, 禹在舜時未爲君也. 顧氏亦同此解. 皐陶德劣於禹, 皆是考古以言, 故得同其題目.
但禹能敷于四海, 祇承于帝, 皐陶不能然, 故此下更無別辭耳.
[疏]○傳‘迪蹈’至‘其政’
○正義曰:釋詁云 “迪, 道也.” 聲借爲導, 導音與蹈同, 故迪又爲蹈也.
其德卽其上稽古, 故曰 “其, 古人也.” 而臣爲君謀, 故云 “言人君當信蹈行古人之德.” 謂蹈履依行之也.
‘謀廣聰明’, ‘聰明’者, 自是己性, 又當受納人言, 使多所聞見, 以博大此聰明, 以輔弼和諧其政.
經惟言明, 傳亦有聰者, 以耳目同是所用, 故以聰明言之. 此曰上不言皐陶, 猶大禹, 曰上不言禹.
鄭玄云 “以皐陶下屬爲句.” 則稽古之下無人名, 與上三篇不類甚矣.
[疏]○傳‘歎美’至‘之道’
○正義曰:案傳之言, 以修爲上讀, 顧氏亦同也.
[疏]○傳‘言愼’至‘此道’
○正義曰:自身以外, 九族爲近, 故愼修其身, 又厚次敍九族, 猶堯之爲政, 先以親九族也.
人君旣能如此, 則衆庶皆明其敎, 而各自勉勵翼戴上命. 昭九年左傳說晉叔向言‘翼戴天子’, 故以爲‘翼戴上命’,
言如鳥之羽翼而奉戴之. 王者率己以化物, 親親以及遠, 故從近可推而至于遠者, 在修己身‧親九族之道.
王肅云 “以衆賢明爲砥礪, 爲羽翼.” 鄭云 “厲, 作也. 以衆賢明作輔翼之臣.” 與孔不同.


謨는 謀의 뜻이다. 皐陶가 帝舜을 위하여 謀慮를 낸 것이다.
○傳의 [謨謀]에서 [舜謀]까지
○正義曰:孔氏가 이 篇은 오직 〈皐陶가〉 禹하고만 말하고 행여라도 帝舜은 상대하지 않았다고 혐의할까 염려하였다. 그러므로 ‘帝舜을 위하여 謀慮를 낸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장차 帝舜을 위해 모려한 것임을 말하려고 하였기 때문에 또 謨를 謀의 뜻으로 풀이하여 그 글을 자상하게 하였다.
옛 道를 따라 상고해서 〈말씀하신 분은〉 皐陶셨다.
역시 옛 道를 따라 상고해서 말한 것이다. 무릇 典과 謨는 聖帝가 治法을 세우는 근본이니, 모두 옛 道를 스승으로 본받아서 바꿀 수 없는 법칙을 이룬 것이다.
“신실하게 그 德을 이행하고 謀慮로 총명을 넓혀서 그 정사를 도와야 할 것입니다.”라고 하자,
迪은 蹈의 뜻이요, 厥은 其의 뜻이니, 其는 古人이다. 임금은 마땅히 신실하게 옛사람의 德을 이행하고 謀慮로 총명을 넓혀서 그 정사를 도와야 함을 말한 것이다.
禹가 말하기를 “옳거니. 어떻게 행해야 하는가?”라고 하시니,
그 말을 옳게 여기고 행할 바를 물은 것이다.
皐陶가 말하기를 “아, 훌륭한 질문이십니다. 그 몸을 신중히 닦아 길이 지속할 것을 생각하며,
단단히 탄미한 말이다. 그 몸을 신중히 닦아 장구히 지속할 방법을 생각하는 것이다.
○‘身修’에서 句를 끊는다.
九族과 관계를 돈독히 펴나가면 여러 명철한 이가 힘써 보필할 것이니, 가까운 데서 미루어 먼 데 이르는 것은 바로 이 道에 달려있습니다.”라고 하였다.
그 몸을 신중하게 닦고 九族에게 도탑게 차례로 펴나가면, 여러 사람이 모두 그 가르침을 밝게 깨달아서, 스스로 면려하여 윗사람의 命을 도와 떠받들 것이니, 가까운 데에서 미루어 멀리 이르는 것은 이 道에 달려있다는 말이다.
