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罔不小大 好草竊姦宄어늘
[傳]草野竊盜하고 又爲姦宄於內外
[傳]六卿典士 相師效하여 爲非法度하니
小民 하여 相爲敵讐하나니
[傳]卿士既亂하고 而小人各起一方하여 爲敵讐하니 言不和同이라
今殷其淪喪 若涉大水 其無津涯하니
[傳]淪 沒也 言殷將沒亡 如涉大水 無涯際하여 無所依就
殷遂喪 越至于今이러니라
[傳]言遂喪亡 於是至於今이니 到不待久
[疏]‘微子’至‘于今’
○正義曰:微子將欲去殷, 順其去事而言曰‘父師‧少師.-呼二師與之言也.-今殷國其將不復有治正四方之事,-言其必滅亡也.-
昔我祖成湯, 致行其道, 遂其功業, 陳列於上世矣. 今我紂惟用沈湎酗醟於酒, 用是亂敗其祖之德於下.
由紂亂敗之故, 今日殷人無不小大皆好草竊姦宄. 雖在朝卿士, 相師師爲非法度之事.
朝廷之臣, 皆有辜罪, 乃無有一人能秉得中者. 在外小人, 方方各起, 相與共爲敵讐.
荒亂如此, 今殷其沒亡, 若涉大水, 其無津濟涯岸. 殷遂喪亡,-言不復久也.-此喪亡, 於是至於今, 到必不得更久也.’
[疏]○傳‘父師’至‘而言
○正義曰:以畢命之篇王呼畢公爲‘父師’, 畢公時爲太師也.
周官云 “太師〮‧太傅‧太保, 玆惟三公. 少師‧少傅‧少保曰三孤.” 家語云 “比干官則少師.” 少師是比干, 知太師是箕子也.
徧檢書傳, 不見箕子之名, 惟司馬彪注莊子云 “箕子名胥餘.” 不知出何書也. 周官以少師爲孤, 此傳言‘孤卿’者, 孤亦卿也.
考工記曰 “外有九室, 九卿朝焉.” 是三孤六卿共爲九卿也. 比干不言封爵, 或本無爵, 或有而不言也.
家語云 “.” 知比干是紂之諸父耳. 箕子則無文. 宋世家云 “箕子者, 紂親戚也.”
止言親戚, 不知爲父爲兄也. ‧王肅皆以箕子爲紂之諸父, 服虔‧杜預以爲紂之庶兄, 既無正文, 各以意言之耳.
微子以紂距諫, 知其必亡, 心欲去之, 故順其去事而言, 呼二師以告之.
[疏]○傳‘或有’至‘必亡’
○正義曰:‘或’者不定之辭, 其事欲當然, 則是有此事, 故以‘或’爲有也. 鄭玄論語注亦云 “或之言, 有也.” 不有, 言無也.
天子, 天下之主, 所以治正四方, ‘言殷其不有治正四方之事’, 言將必亡.
[疏]○傳‘我紂’至‘後世’
○正義曰:嗜酒亂德, 是紂之行, 故知‘我’, ‘我紂’也. 人以酒亂, 若沈於水, 故以耽酒爲‘沈’也.
湎然是齊同之意, 詩云 “天不湎爾以酒.” 鄭云 “天不同汝顏色以酒.”
是‘湎’謂酒變面色, 湎然齊同, 無復平時之容也. 說文云 “酗, 醟也.” 然則‘酗’‧‘醟’一物, 謂飲酒醉而發怒.
經言亂敗其德, 必有所屬, 上言‘我祖’指謂成湯, 知言‘敗亂湯德於後世’也. 上謂前世, 故下爲後世也.
[疏]○傳‘六卿’至‘中者’
○正義曰:‘士’, 訓事也, 故‘卿士’爲‘六卿典事’. ‘師師’, 言相師效爲非法度之事也.
止言‘卿士’, 以貴者尚爾, 見賤者皆然. 故王肅云 “卿士以下, 轉相師效爲非法度之事也.”
