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周公曰 嗚呼 我聞하니하며 胥保惠하며 胥敎誨할새
[傳]歎古之君臣하여 雖君明臣良이라도 猶相道告하며 相安順하며 相敎誨以義方이라
無或胥爲幻하니이다
[傳]譸張 誑也 君臣以道相正이라 下民無有相欺誑幻惑也


周公이 말씀하였다. “아! 내가 듣자오니, 옛날 사람은 외려 서로 도리로써 고해주며 서로 편하게 해주며, 서로 가르쳐주기 때문에
옛날의 임금과 신하를 탄미하여 비록 임금은 명철하고 신하는 현량하였으나 외려 서로 도리로써 고해주며, 서로 편안하게 해주며, 서로 의로운 방법으로써 가르쳐주었다는 것이다.
백성들은 아무도 서로 속이거나 현혹시키는 일이 없었답니다.
譸張’은 의 뜻이다. 임금과 신하가 도리로써 서로 바로잡았기 때문에 下民 중에 서로 속이거나 현혹시킨 자가 없었다는 것이다.


역주
역주1 古之人 猶胥訓告 : 呂祖謙(≪增修東萊書說≫)은 “옛날 사람은 그 德業이 이미 우뚝 솟았으나 신하가 외려 서로 교훈으로 고했다.[古之人 其德業巳巍巍乎其大矣 臣猶相與訓告]”로 풀이하였다. “古之人”이란 ‘人’을 孔安國은 ‘君臣’으로 풀고, 呂祖謙은 단순히 ‘사람’으로 풀었다. ‘君臣’으로 푼 쪽은 ‘胥’자가 순하게 해결되지만, ‘사람’으로만 푼 쪽은 ‘胥’자가 어설프게 해결되니, 呂祖謙의 풀이가 孔安國만 못한 것 같다. 그런데도 蔡傳은 呂祖謙을 따랐다.
역주2 譸張 : 蔡傳은 ‘譸’는 誑, ‘張’은 誕의 뜻으로 보았는데, 洪奭周(≪尙書補傳≫)는 “≪爾雅≫에 ‘「譸張」은 誑의 뜻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나의 생각에는 무릇 사물의 본래 작은 것을 과장해서 크게 하는 것을 ‘張’이라 이른 것으로 여긴다. ≪詩經≫ 〈小雅 巷伯〉에 이른바 ‘조금 벌어진 것으로 남쪽 箕星을 이루도다.[哆兮侈兮 成是南箕]’라고 한 것이 곧 그 뜻이다. 蔡傳에서 곧장 ‘張’을 誕의 뜻으로 풀이한 것은 어디에 근거한 것인지 모르겠다.[爾雅曰 譸張誑也 愚謂凡物之本小而侈之使大者 謂之張 詩所謂哆兮侈兮 成是南箕者 卽其義也 蔡傳直訓張爲誕 未知何據]”라고 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