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皐陶曰 朕言하여 可厎行이리이다
[傳] 其所陳九德以下之言 順於古道하여 可致行이라
禹曰 兪 이로다
[傳]然其所陳하고 從而美之曰 用汝言하면 致可以立功이라하니라
[傳]言我未有所知하여 未能思致於善이요 徒亦贊奏上古行事而言之 因禹美之하여 承以謙辭 言之序
○襄 馬云 因也 案爾雅 作儴이니 因也
[疏]‘天聰’至‘襄哉’
○正義曰:此承上懋哉以下, 言所勉之者. 以天之聰明視聽, 觀人有德, 用我民以爲耳目之聰明.
察人言善者, 天意歸賞之. , 因討而伐之, 成其明威.
天所賞罰, 達於上下, 不避貴賤, 故須敬哉, 有土之君. 皐陶旣陳此戒, 欲其言入之, 故曰 “我之此言, 順於古道, 可致行, 不可忽也.”
禹卽受之曰 “然. 汝言用而致可以立功.” 重其言以深戒帝. 皐陶乃承之以謙曰 “我未有所知, 未能思致於善,
我所言曰徒贊奏上古所行而言之哉. 非己知思而所自能.” 是其謙也.
[疏]○傳‘言天’至‘聰明’
○正義曰:皇天無心, 以百姓之心爲心. 此經大意, 言民之所欲, 天必從之.
聰明, 謂聞見也. 天之所聞見, 用民之所聞見也. 然則聰明, 直是見聞之義, 其言未有善惡.
以下言明威, 是天降之禍, 知此聰明, 是天降之福. 此卽泰誓所云 “天聽自我民聽, 天視自我民視.”
故“民所歸者, 天命之.” 大而言之, 民所歸就, 天命之爲天子也. 小而言之, 雖公卿大夫之任, 亦爲民所歸向, 乃得居之.
此文主於天子, 故言“天視聽人君之行, 用民爲聰明.” 戒天子使順民心, 受天之福也.
[疏]○傳‘言天’至‘敬懼’
○正義曰:上句有賞罰, 故言“天所賞罰, 不避貴賤.” 此之‘達於上下’, 言天子亦不免也.
喪服鄭玄注云 “天子諸侯及卿大夫有地者皆曰君.” 卽此‘有土’ 可兼大夫以上.
但此文本意, 實主於天子, 戒天子不可不敬懼也.
[疏]○傳‘言我’至‘之序’
○正義曰:皐陶自言可致行. 禹言致可績. 此承而爲謙, 知其自言未有所知, 未能思致於善也.
思字屬上句. 王肅云 “贊贊, 猶贊奏也.” 顧氏云 “襄, 上也, 謂贊奏上古行事而言之也.”
經云曰者, 謂我上之所言也. 傳不訓襄爲上, 已從襄陵而釋之, 故二劉竝以襄爲因.
若必爲因, 孔傳無容不訓其意. 言進習上古行事, 因贊成其辭而言之也. 傳雖不訓襄字, 其義當如王說.
皐陶慮忽之, 自云‘言順可行’. 因禹美之, 卽承謙辭, 一揚一抑, 言之次序也.
鄭玄云 “贊, 明也. 襄之言暢, 言我未有所知, 所思徒贊明帝德, 暢我忠言而已, 謙也.”


皐陶가 말하였다. “제 말은 옛 道를 따른 것이어서 실행에 옮길 만한 것입니다.”
진달한 ‘九德’ 이하의 말들은 옛 道를 따른 것이어서 실행에 옮길 만하다는 것이다.
禹가 말하였다. “옳거니. 너의 말이 실행에 옮겨지면 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그 진달한 바를 옳게 여기고 따라서 아름답게 여겨 말하기를 “네 말을 쓰면 공을 세울 수 있겠다.”라고 하였다.
皐陶가 말하였다. “저는 아는 바가 있지 못하여 능히 善에 이를 것은 생각지 못하고, 상고시대에 행한 일만을 贊奏해 말씀드릴 뿐입니다.”
저는 아는 바가 있지 못하여 능히 善에 이를 것은 생각지 못하고, 한갓 또한 상고시대에 행한 일만을 贊奏해서 말씀드릴 뿐이라고 말한 것이다. 禹가 아름답게 여긴 것을 이어서 謙辭로 받았으니, 〈一揚一抑은〉 말의 차서인 것이다.