鄭云 “凡, 猶皆也.” 傳意亦然. 以‘凡’爲皆, 言卿士以下, 在朝之臣, 其所舉動, 皆有辜罪, 無人能秉常行得中正者.


殷나라 사람들은 아랫사람 윗사람 할 것 없이 草野에서는 노략질을 일삼고 〈조정의 안팎에서는〉 소란스러운 짓을 좋아하는데,
草野에서는 도둑질을 일삼고, 또 〈조정의〉 안팎에서는 소란스러운 짓을 한다는 것이다.
卿士들은 서로 본받아 불법을 자행하니, 모두 죄가 있어 常道를 가지고 中正을 얻은 자가 없거늘,
일을 맡은 六卿이 서로 본받아서 불법을 자행하니 모두 辜罪가 있어 常道를 가지고 中正을 얻은 자가 없다는 것이다.
小民들이 저마다 지방에서 일어나 서로 맞서 싸우고 있습니다.
일을 맡은 六卿이 이미 혼란을 일으켰고, 小人들이 저마다 지방에서 일어나 함께 맞서 싸우고 있다는 것이니, 곧 和同하지 못함을 말한 것이다.
지금 殷나라가 망해가고 있는 것이 마치 큰 강물을 건너는데 나루와 물가가 없는 것과 같으니,
淪은 沒의 뜻이다. 殷나라가 장차 沒亡함은 마치 큰물을 건너는데 물가가 없어서 의지해 〈뭍으로〉 나갈 곳이 없는 것과 같다는 말이다.
殷나라가 드디어 망하게 될 날이 지금 다가온 것입니다.”
드디어 망하게 될 날이 이에 지금에 이르렀으니, 〈망함이〉 이르는 것을 오래 기다릴 것이 없다는 말이다.
經의 [微子]에서 [于今]까지
○正義曰:微子가 장차 殷나라를 떠나려고 하면서 떠나는 일을 차례대로 말하기를 ‘父師님. 少師님.-두 師를 불러 그들과 말한 것이다.-지금 殷나라가 장차 다시는 사방(세상)을 다스려 바로잡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반드시 멸망할 것임을 말한 것이다.-
옛날 우리 조상 成湯은 그 道를 지극히 실천하여 功을 이루어 업적이 上世에 벌여져 있는데, 지금 우리(紂)는 술에 빠져 주정을 부려서 그 조상의 德을 후세에서 어지럽히고 망가뜨렸습니다.
紂王이 그것을 어지럽히고 무너뜨렸기 때문에 지금 殷나라 사람들이 아랫사람 윗사람 할 것 없이 모두 草野에서는 도둑질을 일삼고 〈조정의 안팎에서는〉 소란을 좋아합니다. 조정에 있는 卿士라 하더라도 서로 본받아 법도가 아닌 일을 일삼습니다.
조정의 산하들이 모두 죄가 있어 한 사람도 常道를 가지고 中正을 얻을 수 있는 자가 없고, 〈조정의〉 밖에 있는 小民들은 곳곳에서 저마다 일어나 서로 맞서 싸우고 있습니다.
荒亂함이 이와 같아 지금 殷나라가 망해가고 있는 것이 마치 큰 강물을 건너는데 나루와 물가가 없는 것과 같습니다. 殷나라가 드디어 망할 것인데-망함은 다시 오래가지 못할 것임을 말한 것이다.-그 이름을 반드시 다시 오래 기다릴 것이 없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傳의 [父師]에서 [言之]까지
○正義曰:〈畢命〉편에서 王이 畢公을 ‘父師’로 불렀으니, 畢公이 당시에 太師로 있었던 것이다.
〈周官〉에 “太師‧太傅‧太保를 〈세웠으니〉 이것이 바로 ‘三公’이고, 少師‧少傅‧少保를 ‘三孤’라 한다.”라고 하였으며, ≪孔子家語≫에 “比干은 벼슬이 少師였다.”라고 하였은즉, 少師가 바로 比干이었으니, 太師가 바로 箕子였음을 알았던 것이다.
