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益曰 吁 戒哉하소서 儆戒無虞하여 罔失法度하시며
[傳]先吁後戒 欲使聽者精其言이라 度也 無億度 謂無形이니 戒於無形 備愼深이요 秉法守度 言有恒이라
罔遊于逸하시며 罔淫于樂하시며
[傳]淫 過也 遊逸過樂 敗德之原이라 富貴所忽이라 特以爲戒
하시며 去邪勿疑하소서 疑謀 勿成이라사 百志惟熙하리이다
[傳]一意任賢하고 果於去邪하며 疑則勿行이라사 道義所存於心 日以廣矣리라
罔違道하여 以干百姓之譽하시며
[傳]干 求也 失道求名 古人賤之
罔咈百姓하여 以從己之欲하소서
[傳]咈 戾也 專欲難成이요 犯衆興禍 戒之니라
無怠無荒하면 四夷하리이다
[傳]言天子常戒愼하여 無怠惰荒廢 則四夷歸往之
[疏]‘禹曰’至‘來王’
○正義曰:禹因益言謀及世事, 言“人順道則吉, 從逆則凶, 吉凶之報, 惟若影之隨形, 響之應聲.” 言其無不報也.
益聞禹語, 驚懼而言曰 “吁. 誠如此言, 宜誡愼之哉. 所誡者, 當儆誡其心無億度之事.”
謂“忽然而有, 當誡愼之. 無失其守法度, 使行必有恒, 無違常也. 無遊縱於逸豫, 無過耽於戱樂, 當誡愼之以保己也.
任用賢人勿有二心, 逐去回邪勿有疑惑, 所疑之謀勿成用之, 如是則百種志意惟益廣也.
無違越正道以求百姓之譽, 無反戾百姓以從己心之欲. 常行此事, 無怠惰荒廢, 則四夷之國, 皆來歸往之.” 此亦所以勸勉舜也.
[疏]○傳‘迪 道也’
○正義曰:釋詁文.
[疏]○傳‘先吁’至‘有恒’
○正義曰:堯典傳云 “吁, 疑怪之辭.” 此無可怪, 聞善驚而爲聲耳.
‘先吁後戒’者, 驚其言之美, 然後設戒辭, 欲使聽者精審其言.
‘虞 度’, 釋詁文.
‘無億度’者, 謂不有此事, 無心億度之. 曲禮云 “凡爲人子者, 聽於無聲, 視於無形.” 戒於無形見之事, 言備愼深也.
安不忘危, 治不忘亂, 是其愼無形也. 法度當執守之, 故以‘秉法守度’解不失, 言有恒也.
[疏]○傳‘淫過’至‘爲戒’
○正義曰:淫者過度之意, 故爲過也. 逸謂縱體, 樂謂適心,
縱體在於逸遊, 適心在於淫恣, 故‘遊逸過樂’爲文. 二者敗德之源, 富貴所忽, 故特以爲戒.
[疏]○傳‘干求’至‘賤之’
○正義曰:‘干 求’, 釋言文.
‘失道求名’, 謂曲取人情, 苟悅衆意, 古人賤之.
[疏]○傳‘咈戾’至‘戒之’
○正義曰:堯典已訓咈悉戾. 彼謂戾朋儕, 此謂戾在下, 故詳其文耳.
‘專欲難成 犯衆興禍’, 襄十年左傳文.


益이 말하였다. “아, 경계하소서. 헤아릴 것이 없을 때에 경계하여 법칙과 제도를 잃지 마시고,
먼저 감탄해놓고 뒤에 경계한 것은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 말을 정세하게 살피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虞는 度(헤아리다)의 뜻이다. ‘헤아릴 것이 없다.’는 것은 형체가 드러나지 않음을 이르니, 형체가 드러나지 않을 때에 경계하는 것은 대비하고 삼감이 완벽한 것이고, 법칙과 제도를 굳게 지키는 것은 늘 그러함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마냥 안일함에 놀지 마시고 즐거움에 지나치게 탐하지 마시며,
淫은 過(지나침)의 뜻이니, 안일함에 놀고 즐거움에 지나친 것은 德을 파괴하는 근원이다. 富貴한 사람이 소홀히 여기는 일이기 때문에 특별히 경계한 것이다.
어진 이를 임용할 때에는 두 마음을 가지지 마시고, 사악한 자를 제거할 때에는 의혹하지 마소서. 의심스러운 謀慮를 이루지 마셔야 백 가지 생각이 확장될 것입니다.
일심으로 어진 이를 임용하고 간사한 사람을 과감하게 제거하며, 의심스러우면 행하지 말아야 마음에 보존한 道義가 날마다 넓어질 것이다.
道를 어기면서 백성들의 칭찬을 구하지 마시고,
干은 求의 뜻이니, 道를 어기면서 명예를 구하는 것은 옛사람이 천하게 여겼다.
백성들의 마음을 거스르면서 자신의 욕심을 따르지 마소서.
咈은 戾(거스름)의 뜻이다. 욕심대로 오로지하면 이루기 어렵고, 대중을 범하면 禍를 일으키기 때문에 경계한 것이다.
마음을 게을리 갖지 않고 일을 거칠게 하지 않으면 사방의 오랑캐들도 왕래할 것입니다.”
天子가 항상 경계하고 신중히 하여 怠惰하거나 荒廢함이 없으면 사방의 오랑캐들도 왕래할 것이란 말이다.