○襄은 馬融이 “因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살펴보면 ≪爾雅≫에 ‘儴’으로 되어 있으니, 因의 뜻이다.
經의 [天聰]에서 [襄哉]까지
○正義曰:이는 위의 ‘懋哉’ 이하를 이어서 힘쓸 바를 말한 것이다. 하늘의 聰明과 視聽으로써 사람에게 德이 있음을 살피되 우리 백성들을 통해서 耳目의 聰明을 삼는다.
그래서 사람들이 착하다고 말하는 자를 살필 경우, 하늘의 뜻이 그에게 돌아가서 포상을 한다. 또 하늘이 위엄한 덕을 밝히는 것이나 하늘의 위엄도 우리 백성들이 악하다고 말하는 것을 통해서 하고, 배반하면 따라서 토벌하여 그 위엄을 밝히는 것을 이룬다는 것이다.
하늘이 상을 주고 벌을 주는 일은 상하를 〈가리지 않고〉 통용하고 〈신분의〉 귀천을 불문하기 때문에 “모름지기 공경해야 합니다. 땅을 소유한 분들이시여.”라고 한 것이다. 皐陶는 이미 이와 같은 경계를 진달하였고 그 말이 받아들여지게 하려고 하였기 때문에 “저의 이 말은 옛 道를 따른 것이어서 실행에 옮길 만하니 소홀히 해서는 안 됩니다.”라고 한 것이다.
禹가 즉시 그 말을 받아들여 “옳거니. 너의 말을 사용하면 공을 세울 만함에 이를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그 말을 거듭하여 帝舜을 깊이 경계한 것이다. 皐陶는 곧 이어서 겸사하기를 “저는 아는 바가 있지 못하여 능히 善에 이를 것은 생각할 수 없고,
제가 말씀드린 바는 한갓 상고시대에 행한 일만을 贊奏해서 말씀드린 것일 뿐, 몸소 알고 생각해서 스스로 능한 바가 아닙니다.”라고 하였으니, 바로 겸사이다.
○傳의 [言天]에서 [聰明]까지
○正義曰:하늘은 무심하여 백성의 마음으로 마음을 삼는다. 이 經文의 대의는 백성이 원하는 것을 하늘이 반드시 따라줌을 말한 것이다.
‘聰明’은 듣고 봄을 이른다. 하늘이 듣고 봄은 백성을 통해서 듣고 본다. 그렇다면 聰明은 다만 보고 듣는다는 뜻일 뿐이니, 아직 善과 惡이 있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이하에서 말한 ‘明威’는 하늘이 내린 재앙이니, 이 聰明은 하늘이 내린 福이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泰誓〉에 이른바 “하늘의 들음은 우리 백성을 통해서 듣고 하늘의 봄은 우리 백성을 통해서 듣는다.”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孔傳에서〉 “백성(민심)이 돌아가는 자에게 하늘이 명을 한다.”라고 한 것이다. 크게 말하면 민심이 돌아간 바에 하늘이 명하여 천자를 삼고, 작게 말하면 비록 公‧卿‧大夫의 직임이라 하더라도 또한 민심이 돌아간 바가 되어야 곧 그 직위에 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글은 천자를 위주로 하였기 때문에 “하늘이 임금의 행동을 보고 들음은 백성을 통해 듣고 본다.”라고 한 것이니, 천자를 경계하여 민심을 순종해서 하늘의 복을 받도록 한 것이다.
○傳의 [言天]에서 [敬懼]까지
○正義曰:上句에 賞罰 관계가 있기 때문에 “하늘이 賞과 罰을 주는 일은 〈오직 善과 惡의 소재만을 따르고〉 貴와 賤을 피하지 않는다.”라고 말한 것이다. 여기의 ‘達於上下’는 天子도 면할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儀禮注疏≫ 〈喪服〉에 있는 鄭玄의 注에 “天子와 諸侯 및 卿‧大夫 등 땅을 소유한 자는 모두 ‘君’이라 한다.”라고 하였으니, 곧 여기의 ‘有土’는 大夫 이상을 겸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 글의 본뜻이 실은 天子를 위주로 했기 때문에 천자는 경건하고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음을 경계한 것이다.