書傳을 두루 검색해도 箕子의 이름은 보이지 않고 오직 司馬彪가 ≪莊子≫에 주석을 달기를 “箕子는 이름이 胥餘였다.”라고만 했을 뿐인데, 어느 책에 나왔는지는 알 수 없다. 〈周官〉에서 少師를 ‘孤’라고 했으니, 여기의 傳에서 ‘孤卿’이라 말한 것은 孤 또한 卿이었기 때문이다.
≪周禮≫ 〈考工記〉에 “밖으로 九室을 두어서 九卿이 조회할 때 사용하게 했다.”라고 하였으니, 三孤와 六卿이 함께 九卿이 된다. 比干에 대하여 封爵을 말하지 않았으니, 본래부터 爵이 없었거나 있었는데도 말하지 않은 것일 것이다.
≪孔子家語≫에 “比干은 紂의 친척 간으로 叔父이다.”라고 하였으니, 比干이 바로 紂의 諸父임을 〈孔安國은〉 알았을 뿐이다. 箕子에 대해서는 글이 없다. ≪史記≫ 〈宋世家〉에 “箕子는 紂의 親戚이다.”라고 하였다.
親戚이라고만 말하였으니, 父인지 兄인지는 알 수 없다. 鄭玄과 王肅은 모두 箕子를 紂의 諸父로 여겼고, 服虔과 杜預는 紂의 庶兄이라고 하였는데, 이미 正文이 없기 때문에 각각 〈자신의〉 뜻을 가지고 말했을 뿐이다.
微子는 紂가 諫言을 거절하기 때문에 그가 반드시 망할 줄을 알고 떠나려는 마음을 가졌다. 그러므로 떠나는 일〈의 이유〉를 차례대로 말하면서 두 師를 불러서 고한 것이다.
○傳의 [或有]에서 [必亡]까지
○正義曰:‘或’은 정해지지 않은 말이니, 그 일이 당연하기를 바라면 바로 이러한 일이 있기 때문에 ‘或’을 有의 뜻으로 여긴 것이다. 鄭玄의 ≪論語注≫에도 “或이라는 말은 有의 뜻이다.”라고 하였으니, 不有는 無를 말한다.
天子는 天下의 주인이기 때문에 사방을 다스려 바로잡으니, ‘殷나라가 사방을 다스려 바로잡는 일이 없음을 말한다.’라고 한 것은 장차 반드시 망할 것임을 말한 것이다.
○傳의 [我紂]에서 [後世]까지
○正義曰:술을 즐겨 德을 어지럽히는 것이 바로 紂의 행실이기 때문에 ‘我’는 ‘우리 紂’라는 점을 알았던 것이다. 사람이 술로 어지러워지는 것이 마치 물에 빠진 것과 같기 때문에 술을 즐기는 것을 ‘沈’이라 한다.
湎然은 바로 齊同의 뜻이니 ≪詩經≫ 〈大雅 蕩〉에 “하늘이 너를 술에 빠지게 하지 않으셨거늘.”이라고 하였는데, 鄭玄이 “하늘이 〈애당초〉 너의 얼굴빛을 술로 동일하게 만들지 않았다. 〈네가 스스로 술을 탐해서 얼굴빛을 동일하게 만든 것이지.〉”라고 하였으니,
이 ‘湎’은 술이 얼굴빛을 변화시켜 湎然히 동일하게 해서 다시 평시의 얼굴이 없음을 이른 것이다. ≪說文解字≫에 “酗는 醟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酗’와 ‘醟’은 같은 등속으로 술을 마시고 취해서 노기를 발함을 이른다.
經文에서 말한 ‘亂敗其德’은 반드시 소속이 있고, 위에서 말한 ‘我祖’는 成湯을 가리켜 이르니, ‘湯임금의 德을 後世에 敗亂하였다.’라는 점을 말한 것임을 알았던 것이다. ‘上’은 前世를 이르기 때문에 ‘下’를 後世로 여긴 것이다.