經의 [禹曰]에서 [來王]까지
○正義曰:禹가 益이 謀慮를 말함이 세상일에 미침으로 인하여 “사람이 道를 따르면 吉하고 逆을 따르면 凶하니, 吉과 凶의 보답은 마치 그림자가 형체를 따르고 메아리가 소리에 응하는 것과 같습니다.”라고 말하였으니, 그 보답하지 않음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益이 禹의 말을 듣고 깜짝 놀라며 “아. 참으로 이 말씀과 같다면 마땅히 경계하고 삼가야 할 일입니다. 경계해야 할 것은 응당 마음에 헤아릴 일이 없을 때에 경계해야 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또〉 “갑자기 일이 생기면 반드시 경계하고 삼가 그 법도 지키는 일을 잃지 말아서 행실에 반드시 일정함이 있어 常道를 어김이 없도록 하소서. 마냥 편안한 데에서 멋대로 놀지 말고 즐거운 데에서 지나치게 탐하지 말아서 마땅히 근신하여 몸을 보존해야 합니다.
어진 이를 임용할 때에는 의심을 갖지 말고 사악한 자를 제거할 때에는 의혹을 갖지 말며, 의심스러운 謀慮를 끝까지 시행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와 같이 한다면 백 가지 생각이 더욱 확장될 것입니다.
정도를 어기면서 백성들의 칭찬을 구하지 마시고 백성들의 마음을 거스르면서 자신의 욕심을 좇지 마소서. 항상 이 일을 행하시고 怠惰하거나 荒廢함이 없으시면 사방 오랑캐 나라도 모두 왕래할 것입니다.”라고 하였으니, 이 또한 舜임금을 권면하기 위한 것이다.
○傳의 [迪 道也]
○正義曰:≪爾雅≫ 〈釋詁〉의 글이다.
○傳의 [先吁]에서 [有恒]까지
○正義曰:〈堯典〉의 傳에서는 “吁는 의심스러워 괴이하게 여기는 말이다.”라고 풀이하였으나 여기서는 괴이하게 여길 만한 것이 없으니, 그저 착한 말을 듣고 놀라 소리를 낸 것일 뿐이다.
[先吁後戒] 그 말의 아름다움에 놀라고 그런 뒤에 경계하는 말을 한 것은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 말을 정세하게 살피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虞 度] ≪爾雅≫ 〈釋詁〉의 글이다.
[無億度] 아직 일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에는 마음속으로 억탁(억측)하지 말아야 함을 이른 것이다. ≪禮記≫ 〈曲禮〉에 “자식 된 이는 소리가 없는 곳에서 〈부모의 목소리를〉 듣고, 형태가 없는 곳에서 부모의 모습을 보아야 할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모습이 드러나지 않은 일을 경계하는 것은 대비하고 삼감이 깊음을 말한 것이다.
편안할 때에도 위태로움을 잊지 않고, 다스려질 때에도 어지러움을 잊지 않는 것이 그 모습이 드러나지 않았을 때에 삼가는 것이다. 法度는 응당 執守해야 하기 때문에 ‘秉法守度(법도를 굳게 지킴)’를 가지고 ‘不失(잃지 말라)’을 풀이하였으니, 늘 그러함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傳의 [淫過]에서 [爲戒]까지
○正義曰:淫은 정도에 지나치다는 뜻이기 때문에 過로 풀이한 것이다. 逸은 몸을 풀어 놓는 것을 이르고, 樂은 마음에 맞는 것을 이르는데,
몸을 풀어 놓음은 안일하게 놂에 있고 마음에 맞음은 지나치게 방자함에 있기 때문에 ‘遊逸過樂’으로 문장을 지었다. 이 두 가지는 德을 파괴하는 근원인데, 富貴한 사람이 소홀하게 여기는 것이기 때문에 특별히 경계한 것이다.
○傳의 [干求]에서 [賤之]까지
○正義曰:[干 求] ≪爾雅≫ 〈釋言〉의 글이다.
[失道求名] 부당하게 사람들의 마음을 취하고 구차하게 대중의 뜻을 기쁘게 함을 이르니, 옛사람이 천하게 여겼다.
○傳의 [咈戾]에서 [戒之]까지
○正義曰:〈堯典〉에서 이미 ‘咈’을 모두 ‘戾’의 뜻으로 풀이하였다. 저기에서는 同類를 거스름을 이르고 여기에서는 아랫사람을 거스름을 이르기 때문에, 그 문장을 자상하게 썼을 뿐이다.
[專欲難成 犯衆興禍] ≪春秋≫ 襄公 10년 조에 있는 ≪左氏傳≫의 글이다.


역주
역주1 任賢勿貳 : 蔡傳에서는 “어진 이를 임용할 때에 소인배가 이간질하는 것을 ‘貳’라 이른다.[任賢 以小人間之 謂之貳]”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 孔傳에서는 ‘往來’의 往으로 본 것 같은데 朱駿聲(淸)의 ≪說文通訓定聲≫에도 “王은 假借하여 往으로 여긴다.[王假借爲往]”라고 하였다. 蔡傳에는 “九州의 밖에서 한 世代에 한 번 와서 〈天子를〉 뵙는 것을 王이라 한다.[九州之外 世一見曰王]”라고 하여 ‘王’을 왕으로 받드는 것으로 보았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