○傳의 [言我]에서 [之序]까지
○正義曰:皐陶는 스스로 실행에 옮길 만하다고 말하였고, 禹는 실행에 옮겨지면 공을 세울 만함에 이를 것이라고 말하였다. 이는 이어서 겸사를 한 것이니, 그것이 “아는 바가 있지 못하여 능히 善에 이를 것은 생각지 못한다.”라고 스스로 말한 것임을 안 것이다.
‘思’字는 上句에 속한다. 王肅은 “贊贊은 贊奏와 같다.”라 하고, 顧氏(顧彪)는 “襄은 上의 뜻이니, 上古 시대에 행한 일을 贊奏해서 말한 것임을 이른다.”라고 하였다.
經에서 말한 ‘曰’은 내가 올려 말한 것을 이른다. 孔傳에서 襄을 上의 뜻으로 풀이하지 않은 것은 이미 〈〈堯典〉의〉 ‘襄陵’에서 풀이했기 때문에, 두 劉氏(劉焯‧劉炫)가 모두 襄을 因의 뜻으로 본 것이다.
만일 〈襄이〉 꼭 因의 뜻이라면 孔傳에서 그 뜻을 풀이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상고시대에 행한 일을 익히고 따라서 그 말을 도와 이루어 말했음을 이른 것이다. 孔傳에서 비록 襄자를 풀이하지 않았지만 그 뜻은 응당 王肅의 말과 같았을 것이다.
皐陶가 소홀히 여길까 염려해서 스스로 ‘제 말은 〈옛 道를〉 따른 것이어서 실행에 옮길 만한 것입니다.’라고 하자, 이어서 禹가 아름답게 여겨 곧 謙辭로 이어받았으니, 一揚一抑은 말을 해나가는 次序이다.
鄭玄은 “贊은 明의 뜻이다. 襄은 暢과 같은 말이니, ‘저는 아는 바가 있지 못하여 생각하는 것이라고는 한갓 帝德을 도와 밝히고 저의 忠言을 드러내는 것일 따름입니다.’라고 하였으니, 겸사이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 蔡傳에서는 ‘理를 따른 것이어서[順於理]’로 풀이하였다.
역주2 乃言 厎可績 : 蔡傳에서 “禹가 그 말을 시인하며 말하기를 ‘실행에 옮기면 참으로 공이 있을 것이다.’ 했다.[禹然其言 以爲致之於行 信可有功]”라고 풀이하였다. 그러나 조선 중기 金長生(1548~1631)은 ≪經書辨疑≫ 〈書傳〉에서 “栗谷(李珥)은 ‘너의 말이 장차 공적을 이룰 수 있겠다.’라고 해석하여 蔡註와 다르다. 그러나 本經에 있어서 문리가 매우 순하니 뜻을 잘 풀이한 것 같다.”라고 하였다.
역주3 予未有知思 曰贊贊襄哉 : 蔡傳에서는 ‘予未有知 思曰贊贊襄哉’로 구두를 떼고 曰을 日로 보아 “저는 아는 것은 없지만, 나날이 帝王을 돕고 도와서 다스리는 일을 이루기만을 생각할 뿐입니다.[我未有所知 惟思日贊助於帝 以成其治而已]”라고 풀이하였다. 蘇軾‧張載‧林之奇 등 諸儒들이 거의 曰을 日로 보았는데, 유독 元代의 王充耘만은 ≪讀書管見≫에서 “傳者들이 ‘思曰의 曰은 日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 것은 〈益稷〉에 ‘思日孜孜’란 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曰로 본 것이 옳고 日로 본 것은 잘못이다. 아마 皐陶는 순수한 신하였기 때문에 스스로 말하기를 ‘공이 있다는 것은 내가 어찌 감당하겠는가. 내가 생각하는 것은 또한 임금을 도와 공을 이루는 것일 뿐이다.’라고 한 것이리라. 만일 ‘날마다 부지런히 일할 것을 생각했을 따름입니다.’라고 한다면 문리를 이루지 못하고 또한 아무런 의의도 없다.”라고 하였다.
역주4 又天之……而叛之 : 문맥이 통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문장이 뒤섞이거나 誤脫字가 있는 것 같다. 우선 현 상태대도 번역해둔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