○傳의 [六卿]에서 [中者]까지
○正義曰:‘士’는 事의 뜻으로 풀이하기 때문에 ‘卿士’를 ‘일을 맡은 六卿’으로 여긴 것이다. ‘師師’는 서로 본받아 법도가 아닌 일을 함을 말한다.
‘卿士’만을 말한 것은 貴者가 오히려 그러함을 가지고 賤者도 다 그러하다는 것을 보인 것이다. 그러므로 王肅이 “卿士 이하가 옮아가며 서로 본받아 법도가 아닌 일을 했다.”라고 한 것이다.
鄭玄은 “‘凡’자는 ‘皆’자와 같다.”라고 하였으니, 傳의 뜻도 또한 그러하다. ‘凡’을 皆의 뜻으로 여긴 것은 卿士 이하 조정에 있는 신하들이 그 거동하는 바에 모두 辜罪가 있어 능히 常道를 가지고 中正을 행해 얻을 수 있는 사람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卿士師師非度……乃罔恒獲 : 蔡傳에서는 “위에서 卿士들은 또한 모두 법도에 어긋난 일만을 서로 본받아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감싸주어 죄를 지은 사람들도 그 죄를 받은 자가 없다.[上而卿士 亦皆相師非法 上下容隱 凡有冒法之人 無有得其罪者]”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皆有辜罪 無秉常得中者 : 兪樾은 “經文에는 ‘獲’자만 있고 ‘中’자가 없으니, 傳의 뜻은 잘못이다. 이 經文의 뜻을 자세히 살펴보면, 〈牧誓〉에 이른바 ‘오직 사방에서 죄를 많이 지고 도망해온 자들을 높이고 받들며, 믿고 부려서 이들을 大夫와 卿士로 삼았다.’는 것과 똑같은 뜻이다. ≪春秋左氏傳≫ 昭公 7년 조에 ‘周나라 文王의 法에 「도망간 자를 대대적으로 수색하라.」고 했기 때문에 문왕은 천하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고 하고, 또 ‘옛적에 武王이 紂의 罪를 꾸짖어 諸侯들에 알리기를 「紂는 천하의 도망자를 위한 임금이 되어 그들이 모이는 소굴 역할을 하였다.’고 한 것은 모두 이 經文을 설명한 것이다. 대개 文王의 法에서는 죄인이 도망하면 대대적으로 수색하여 기어이 찾으려고 하였는데, 紂는 이와 반대였다. 그러므로 당시에 도망자의 소굴이 되었으니, 죄를 지은 사람들은 언제나 잡히지 않았다. ‘罔恒獲’은 ‘常不得’과 같은 말이다. 가사 그 글을 거꾸로 한다면 ‘乃恒罔獲’이 되어 그 뜻이 밝게 나타나니, 古書의 佶屈體(난삽한 문체)가 아니다.”라고 하였다. ≪群經平議≫
역주3 方興 : 蔡傳에서는 ‘바야흐로 일어나서(마구 일어나서)’로 풀이하였다.
역주4 (其)[共] : 저본에는 ‘其’로 되어 있으나, 汲古閣本‧武英殿本에 의거하여 ‘共’으로 바로잡았다.
역주5 (當)[常] : 저본에는 ‘當’으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 및 諸本에 의거하여 ‘常’으로 바로잡았다.
역주6 [之] : 저본에는 ‘之’가 없으나, 宋刊 單疏本‧宋慶元間建安魏縣慰宅本‧宋兩浙東路茶鹽司本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7 比干是紂之親則諸父 : 王肅이 위조한 현재 통용되는 ≪孔子家語≫에는 ‘比干於紂 親則諸父’로 되어 있다.
역주8 鄭玄 : 孫星衍(淸)의 ≪尙書今古文注疏≫에는 馬融으로 되어 있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