禹가 온당한 말에 절을 하며 “옳은 말이구려.”라고 하였다.
皐陶의 말을 온당하게 여겼기 때문에 절하고 받아들여 옳은 말이라고 한 것이다.
經의 [曰若]에서 [曰兪]까지
○正義曰:史官이 장차 皐陶의 유능한 謀慮를 말하려고 하였기 때문에 題目의 말을 만들어서 “능히 따라서 옛 道를 상고하여 말씀하신 분은 바로 皐陶셨다.”라 하였다.
그는 帝舜을 위해 謀慮를 내기를 “임금이 되신 분은 마땅히 신실하게 옛사람의 德을 이행하고 謀慮로 총명을 넓혀서 그 정사를 도와야 좋을 것입니다.”라고 하자,
禹가 말하기를 “옳소이다.”라고 하였으니, 그 謀慮의 옳은 점을 옳게 여긴 것이다. 〈禹가〉 “이것은 어떻게 행해야 하오?”라고 하자, 皐陶가 말하기를 “아.”라고 하였으니, 그 일을 중히 여겨 탄미한 것이다.
〈皐陶가〉 “최상의 謀慮를 행하는 분은 마땅히 자기 몸을 근신하고 남을 다스리는 일을 닦아 장구히 지속할 방법을 생각해야 합니다. 그리고 또 九族의 친족 관계를 도탑게 차례로 펼쳐나가 유기하지 않는다면,
여러 사람이 모두 윗사람의 뜻을 밝게 깨달아서, 각자 면려하여 윗사람의 命을 떠받들 것이니, 가까운 데서 미루어 멀리 이르는 것은 이 道에 달려있습니다.”라고 하자, 禹가 곧 절하여 그 온당한 말을 받아들이면서 말하기를 “옳소이다.”라고 하였으니, 그 말을 아름답게 여겨 절하며 받아들인 것이다.
○傳의 [亦順]에서 [之則]까지
○正義曰:二謨(〈大禹謨〉와 〈皐陶謨〉)는 그 제목이 똑같기 때문에 〈孔傳에서〉 “역시 옛 道를 따라 상고해서 말했다.”라고 한 것이다. 堯와 舜은 옛 道를 상고해서 이행했기 때문에 ‘典’이라 이르고, 大禹와 皐陶는 옛 道를 상고해서 말만 했기 때문에 ‘謨’라 이른 것이다.
典과 謨의 글이 같지 않은데, 그 제목에서 모두 ‘考古’라고 했기 때문에 孔傳에서 그 뜻을 분명하게 말하여 “무릇 典과 謨는 聖帝가 治法을 세우는 근본이다.”라고 하였다.
비록 말과 행동에 차이가 있으나 모두 옛 道를 상고해 법으로 삼아서 바꿀 수 없는 법칙을 이루었기 때문에 史官이 모두 ‘稽古’를 가지고 제목을 삼았다. 다만 임금은 이행을 하고 신하는 말로만 함은 신분의 차이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典과 謨의 이름을 다르게 한 것이다.
禹 또한 임금이 되었는데 謨라고 한 것은 禹가 舜의 시대에는 아직 임금이 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顧氏(顧彪) 또한 이 해석과 동일하다. 皐陶는 德이 禹만 못했는데도 모두 옛 道를 상고해서 말했기 때문에 그 제목을 같게 할 수 있었던 것이다.
다만 禹는 능히 文命(文敎)을 四海에 펼쳐 경건하게 帝舜을 받들었고 皐陶는 능히 그렇게 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 아래에 다시 별도의 말이 없을 뿐이다.
○傳의 [迪蹈]에서 [其政]까지
○正義曰:≪爾雅≫ 〈釋詁〉에 이르기를 “迪은 道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道는〉 소리를 차용하여 導가 되고, 導는 音이 蹈와 같기 때문에 迪이 또 蹈가 된다.
그 德은 곧 위의 ‘옛 道를 상고한 것’이기 때문에 “其는 古人을 가리킨다.”라고 하였고, 신하는 임금을 위해 謀慮하기 때문에 “임금은 마땅히 옛사람의 德을 신실하게 이행해야 함을 말한다.”라고 하였으니, 〈임금은〉 이행하고 〈신하는〉 그에 의거하여 행함을 이른 것이다.
