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天惟純佑命하여 則商實하고
[傳]殷禮配天하니 惟天大佑助其王命하여 使商家百姓豐實하니 皆知禮節이라
[疏]‘率惟’至‘百姓’
○正義曰:此伊尹‧甘盤六臣等, 輔佐其君, 率循此爲臣之道, 有陳之功, 以安治有殷.
故殷有安上治民之禮, 升配上天, 享國多歷年之次所.
天惟大佑助其爲王之命, 則使商家富實百姓, 爲令使商之百姓家給人足, 皆知禮節也.
[疏]○傳‘言伊’至‘年所’
○正義曰:‘率’, 訓循也. 說賢臣佐君, 云 “循惟此道”, 當謂循此爲臣之道.
盡忠竭力以輔其君, 故有陳於世, 以安治有殷, 使殷王得安治民.
故殷得此安上治民之禮, 能升配上天. 天在人上, 故謂之‘升’. 爲天之子, 是‘配’也. 享國久長, 多歷年所.
[疏]○傳‘殷禮’至‘禮節’
○正義曰:殷能以禮配天, 故天降福. 天惟大佑助其王命, 風雨以時,
年穀豐稔, 使商家百姓豐實, 家給人足. 管子曰 “衣食足, 知榮辱. 倉廩實, 知禮節.”
罔不秉德하며 明恤小臣 屛侯甸이라
[傳]自湯至武丁 其王人 無不持德立業하고 明憂其小臣 使得其人하여 以爲蕃屏侯甸之服이라 小臣且憂得人이면 則大臣可知
[傳]王猶秉德憂臣이온 況臣下得不皆奔走 惟王此事 惟有德者擧하여 用治其君事
故一人 有事于四方이어든 若卜筮하여 罔不是孚하니라
[傳]一人 天子也 君臣務德이라 故有事於四方이면 而天下化服 如卜筮하여 無不是而信之
[疏]‘王人’至‘是孚’
○正義曰:‘王人’, 謂與人爲王, 言此上所說成湯‧太甲‧太戊‧祖乙‧武丁, 皆王人也.
無不持德立業, 明憂小臣. 雖則小臣, 亦憂使得其賢人, 以蕃屏侯甸之服.
王恐臣之不賢, 尙以爲憂, 況在臣下, 得不皆勤勞奔走, 惟憂王此求賢之事, 惟求有德者擧之, 用治其君之事乎.
君臣共求其有德, 所在職事皆治, 天子一人, 有事於四方, 天下咸化而服. 如有卜筮之驗, 無不是而信之.
賢臣助君, 致使大治, 我留不去, 亦當如此也.
[疏]○傳‘自湯’至‘可知’
○正義曰:王肅云 “王人, 猶君人也.” ‘無不持德立業’, 謂持人君之德, 立王者之事業.
人君之德在官賢人, 官得其人, 則事業立, 故傳以‘立業’配‘持德’. 明憂小臣之不賢, 憂欲使得其人, 以爲蕃屏侯甸之服也.
小臣且憂得人, 則大臣憂之可知. 侯甸尙思得其人, 朝廷思之必矣. 王肅云 “小臣, 之微者, 擧小以明大也.”
[疏]○傳‘王猶’至‘君事’
○正義曰:君之所重, 莫重於求賢. 官之所急, 莫急於得人. 故此章所陳, 惟言君憂得人, 臣能擧賢.
以王之尊, 猶尙秉德憂臣, 況其臣下得不皆奔走, 惟王此求賢之事, 惟有德者必擧之, 置於官位, 用治其君事也.
[疏]○傳‘一人’至‘信之’
○正義曰:, 故爲天子也. 君臣務求有德, 衆官得其人, 從上至下, 遞相師法,
職無大小, 莫不治理, 故天子有事於四方, 發號出令, 而天下化服, 譬如卜筮, 無不是而信之, 事旣有驗, 言如是則人皆信之.


하늘이 크게 王命을 도와 나라의 백성들을 豊實하게 하였고,
나라가 로써 하늘에 짝하니, 하늘이 크게 그 王命을 도와 나라 백성들을 豐實하게 만드니, 모두 禮節을 알았다.
의 [率惟]에서 [百姓]까지
正義曰伊尹甘盤 등 여섯 신하가 그 임금을 보좌하되, 신하된 도리를 따라 진열한 공을 세워 〈임금으로 하여금〉 나라를 안보해 다스리게 하였다.
그러므로 나라에 上天을 편안하게 하고 백성을 다스리는 가 있어 하늘에 올려가 짝하여 나라를 향유함에 연도를 지낸 바가 많았다.
