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告汝行事之難이니 當如射之有所準志하고 必中所志라야 乃善이라
[疏]‘予告’至‘有志’
○正義曰:旣言作福作災由人行有善惡, 故復敎臣行善 “我告汝於行事之難,
猶如射之有所準志. 志之主, 欲得中也, 必中所志, 乃爲善耳.”
以喩人將有行, 豫思念之, 行得其道爲善耳. 其意言遷都是善道, 當念從我言也.
[疏]○傳‘告汝’至‘乃善’
○正義曰:此傳惟順經文, 不言喩意. 鄭玄云 “我告汝於我心至難矣. 夫射者, 張弓屬矢而志在所射, 必中然後發之.
爲政之道亦如是也. 以己心度之, 可施於彼, 然後出之.”
汝無侮老成人하며 無弱孤有幼하고
[傳]不用老成人之言이면 是侮老之 不徙則孤幼受害 是弱易之
[疏]傳‘不用’至‘易之’
○正義曰:‘老’謂見其年老, 謂其無所復知. ‘弱’謂見其幼弱, 謂其未有所識.
鄭云 “老弱皆輕忽之意也.” 老成人之言云可徙, 不用其言, 是侮老之也.
不徙則水泉鹹鹵, 孤幼受害, 不念其害, 則是卑弱輕易之也.
各長于厥居하여 勉出乃力하여 聽予一人之作猷하라
[傳]盤庚 勅臣下各思長於其居하여 勉盡心出力하여 聽從遷徙之謀
[疏]傳‘盤庚’至‘之謀’
○正義曰:於時群臣難毁其居宅, 惟見目前之利, 不思長久之計. 其臣非一, 共爲此心.
盤庚勅群臣下各思長久於其居處, 勉强盡心出力, 聽從我遷徙之謀. 自此已下皆是也.


내 너희들에게 행사의 어려움에 대해 고하노니, 활 쏘는 사람이 꼭 과녁을 맞히겠다고 다짐하듯이 해야 한다.
너희들에게 행사의 어려움에 대해 고하노니, 응당 활 쏘는 사람이 맞출 곳에 마음을 단단히 정해놓고, 반드시 마음을 정해놓은 곳을 맞히려고 하는 것처럼 하여야 곧 善하다라는 것이다.
經의 [予告]에서 [有志]까지
○正義曰:복을 짓고 재앙을 짓는 것은 사람의 행위에 善惡이 있음을 연유한 것임을 이미 말했기 때문에 다시 신하들에게 善을 행하도록 교훈하기를 “너희들에게 행사의 어려움에 대해 고하노니,
마치 활 쏘는 사람이 맞출 곳에 마음을 단단히 정해놓고, 마음을 정해놓은 곳을 맞히려고 하는 것처럼 하여야 하니, 반드시 마음을 정해놓은 곳을 맞혀야 곧 善하다.”라고 하였으니,
곧 사람이 장차 행할 일이 있으면 미리 생각하여 그 道를 행하여야 善하다는 점을 비유한 것이다. 그 뜻은 도읍을 옮기는 것이 바로 善한 도리이니, 마땅히 나의 말을 따르도록 유념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傳의 [告汝]에서 [乃善]까지
○正義曰:이 傳에서는 오직 經文만을 따랐을 뿐, 깨우치는 뜻은 말하지 않았다. 그런데 鄭玄은 이르기를 “내 너희들에게 내 마음의 지극히 어려운 것을 고하노라. 활 쏘는 사람은 활시위를 당겨 화살을 먹여서 마음을 쏠 곳에 집중하여 반드시 맞추겠다고 한 연후에 발사하니,
정사를 하는 방법도 이와 같이 한다. 나의 마음으로 헤아려서 틀림없이 저기에 시행할 수 있는 연후에 내놓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너희들은 경험 있는 노성한 사람을 업신여기지 말며 외롭고 어린 사람들을 얕보지 말고,
노성한 사람의 말을 듣지 않으면 이는 업신여기어 노인시하는 것이고, 도읍을 옮기지 않으면 외롭고 어린 사람들이 피해를 당하니, 이는 얕보아 경홀히 대하는 처사란 것이다.
傳의 [不用]에서 [易之]까지
○正義曰:‘老’는 年老하다고 봄을 이르니 아무런 지식도 없다고 여기는 것이다. ‘弱’은 幼弱하다고 봄을 이르니 아무런 식견도 없다고 여기는 것이다.
鄭玄은 “‘老’와 ‘弱’은 모두 경홀히 여기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노성한 사람은 도읍을 옮겨야 한다고 말하는데, 그 말을 듣지 않으니, 이는 그를 업신여기어 노인시하는 것이다.
도읍을 옮기지 않으면 물이 스며들어서 외롭고 어린 사람들이 피해를 받게 되는데, 그들의 피해를 생각지 않으니 이는 그들을 얕보아 경홀히 여기는 것이다.
각각 그 거주할 곳을 영구히 할 것을 생각하여 너희들의 힘을 다 내어 나 한 사람이 구상한 계획을 따르도록 하라
盤庚이 신하들에게 각각 그 거주할 곳을 영구히 할 것을 생각해서 마음과 힘을 다하여 〈내가 정한〉 遷徙의 계획을 따르도록 하라고 신칙한 것이다.
傳의 [盤庚]에서 [之謀]까지
○正義曰:이때에 여러 신하들은 그 居宅을 헐기를 어렵게 여기었으니, 오직 목전의 이익만을 보고 장구한 계획은 생각하지 않은 것이다. 그런 신하가 한둘이 아닌데 그들은 모두 이런 마음을 가졌다.
그래서 盤庚이 신하들에게 각각 그 거주할 곳을 영구히 할 것을 생각해서 마음과 힘을 다하여 내가 정한 遷徙의 계획을 따르도록 하라고 신칙한 것이다. 여기서부터 이하는 모두 이런 〈신칙하는〉 내용이다.


역주
역주1 予告汝于難 若射之有志 : 蔡傳에서는 “‘難’은 옮기는 일을 계획하기 어려운 점을 말한 것이다. 대개 遷都는 진실로 쉬운 일이 아니고 또 당시 臣民들이 윗사람에게 오만하게 하고 편안함을 따라 옮겨가려 하지 않는다. 그러나 내 결단코 遷都를 하고 말겠다는 뜻은 마치 활 쏘는 사람이 과녁을 꼭 맞히고야 말겠다는 것과 같다.”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所] : 저본에는 ‘所’가 없으나, “毛本에는 ‘主’ 위에 ‘所’자가 있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