[謀廣聰明] 聰明은 고유한 자기의 성품이기 때문에 또 마땅히 남의 말을 받아들여 보고 듣기를 많이 하여 이 聰明을 넓히고 확대하여 그 정사를 돕도록 한 것이다.
經에서는 오직 明자만을 말하였는데, 孔傳에서 또한 聰자를 둔 것은 귀와 눈이 함께 쓰이기 때문에 聰明으로 말한 것이다. 이 ‘曰’자 위에서 皐陶를 말하지 않은 것은 〈大禹謨〉에서 ‘曰’자 위에 禹를 말하지 않은 것과 같다.
鄭玄은 “皐陶를 아래로 붙여서 句를 만들어야 한다.”고 하였으니, ‘稽古’의 아래에 人名이 없어져서 이상의 3篇과 달라도 너무 달라진다.
○傳의 [歎美]에서 [之道]까지
○正義曰:孔傳의 말을 살펴보면, 修자를 위로 올려서 읽었는데, 顧氏(顧彪) 또한 같았다.
○傳의 [言愼]에서 [此道]까지
○正義曰:자기 몸 이외에는 九族이 가까운 친족이 되기 때문에 자기 몸을 신중하게 닦고 또 九族에게 차례로 돈독하게 펴나가야 하니, 堯임금이 정사를 할 때 맨 먼저 九族을 친애한 것처럼 해야 한다.
임금이 이미 능히 이와 같이 하면 여러 사람이 모두 그 가르침을 밝게 깨달아서, 각자 면려하여 윗사람의 命을 도와 떠받들 것이다. ≪春秋≫ 昭公 9년 조의 ≪左氏傳≫에서 “晉나라 叔向이 〈韓起에게 ‘晉 文公이 霸者가 되었을 때에 어찌 문물제도를 고친 일이 있었던가.〉 天子를 보좌하고 추대하였다.’고 말했다.”라고 설명했기 때문에 “윗사람의 命을 보좌하고 추대하는 것이다.”라고 한 것이니,
마치 새가 날개로 감싸듯이 받들어 추대함을 말한 것이다. 王者는 자신이 솔선하여 사물을 교화하되 친족부터 친근히 해서 멀리 미쳐가기 때문에 가까운 데서 미루어 먼 데 이르는 것은 자신을 닦고 九族을 친애하는 道에 달려있는 것이다.
王肅은 “여러 현명한 이가 砥礪가 되고 羽翼이 된다.”라 하고, 鄭玄은 “厲는 作의 뜻이다. 여러 현명한 이를 輔翼하는 신하로 삼는다.”라고 하였으니, 孔氏와는 해석이 같지 않다.


역주
역주1 曰若稽古 : 蔡傳에서는 ‘曰若’을 發語詞로 보아 “옛적의 皐陶를 살펴보건대”로 풀이하였다.
역주2 允迪厥德謨明弼諧 : 蔡傳에서는 “임금이 되어 진실로 그 덕을 이행하면 신하들의 계획하는 바가 밝지 않음이 없을 것이고 보필하는 자가 화합하지 않음이 없다.[爲君而信蹈其德 則臣之所謀者 無不明 所弼者 無不諧也]”라고 풀이하였다. 조선시대 朴世堂(1629~1703)은 ≪思辨錄≫에서 “모두 본뜻을 잃은 듯하다. 이는 바로 皐陶가 禹에게 이 道를 잘 이행하도록 바란 것이다. ‘謨明’은 본디 아랫사람이 하는 일이 아니고, ‘弼諧’ 또한 윗사람이 하는 일이다.”라고 하였다.
역주3 愼厥身修思永 : 蔡傳에서는 ‘몸을 닦기를 신중하게 할 것이며 생각하기를 심원하게 할 것이며’라고 풀이하였다.
역주4 庶明勵翼 : 淸代 兪樾은 ‘明’자는 ‘萌’자와 통하고 ‘萌’자는 ‘氓’자와 통한 것으로 보아 “서민이 면려하여 윗사람을 돕는 일을 말한 것이다.”라고 풀이하였다. ≪群經平議≫
역주5 (爲謀)[謨] : 저본에 ‘爲謀’로 되어 있으나, 盧文弨(淸)의 ≪群書拾補≫에 ‘謀’는 ‘謨’의 誤字, ‘爲’는 衍文으로 본 것에 의거하여 바로잡았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