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父師若曰 王子
[傳]이라 微子 帝乙元子 故曰王子
[傳]天生紂爲亂하니 是天毒下災 四方化紂沈湎하니 不可如何


父師가 말하였다. “王子님!
比干〈이 말한 것〉은 보이지 않으나 마음이 같음은 분명하니, 글을 생략한 것이다. 微子는 帝乙의 元子이기 때문에 ‘王子’라고 한 것이다.
하늘이 혹독하게 재앙을 내리어 殷나라를 荒亂하게 만드니, 사방 사람들이 일어나서 술에 빠져 주정을 일삼고 있습니다.
하늘이 紂를 내어 荒亂하게 만드니 이것이 바로 하늘이 혹독하게 재앙을 내린 것이고, 사방 사람들이 紂에 동화되어 술에 빠지니 어떻게 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역주
역주1 比干不見……省文 : 蔡傳에서 “比干만 말한 것이 없는 것은 比干이 의리상 마땅히 죽어야 할 바에 마음을 편안히 가져서 다시 말을 함이 없었던 게 아닌가.[比干獨無所言者 得非比干安於義之當死而無復言歟]”라고 한 것에 대하여 洪奭周는 “微子의 물음은 단지 두 公의 의향만을 들으려는 것이 아니고, 곧 자신의 거취도 택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箕子의 답 또한 微子를 위해 거취문제를 짚어준 것이라 여겨진다. 比干의 마음이 箕子와 달랐다면 또한 어떻게 묵묵히 말이 없을 수 있겠는가. 鄭玄은 ‘少師(比干)가 답하지 않은 것은 꼭 죽을 생각을 가졌기 때문이다.’라고 하였고, 孔穎達은 ‘그렇다면 箕子의 본의가 어찌 꼭 삶을 구했겠는가. 다만 紂가 죽이지 않았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朱子는 ‘比干이 희생된 것은 아마 부득이해서였을 것이고, 箕子 또한 우연히 죽음을 당하지 않았을 뿐이니, 箕子와 比干의 마음은 동일한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아마 또한 孔穎達의 說을 옳게 여긴 것이었으리라.”라고 하였다. ≪尙書補傳≫
역주2 天毒降災……沈于酒酗 : 蔡傳에서는 ‘方興’을 ‘바야흐로 일어남’으로 보아 “하늘이 혹독하게 재앙을 내리어 殷나라를 황폐시키고 있는데도, 紂는 바야흐로 일어나 줄곧 술에 빠져 주정을 일삼고 있습니다.”라고 풀이하였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