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若曰 格하라 汝衆 予告汝訓하노니
[傳]告汝以法敎
汝猷黜乃心하여 하라
[傳]謀退汝違上之心하여 無傲慢하고 從心所安하라
古我先王 亦惟圖任 共政
[傳]先王謀任久老成人하여 共治其政이라
[疏]傳‘先王’
○正義曰:此篇所言‘先王’, 其文無指斥者, 皆謂成湯已來諸賢王也.
下言‘神后’‧‘高后’者, 指謂湯耳. 下篇言 ‘古我先王, 適于山’者, 乃謂遷都之王仲丁‧祖乙之等也.
此言‘先王’, 謂先世賢王. 此旣言‘先王’, 下句‘王播告之’‧‘王用丕欽’, 蒙上之‘先’, 不言‘先’, 省文也.
播告之修커시든 不匿厥指일새
[傳]王布告人以所修之政이어든 不匿其指
[疏]傳‘王布’至‘其指’
○正義曰:上句言‘先王用舊人共政’, 下云‘王播告之脩’, 當謂告臣耳.
傳言‘布告人’者, 以下云‘民用丕變’, 是必告臣, 亦又告民.
하시며 罔有逸言일새 民用丕變하더니
[傳]王用大敬其政敎하고 無有逸豫之言하니 民用大變從化
今汝聒聒하여 하니 予不知乃所訟이로다
[傳]聒聒 無知之貌 起信險膚受之言하니 我不知汝所訟言何謂
○聒 馬云 說文皆云 拒善自用之意라하니라
[疏]傳‘聒聒’至‘何謂’
○正義曰:鄭玄云 “聒讀如‘聒耳’之聒, 聒聒, 難告之貌.” 王肅云 “聒聒, 善自用之意也.”
此傳以‘聒聒’爲‘無知之貌’, 以‘聒聒’是多言亂人之意也.
‘起信險膚’者, 言發起所行, 專信此險僞膚受淺近之言. 信此浮言, 妄有爭訟, 我不知汝所訟言何謂. 言無理也.


왕께서 이렇게 말씀하였다. “이리 가까이 오라. 너희 대중들아! 내 너희들에게 法敎를 가지고 고유하노니,
너희들에게 法敎를 가지고 고유한다고 한 것이다.
너희는 너희들의 사심을 버릴 것을 도모하여 오만하고 편안함을 따르지 말도록 하라.
너희들의 윗사람을 어기는 마음을 버릴 것을 도모하여 오만하고 마음의 편안한 바를 따르지 말도록 하라는 것이다.
옛날 우리 先王들께서 또한 오래된 노성한 사람들을 등용해서 함께 정사를 하고자 도모하셨을 때에
先王들이 오래된 노성한 사람들을 임용해서 함께 정사를 다스리고자 도모했다는 것이다.
傳의 [先王]
○正義曰:이 篇에서 말한 ‘先王’은 그 글에서 〈누구라고 딱〉 지적함이 없는 것은 成湯 이후 모든 어진 王을 다 이르기 때문이다.
아래에서 말한 ‘神后’와 ‘高后’는 湯임금을 가리킨 것이다. 下篇에서 ‘옛날 우리 先王께서 산기슭으로 도읍을 옮겨가셔서’라고 말한 ‘先王’은 도읍을 옮긴 왕인 仲丁과 祖乙 등을 이른다.
여기서 말한 ‘先王’은 先世의 어진 왕을 이른다. 여기에서 이미 ‘先王’이라고 말했기 때문에 아래 句의 ‘王께서 〈신하들에게〉 수행해야 할 정사를 布告하시면’이란 ‘王’과 ‘王께서 政敎를 아주 경건히 수행하였으며’라는 ‘王’은 위에 있는 〈先王의〉 ‘先’을 이어받아서 ‘先’을 말하지 않은 것이니, 글을 생략한 것이다.
왕께서 〈신하들에게〉 수행해야 할 정사를 布告하시면 〈신하들이〉 그 지시한 뜻을 숨기지 않고 〈그대로 실행했기 때문에〉
王이 사람들에게 수행해야 할 정사를 布告하면 〈신하들이〉 그 지시한 뜻을 숨기지 않았다는 것이다.
傳의 [王布]에서 [其指]까지
○正義曰:윗 句에서 ‘先王들께서는 노성한 사람들을 임용해서 함께 정사를 하고자 하셨으니’라고 말하였고, 아래에서 ‘왕께서 수행해야 할 일을 포고하시면’이라고 하였으니, 응당 신하에게 고했음을 이른 것이다.
傳에서 ‘사람들에게 수행해야 할 정사를 布告하면’이라고 말한 것은 아래에서 ‘백성들은 크게 변화하였는데’라고 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반드시 신하에게 고유하고 또 백성에게도 고유한 것이다.
왕께서 政敎를 아주 경건히 수행하였으며, 안일한 말을 하는 일이 없었기 때문에 백성들이 크게 변화하였는데,
王은 政敎를 아주 경건하게 수행하고 안일한 말을 하지 않으니, 백성들이 크게 변하여 교화되었다는 것이다.
지금 너희들은 수다스럽게 떠들어대면서 떨쳐 일어나 늘어놓는 말들이 험악하고 얄팍하니, 나는 너희들이 爭訟하는 말을 도저히 이해하지 못하겠다.
聒聒은 無知한 모양이다. 떨쳐 일어나서 늘어놓는 말들이 험악하고 얄팍하니, 나는 너희들이 하소연하는 말이 무엇을 이르는 것인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聒은 馬融이 “≪說文解字≫에서 모두 ‘善을 거역하고 자기 마음대로 행동하는 뜻이다.’로 다루었다.”라고 하였다.
傳의 [聒聒]에서 [何謂]까지
○正義曰:鄭玄은 “聒은 ‘귀가 아프도록 지껄이고 떠든다.[聒耳]’는 聒처럼 읽으니, 聒聒은 고유하기 어려운 모양이다.”라고 하였다. 王肅은 “聒聒은 자신만 옳다고 여기기 좋아하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이 傳에서 ‘聒聒’을 ‘無知한 모양’이라고 한 것은 聒聒이 바로 말을 많이 해서 사람을 혼란스럽게 하는 뜻이기 때문이다.
[起信險膚] 떨쳐 일어나서 늘어놓는 말들이 험악하고 얄팍한 것이다. 이런 부랑한 말을 믿고 망령되이 爭訟을 하고 있으니, 나는 너희들의 쟁송하는 말이 무엇을 이르는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곧 이치에 맞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無傲從康 : ‘無’자가 ‘傲慢’과 ‘從康’에 모두 걸리니, 곧 오만하지도 말고 마음의 편안함을 따르지도 말도록 하라는 뜻이다.
역주2 舊人 : 蔡傳에서는 ‘世臣‧舊家의 사람’으로 보았다.
역주3 王用丕欽 : 蔡傳에서는 世臣‧舊家의 사람들을 크게 공경하는 것으로 풀이하였다.
역주4 起信險膚 : 蔡傳에서는 “백성들에게 믿음을 일으키는 것이 모두 험악하고 얄팍한 말들이다.[凡起信於民者 皆險 膚淺之說]”라고 풀이하였다.
역주5 (爲)[僞] : 저본에는 ‘爲’로 되어 있으나, “明監本에는 ‘爲’가 ‘僞’로 되어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僞’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