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言遠近待之如一하여 罪以懲之하여 使勿犯하여 伐去其死道하고 德以明之하여 使勸慕하여 競爲善이라
[疏]‘無有’至‘厥善’
○正義曰:此卽遷徙之謀也. 言我至新都, 撫養在下, 無有遠之與近, 必當待之如一, 用刑殺之罪, 伐去其死道,
用照察之德, 彰明其行善. 有過, 罪以懲之, 使民不犯非法. 死刑不用, 是‘伐去其死道’. ‘伐’若伐樹然, 言止而不復行用也.
有善者, 人主以照察之德, 加賞祿以明之, 使競慕爲善, 是彰其善也. 此二句相對, 上言‘用罪伐厥死’, 下宜言‘用賞彰厥生’.
不然者, 上言用刑, 下言賞善, 死是刑之重者, 擧重故言‘死’, 有善乃可賞, 故言‘彰厥善’, 行賞是德, 故以‘德’言賞,
人生是常, 無善亦生, 不得言‘彰厥生’, 故文互.
邦之臧 惟汝衆이요
[傳]有善則群臣之功이라
邦之不臧 惟予一人 이니라
[傳]佚 失也 是己失政之罰이니 罪己之義


멀고 가까움에 관계없이 〈刑殺하는〉 죄를 써서 그들의 죽을 길을 쳐 없애버리고, 〈살피는〉 덕을 써서 그들의 착함을 표창할 것이니,
먼 사람과 가까운 사람을 동일하게 대하여 〈刑殺하는〉 죄로써 징계하여 불법을 범하지 못하게 해서 그들의 죽을 길을 쳐서 없애버리고, 〈살피는〉 덕으로써 밝혀서 권면하고 흠모하여 경쟁적으로 선행을 하도록 함을 말한 것이다.
經의 [無有]에서 [厥善]까지
○正義曰:이것이 곧 遷徙의 계획이다. 내가 새 도읍에 이르면 아랫사람들을 어루만져 양육하되 멀고 가까움에 관계없이 반드시 하나같이 대하여 刑殺하는 죄를 써서 그들의 죽을 길을 쳐 없애버리고,
살피는 덕을 써서 그들이 행한 착함을 밝게 드러낼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허물이 있을 경우에는 刑殺하는 죄를 써서 징계하여 백성들에게 불법을 범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死刑을 쓰지 않는 것이 바로 ‘그들의 죽을 길을 쳐 없애버린다.’는 것이다. ‘伐’은 마치 나무를 베듯이 하는 것이니 그치면 다시 행용하지 않음을 말한다.
착함이 있을 경우에는 임금이 살피는 덕으로써 賞祿을 가해서 밝히어 경쟁적으로 사모하여 선행을 하게 하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그 착함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 두 句는 서로 대가 되기 때문에 위에서 ‘刑殺하는 죄를 써서 그들의 죽을 길을 쳐 없애버린다.’라고 말했으면, 아래에서는 마땅히 ‘賞을 써서 그들의 살 길을 밝게 드러내야 할 것이다.’라고 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위에서 형벌을 쓰는 일을 말했으므로 아래에서는 착함에 상을 주는 일을 말해야 하는데, 죽임은 바로 형벌의 무거운 것이니 무거운 쪽을 들기 때문에 ‘死’를 말한 것이고, 착함이 있으면 상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그들의 착함을 표창할 것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상을 주는 것은 바로 德이기 때문에 ‘德’을 가지고 賞을 말하였고, 사람은 사는 것이 바로 떳떳한 것이라 착함이 없어도 사는 것이니, ‘그들의 사는 것을 표창한다.’라고 말할 수 없기 때문에 글을 互文으로 쓴 것이다.
나라가 잘되는 것은 오직 너희들 때문이며,
나라에 善德이 있게 하는 것은 여러 신하들의 功 때문이란 것이다.
나라가 잘못되는 것은 오직 나 한 사람에게 失政의 罰이 있는 탓이다.
佚은 失의 뜻이다. 이는 자기가 失政한 罰이란 것이니, 자기를 죄주는 뜻이다.


역주
역주1 用罪……彰厥善 : 蔡傳에서는 ‘用罪’는 爲惡으로, ‘用德’은 爲善으로, ‘伐’을 誅로 보아 “遠近, 親疎에 관계없이 쳐서 죽이고 착함을 표창하는 것은 오직 너희들이 惡을 하느냐 善을 하느냐 만을 볼 뿐이다.[無有遠近親疎 凡伐死彰善 惟視汝爲惡爲善如何爾]”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有佚罰 : 蔡傳에서는 “응당 형벌을 가해야 할 사람에게 형벌을 가하지 않는 탓이다.[失罰其所當罰]”라고 풀이하였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