하늘이 크게 그 이 될 을 도와 나라로 하여금 백성들을 富實하게 하니, 나라의 백성들로 하여금 어느 집 사람이나 모두 〈衣食에 부족함이 없이〉 풍족한 생활을 누리게 하여 모두 禮節을 알게 하였다.
의 [言伊]에서 [年所]까지
正義曰:‘’은 (따름)의 뜻이다. 어진 신하가 임금을 보좌하는 것에 대해 말하기를 “이 도리를 따라서”라고 한 것은 응당 이 “신하된 도리를 따랐다.”는 것을 이른다.
충성을 다하고 힘을 기울여서 그 임금을 보필하였기 때문에 공을 세상에 진열하여 나라를 편안히 다스렸고, 나라 으로 하여금 백성을 편안히 다스리게 했다.
그러므로 나라가 이 上天을 편안하게 하고 백성을 다스리는 를 얻어 上天에 올라가 짝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하늘이 사람 위에 있기 때문에 ‘’이라 이른 것이다. 하늘의 아들이 되었으니 이것이 “하늘에 짝한다.”는 것이다. 나라를 장구히 향유함에 연도를 지낸 바가 많았다는 것이다.
의 [殷禮]에서 [禮節]까지
正義曰나라가 능히 로써 하늘에 짝했기 때문에 하늘이 을 내린 것이다. 하늘이 크게 그 왕이 될 을 도와 제때에 바람이 불고 제때에 비가 오게 해서
곡식이 풍년이 들어 나라 백성들로 하여금 豐實하여 어느 집 사람이나 모두 〈衣食에 부족함이 없이〉 풍족한 생활을 누리게 했다. ≪管子≫ 〈牧民〉에 “衣食이 풍족하면 榮辱을 알고, 倉廩豊實하면 禮節을 안다.”라고 하였다.
王人을 가지지 않는 이가 없었으며, 소소한 신하들까지도 〈어질지 못할까〉 현저하게 걱정한 것은 〈적격자를 얻어서〉 藩屛侯甸을 삼고자 함이었다.
으로부터 武丁에 이르기까지 그 王人을 가지고 을 건립하지 않는 이가 없었으며, 그 소소한 신하들까지도 〈어질지 못할까〉 현저하게 걱정한 것은 적격자를 얻어서 蕃屏侯甸을 삼고자 함이었다. 소소한 신하까지도 적격자를 얻기를 걱정하였다면, 大臣〈도 적격자를 얻으려고 걱정한 것〉은 알 수 있는 일이었다.
하물며 〈신하들이〉 모두 분주하게 일을 하였음에랴. 이와 같았기 때문에 오직 을 가진 〈賢能한〉 사람들만을 등용하여 그 임금의 일을 다스리게 했을 뿐이다.
도 외려 을 가지고 신하에 대해 걱정하였거늘, 하물며 신하들은 모두 분주하지 않을 수 있었겠는가. 의 이 일은 오직 이 있는 이를 등용하여 그 임금의 일을 다스리게 할 뿐이었다.
그러므로 한 사람이 사방에서 일을 하게 되면, 마치 거북점이나 시초점과 같이 여겨서 〈온 천하에 한 사람도〉 이를 믿지 않는 이가 없었다.”
一人’은 天子이다. 임금과 신하가 에 힘썼기 때문에 사방에서 일을 하게 되면 온 천하 사람들이 감화하여 심복하는 것이 마치 거북점이나 시초점과 같이 여겨서 시인하고 믿지 않는 이가 없었다는 것이다.
의 [王人]에서 [是孚]까지
正義曰:‘王人’은 人心을 얻어 이 된 이를 이르니, 이상에서 말한 成湯太甲太戊祖乙武丁이 모두 王人이란 점을 말한 것이다.
〈그 王人들은〉 을 가지고 을 세우지 않는 이가 없었으며, 그 소소한 신하들까지도 〈어질지 못할까〉 현저하게 걱정하였다. 비록 소소한 신하라 할지라도 또한 어진 사람을 얻어서 蕃屏侯甸을 삼을 것에 대해 걱정하였다.
은 신하들이 어질지 못할까 싶어 오히려 걱정하였거늘, 하물며 신하들에 있어서는 모두 근로하고 분주하여 이 이처럼 어진 이를 구하는 일을 걱정하며 오직 이 있는 이를 구해 천거하여 그 임금의 일을 다스리게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임금과 신하가 다 함께 덕이 있는 이를 구하여 어디서나 職事가 모두 다스려졌으니, 天子 한 사람이 사방에서 일을 하게 되면 천하가 모두 감화하여 복종하는 것이 마치 거북점이나 시초점의 효험이 있어서 시인하고 믿지 않는 자가 없는 것과 같았다.
