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拜手稽首曰 予小子 不明于德이라 自厎不類하여
[傳]君而稽首於臣 謝前過 善也 暗於德이라 自致不善이라
欲敗度하며 縱敗禮하여 以速戾于厥躬하니
[傳]速 召也 言己放縱情欲하고 毁敗禮儀法度하여 以召罪於其身이라
[疏]傳‘速召’至‘其身’
○正義曰:釋言云 “速, 徵也. 徵, 召也.” 轉以相訓, 故速爲召也.
欲者本之於情, 縱者放之於外, 有欲而縱之, ‘縱’‧‘欲’爲一也. 準法謂之‘度’, 體見謂之‘禮’, ‘禮’‧‘度’一也.
故傳竝釋之, ‘言己放縱情慾, 毁敗禮儀法度, 以召罪於其身’也.
天作孼 猶可違어니와 自作孼 不可逭이니
[傳]孽 逃也 言天災 可避 自作災 不可逃니라
[疏]傳‘孽災’至‘可逃’
○正義曰:洪範五行傳有‘妖‧孽‧眚‧祥’, 漢書五行志說云 “凡草物之類謂之妖, 妖猶夭胎, 言尙微也.
蟲豸之類謂之孽, 孽則牙孽矣. 甚則異物生, 謂之眚. 自外來謂之祥.” 是孽爲災初生之名, 故爲災也.
‘逭 逃也’, 釋言文. 樊光云 “行相避逃謂之逭, 亦行不相逢也.”
天作災者, 謂若太戊桑穀生朝, 高宗雊雉升鼎耳, 可修德以禳之, 是‘可避’也.
‘自作災’者, 謂若桀放鳴條, 紂死宣室, 是‘不可逃’也. 據其將來, 修德可去, 及其已至, 改亦無益.
天災自作, 逃否亦同. 且天災亦由人行而至, 非是橫加災也. 此太甲自悔之深, 故言自作甚於天災耳.
旣往 背師保之訓하여 弗克于厥初하나 尙賴匡救之德하여 圖惟厥終하노이다
[傳]言己已往之前 不能修德於其初 今庶幾賴敎訓之德하여 謀終於善이니 悔過之辭


왕이 손을 이마에 얹고 머리를 땅에 대어 큰절을 하면서 말씀하였다. “나 小子는 德에 밝지 못한지라, 스스로 착하지 못하게 되어
임금인데도 신하에게 머리를 조아리는 것은 전일의 잘못을 사과하는 뜻에서이다. 類는 善의 뜻이다. 德에 어둡기 때문에 스스로 착하지 못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情欲을 부려 법도를 망가뜨리고 방종하여 禮를 무너뜨려 이 몸에 죄를 불렀으니,
速은 召의 뜻이다. 자신이 情欲을 放縱하게 하고 禮儀와 法度를 무너뜨려서 자기 몸에 죄를 불러왔다고 말한 것이다.
傳의 [速召]에서 [其身]까지
○正義曰:≪爾雅≫ 〈釋言〉에 “速은 徵(부름)의 뜻이고 徵은 召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돌아가면서 서로 풀이했기 때문에 速을 召의 뜻이라고 한 것이다.
‘欲’이란 것은 情에 뿌리를 둔 것이고 ‘縱’이란 것은 밖에 放縱하는 것이므로 情欲이 있으면 방종하게 되니, ‘縱’과 ‘欲’은 동일한 것이다. 법을 따르는 것을 ‘度’라 이르고 體現하는 것을 ‘禮’라 이르니, ‘禮’와 ‘度’는 동일한 것이다.
그러므로 傳에서 아울러 해석하기를 ‘자신이 情欲을 방종하게 하고 禮儀와 法度를 무너뜨려서 자기 몸에 죄를 불러옴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하늘이 내린 재앙은 오히려 비켜갈 수 있으나 스스로 만든 재앙은 피해갈 수가 없는 것입니다.
孽은 災의 뜻이요, 逭은 逃의 뜻이다. 하늘이 내린 재앙은 피해갈 수 있으나 스스로 저지른 재앙은 피해갈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傳의 [孽災]에서 [可逃]까지
○正義曰:劉向의 ≪洪範五行傳≫에 “妖‧孽‧眚‧祥(妖怪)”에 대한 말이 있고, ≪漢書≫ 〈五行志〉 에 “草物의 類를 ‘妖’라 이르고 妖는 夭胎와 같은 것인데 아직 미미한 것을 말한다.
蟲豸의 類를 ‘孽’이라 이르는데 孽은 牙孽이다. 심한 경우에는 異物이 생기니 그것을 ‘眚’이라 이른다. 밖으로부터 오는 것을 ‘祥(妖怪)’이라 이른다.”라고 말하였다. 이 ‘孽’은 재앙이 처음 생기는 것을 이르는 명칭이기 때문에 ‘災의 뜻이다.’라고 한 것이다.
[逭 逃也] ≪爾雅≫ 〈釋言〉의 글이다. 樊光이 “다니면서 서로 피하는 것을 ‘逭’이라 이르고, 또한 다니면서 서로 만나지 않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하늘이 내린 재앙이란 太戊 때에 뽕나무[桑]와 닥나무[穀]가 하나로 합해져서 조정에 난 일과 高宗 때에 날아가던 꿩이 솥귀로 올라가서 운 일과 같은 것을 이른다. 그래도 이 일은 德을 닦아 제거할 수 있었으니, 이것이 바로 ‘피해갈 수 있다.’라는 것이다.
스스로 만든 재앙이란 桀이 鳴條에서 추방되고 紂가 宣室에서 죽은 일과 같은 것을 이르는데, 이것이 바로 ‘피해갈 수 없다.’라는 것이다. 장차 다가올 시점에서는 덕을 닦아 제거할 수 있지만, 이미 닥친 뒤에는 고쳐도 아무 소용이 없으니,
하늘이 내린 재앙이나 스스로 만든 재앙이나 피해가고 못 피해가는 것은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것은 하늘의 재앙 또한 사람이 행하는 일로 말미암아 이르는 것이지, 뜻밖에 가해지는 재앙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것은 太甲이 깊이 후회하였기 때문에 스스로 만든 재앙이 하늘이 내린 재앙보다 심하다고 말했을 뿐이다.
이전에는 師保의 교훈을 저버려 시작을 잘하지 못했으나, 부디 바로잡아 구해주시는 德에 힘입어 마무리는 잘하도록 도모하겠습니다.”
자신이 이전에는 처음에 德을 닦지 못하였으나 지금은 부디 敎訓의 德에 힘입어 善으로 마무리 지을 것을 도모하겠다고 말한 것이니, 바로 과오를 뉘우치는 말이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