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4)

상서정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惟克商하시니 遂通道于九夷八蠻이어늘
[傳]四夷慕化하여 貢其方賄 九‧八 言非一이라 皆通道路하니 無遠不服이라
西旅厎貢厥獒한대
[傳]西之長 致貢其獒 犬高四尺曰獒 以大爲異
太保乃作旅獒하여 用訓于王하니라
[傳]陳貢獒之義하여 以訓諫王이라
[疏]‘惟克’至‘于王’
○正義曰:惟武王旣克商, 華夏旣定, 遂開通道路於九夷八蠻,
於是有西戎旅國致貢其大犬名獒. 太保召公乃作此篇, 陳貢獒之義, 用訓諫於王.
[疏]○傳‘四夷’至‘不服’
○正義曰:曲禮云 “其在東夷‧西戎‧南蠻‧北狄.” 經擧‘夷’‧‘蠻’則戎狄可知.
‘四夷慕化 貢其方賄’, 言所貢非獨旅也. 四夷各自爲國, 無大小統領, “九‧八言非一也.”
釋地云 “九夷‧八狄‧七戎‧六蠻, 謂之四海.” 又云 “八蠻在南方, 六戎在西方, 五狄在北方.” 上下二文, 三方數目不同.
明堂位稱九夷‧八蠻‧六戎‧五狄, 與爾雅上文不同. 周禮職方氏掌四夷‧八蠻‧七閩‧九貉‧五戎‧六狄之人.
鄭衆云 “四‧八‧七‧九‧五‧六, 周之所服國數也.” 徧檢經傳, 四夷之數, 參差不同,
先儒舊解, 此爾雅殷制, 明堂位及職方竝爾雅下文云 八蠻在南, 六戎在西, 五狄在北, 皆爲周制, 義或當然.
明堂位言六戎‧五狄, 職方言五戎‧六狄, 趙商以此問鄭, 鄭答云 “戎狄但有其國數, 其名難得而知.” 是鄭亦不能定解.
言“克商, 遂通道.” 是王家遣使通道也. 魯語引此事, 韋昭云 “通道, 譯使懷柔之.”
是王家遣使通彼, 彼聞命來獻也. 言其通夷蠻而有戎貢, 是四夷皆通道路, 無所不服.
[疏]○傳‘西戎’至‘爲異’
○正義曰:‘西戎之長’, 謂旅國之君.
‘致貢其獒’, 或遣使貢之, 不必自來也.
‘犬高四尺曰獒’, 釋畜文. 左傳晉靈公有犬謂之獒. 旅國以犬爲異, 故貢之也.


武王이〉 나라를 쳐서 승리하시니, 드디어 九夷八蠻에 길이 통하였거늘,
사방 오랑캐들이 〈나라의 德政을〉 흠모한 나머지 교화되어 그 지방 토산물을 공물로 바쳤다. ‘’와 ‘’은 하나뿐이 아님을 말한 것이다. 〈九夷八蠻에〉 모두 도로를 개통하였으니, 아무리 멀어도 복종하지 않는 오랑캐가 없었다는 것이다.
서쪽 ‘’란 나라에서 큰 개를 공물로 바치자,
西戎의 우두머리가 그 지방 개를 공물로 바쳤다. 개의 키가 4인 것을 ‘’라 하니, 큰 것을 특이하다고 여긴 것이다.
太保가 곧 〈旅獒〉를 지어서 (무왕)을 訓諫하였다.
개를 공물로 바친 내용을 진술하여 訓諫하였다.
의 [惟克]에서 [于王]까지
正義曰武王나라를 쳐서 승리하여 중국이 이미 안정된 뒤에 드디어 九夷八蠻에 도로를 개통하니,
이에 西戎의 ‘’라는 나라가 이름이 ‘’라는 큰 개를 공물로 바쳤다. 그러므로 太保 召公이 곧 이 을 지어 공물로 개를 바친 내용을 진술하여 訓諫하였다.
의 [四夷]에서 [不服]까지
正義曰:≪禮記≫ 〈曲禮 〉에 “東夷西戎南蠻北狄에 있어서는 〈비록 크더라도 ‘’라 한다.〉”라고 하였다. 에서 ‘’‧‘’을 거론하였으니, ‘’‧‘’은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四夷慕化 貢其方賄’는 공물을 바치는 나라가 뿐이 아님을 말한 것이다. 四夷가 각자 나라를 이루었는데, 大小를 막론하고 모두 통솔하였기 때문에 “은 하나뿐이 아님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爾雅≫ 〈釋地〉에 “九夷八狄七戎六蠻四海라 이른다.”라고 하고, 또 “八蠻南方에 있고, 六戎西方에 있고, 五狄北方에 있다.”라고 하였으니, 위아래 두 글에 세 지방의 數目이 같지 않다.
禮記≫ 〈明堂位〉에는 九夷八蠻六戎五狄이라 칭하였으니, ≪爾雅≫의 윗글과 같지 않다. ≪周禮≫ 〈夏官 職方氏〉에는 “職方氏四夷八蠻七閩九貉五戎六狄의 사람을 관장했다.”라고 하였는데,
鄭衆은 “나라에 복속한 나라의 숫자이다.”라고 하였다. 經傳을 두루 점검하면 四夷의 숫자가 들쭉날쭉 동일하지 않는데,
先儒의 옛 해석에 “이 ≪爾雅≫는 나라의 제도요, ≪禮記≫ 〈明堂位〉 및 ≪周禮≫ 〈職方氏〉와 ≪爾雅≫ 〈釋地〉의 아랫글에 ‘八蠻은 남방에 있고, 六戎西方에 있고, 五狄北方에 있다.’고 한 것은 모두 나라의 제도이다.”라고 하였으니, 뜻으로 보아 혹 당연한 것도 같다.
明堂位〉에는 六戎五狄이라 말하고, 〈職方氏〉에는 五戎六狄이라 말하였기 때문에 趙商이 이것을 가지고 鄭衆에게 묻자, 鄭衆이 답하기를 “은 단지 그 나라의 숫자만 있을 뿐, 그 이름은 찾아내 알기 어렵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鄭衆도 일정한 해답을 하지 못하였다.
나라를 쳐서 승리하여 드디어 도로를 개통했다.”라고 말한 것은 바로 王家에서 사신을 보내 도로를 개통한 것이다. ≪國語≫ 〈魯語〉에서 이 일을 인용하였는데, 韋昭가 이르기를 “도로를 개통했다는 것은 통역할 수 있는 사신을 보내 회유한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王家에서 사신을 보내 저쪽과 통하니 저쪽에서 명을 듣고 와서 공물을 바친 것이다. “에 도로를 개통함에 이 공물을 바쳤다.”라고 말하였으니, 이는 四夷가 모두 도로를 개통하여 복종하지 않은 바가 없었던 것이다.
의 [西戎]에서 [爲異]까지
正義曰:[西戎之長] 旅國의 임금을 이른다.
[致貢其獒] 혹 사신을 보내와 바쳤을 것이고, 꼭 〈旅國의 임금이〉 직접 와서 바친 것은 아닐 것이다.
[犬高四尺曰獒] ≪爾雅≫ 〈釋畜〉의 글이다. ≪春秋左氏傳≫에 의하면 靈公에게 개가 있어 그를 ‘’라 일렀다 한다. 旅國에서 개를 珍異하게 여겼기 때문에 바쳤을 것이다.


역주
역주1 (旅)[戎] : 저본에는 ‘旅’로 되어 있으나, “毛本에는 ‘旅’가 ‘戎’으로 되어 있으니 疏의 標目과 딱 들어맞는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戎’으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4)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