어진 신하들은 임금을 도와 큰 治世를 이룩하고자 하였으니, 내가 머물고 떠나가지 않는 것 또한 마땅히 이와 같이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의 [自湯]에서 [可知]까지
正義曰王肅은 “王人君人과 같다.”라고 하였다. ‘無不持德立業’은 임금의 을 가지고 王者事業을 건립함을 이른 것이다.
임금의 은 어진 사람을 벼슬시키는 일에 있으니, 벼슬에 적격자를 등용하면 사업이 건립되기 때문에 에서 ‘立業’으로 ‘持德’을 짝하였다. 소소한 신하의 어질지 못함을 현저하게 걱정한 것은 적격자를 얻어서 蕃屏侯甸으로 삼으려고 걱정한 것이었다.
소소한 신하도 적격자를 얻기를 걱정하였다면, 大臣도 〈적격자를 얻으려고 걱정한 것〉이야 알 수 있는 일이었다. 侯甸도 오히려 적격자를 얻기를 생각하였으니, 朝廷大臣도 〈적격자를 얻기를〉 생각하는 것은 필연적인 일이다. 王肅은 “小臣은 신하 가운데 미세한 것이니, 작은 것을 들어서 큰 것을 밝힌 것이다.”라고 하였다.
의 [王猶]에서 [君事]까지
正義曰:임금의 중한 일은 어진 이를 구하는 일보다 더 중한 일은 없다. 벼슬의 급한 것은 적격자를 얻는 것보다 더 급한 것은 없다. 그러므로 이 에서 베푼 것은 오직 임금은 적격자를 얻을 것에 대해 걱정하고 신하는 어진 사람을 천거하는 일만을 말하였다.
의 지존으로도 외려 덕을 갖는 일과 어진 신하를 구하는 일에 대한 걱정을 하였거늘, 하물며 그 신하들은 모두 분주하여 이 이처럼 어진 이를 구할 일에 〈대해 걱정하고〉 오직 이 있는 이를 반드시 천거하여 官位에 두어서 그 임금의 일을 다스리도록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의 [一人]에서 [信之]까지
正義曰:≪≫에 天子가 스스로를 칭하기를 ‘予一人’이라 한다고 되어 있기 때문에 〈孔傳에서 一人을〉 天子로 여긴 것이다. 임금과 신하가 덕이 있는 이를 구하기에 힘써 여러 벼슬에 적격자를 얻어서 위로부터 아래에 이르기까지 서로 번갈아 모범을 보여,
관직이 대소를 막론하고 다스려지지 않음이 없었기 때문에 天子가 사방에 일이 있을 때 호령을 한다면 온 천하 사람들이 감화하여 심복하는 것이, 비유하자면 마치 거북점이나 시초점을 시인하고 믿지 않는 자가 없는 것과 같다. 일에 이미 징험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으면 사람들이 모두 믿는다는 점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百姓 : 蘇軾은 ‘百族大姓’으로, 林之奇는 ‘百官族姓’으로, 夏僎과 蔡傳은 ‘百官著姓者’로 보았다.
역주2 (烈)[列] : 저본에는 ‘烈’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列’로 바로잡았다.
역주3 (烈)[列] : 저본에는 ‘烈’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列’로 바로잡았다.
역주4 [天] : 저본에는 없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天’을 보충하였다.
역주5 王人 : 蔡傳은 미미한 王의 신하로 보았다.
역주6 天惟純佑命……用乂厥辟 : 蔡傳은 ‘純’을 ‘純一’의 純, ‘實’을 ‘虛實’의 實로 보고 命, 實, 人, 恤, 甸, 走, 稱, 辟에 句를 끊어서 “하늘이 商나라를 도와주는 命이 純一하여 잡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商나라에 훌륭한 사람이 꽉 차있어 안으로는 著姓한 百官 및 미미한 王臣들이 德을 가지고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을 밝게 드러내지 않은 이가 없었고, 밖으로는 小臣과 藩屛의 侯甸들이 하물며 모두 분주하게 일을 하였음에랴. 이와 같았기 때문에 오직 德을 가진 사람들만이 擧用되어 임금을 도와 나라를 다스리게 하였을 뿐이다.[天佑命有商 純一而不雜 故商國有人而實 內之百官著姓 與夫王臣之微者 無不秉持其德 明致其憂 外之小臣 與夫藩屛侯甸 矧皆奔走服役 惟此之故 惟德是擧 用乂其君]”라고 풀이하였다.
역주7 (巨)[臣] : 저본에는 ‘巨’로 되어 있으나, 諸本에 의거하여 ‘臣’으로 바로잡았다.
역주8 禮天子自稱曰予一人 : ≪禮記≫ 〈玉藻〉에 “凡自稱 天子曰予一人”이라고 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