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五子之歌 第三
孔氏 傳 孔穎達 疏
太康失邦이라
[傳]啓子也 盤於遊田하고 不恤民事라가 爲羿所逐하여 不得反國이라
昆弟五人 須於洛汭라가 作五子之歌
[傳]太康五弟 與其母 待太康於洛水之北이라가 怨其不反이라 作歌
○五子名字 書傳無聞이니 仲康 蓋其一也리라
○須 馬云 止也라하니라 本又作內
[疏]‘太康’至‘之歌’
○正義曰:啓子太康, 以遊畋棄民, 爲羿所逐, 失其邦國. 其未失國之前, 畋於洛水之表.
太康之弟, 更有昆弟五人, 從太康畋獵, 與其母待太康於洛水之北. 太康爲羿所距, 不得反國.
其弟五人, 卽啓之五子, 竝怨太康, 各自作歌. 史敍其事, 作五子之歌.
[疏]○傳‘太康’至‘作歌’
○正義曰:‘昆弟五人’, 自有長幼, 故稱‘昆弟’, 嫌是太康之昆, 故云 ‘太康之五弟’.
五子之歌
[傳]啓之五子 因以名篇이라
[疏]‘五子之歌’
○正義曰:史述作歌之由, 先敍失國之事, ‘其一曰’以下, 乃是歌辭. 此五子作歌五章, 每章各是一人之作, 辭相連接, 自爲終始.
初言‘皇祖有訓’, 未必指怨太康. 必是五子之歌, 相顧從輕至甚.
‘其一’‧‘其二’, 蓋是昆弟之次, 或是作歌之次, 不可知也.
[疏]○傳‘啓之’至‘名篇’
○正義曰:直言‘五子’, 不知謂誰, 故言‘啓之五子’. 太康之弟, 敍怨作歌,
不言‘五弟’而言‘五子’者, 以其祖之訓, 故繫父以言之.
太康尸位하여 以逸豫
[傳]尸 主也 主以尊位하여 爲逸豫不勤이라
○逸 本又作佾이요 本又作忬
滅厥德한대 黎民 咸貳커늘
[傳]君喪其德이면 則衆民 皆二心矣
乃盤遊無度하여
[傳]盤樂遊逸無法度
○盤 本或作槃이라
畋于有洛之表하여 十旬 弗反하니라
[傳]洛水之表 水之南이라 十日曰旬이니 田獵過百日不還이라


太康이 나라를 잃었다.
〈太康은〉 啓의 아들이다. 유람과 사냥만을 즐기고 백성을 구휼하지 않다가 羿에게 쫓겨나 나라로 돌아가지 못하였다.
太康의 昆弟 다섯 사람이 洛水의 북쪽에서 〈太康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다가 〈五子之歌〉를 지었다.
太康의 다섯 아우가 그 모친과 함께 太康을 洛水의 북쪽에서 기다리다가 그가 돌아오지 않음을 원망하였다. 그러므로 노래를 지었다.
○五子의 이름자는 書傳에 전하지 않는데, 仲康은 아마 그 중 하나일 것이다.
○須에 대하여 馬融은 “止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汭’는 어떤 本에 또 ‘內’로 되어 있다.
書序의 [太康]에서 [之歌]까지
○正義曰:啓의 아들 太康이 유람과 사냥에 빠져 백성을 유기했다가 羿에게 쫓겨나 그 나라를 잃었다. 그가 아직 나라를 잃기 전에는 洛水의 밖에서 사냥을 하였다.
太康의 아우에 다시 昆弟 다섯 사람이 있었는데, 太康을 따라 사냥을 하였다가 그 모친과 함께 太康을 洛水의 북쪽에서 기다렸다. 太康이 羿에게 저지 당해 나라로 돌아오지 못하였다.
그 아우 다섯 사람은 곧 啓의 다섯 아들인데, 모두 太康을 원망하여 각자 노래를 지었다. 그래서 史官이 그 일을 서술하여 〈五子之歌〉를 지었다.
傳의 [太康]에서 [作歌]까지
○正義曰:[昆弟五人] 본래 長幼가 있기 때문에 ‘昆弟’라 칭하였는데, 太康의 형으로 헛갈릴까 싶기 때문에 ‘太康의 다섯 아우’라고 한 것이다.
〈五子는〉 啓의 다섯 아들인데, 그대로 편에 이름을 붙인 것이다.
題篇의 [五子之歌]
○正義曰:史官이 노래를 지은 이유를 기술하면서 먼저 나라 잃은 일을 서술하였으니, ‘其一曰’ 이하가 바로 歌辭이다. 이 다섯 아들이 노래 5章을 지었기 때문에 매 章이 각각 한 사람씩의 작품이지만, 5章의 가사가 서로 연결되어 저절로 終始를 이룬다.
맨 처음에 “皇祖께서 교훈을 남기셨다.”라고 말한 것은 太康을 직접 가리켜 원망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필시 5子의 노래는 서로 고려하여 가벼운 데서부터 심한 데로 이르러간 것이리라.
‘其一’‧‘其二’가 昆弟의 차서를 말한 것인지, 혹은 노래를 지은 차서를 밝힌 것인지 알 수 없다.
傳의 [啓之]에서 [名篇]까지
○正義曰:단지 ‘五子’라고만 말하였으니 누구를 이르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啓의 다섯 아들’이라고 말한 것이다. 太康의 아우가 원망을 서술해서 노래를 지었는데,
‘五弟’라고 말하지 않고 ‘五子’라고 말한 이유는 그 祖의 훈계를 기술하였기 때문에 父를 연계해서 말한 것이다.
〈啓의 아들인〉 太康이 하는 일 없이 왕위만 차지하고서 지나치게 안락을 즐김으로써
尸는 主(차지하다)의 뜻이다. 太康은 尊位를 차지하여 안일을 일삼고 勤勞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逸’은 어떤 本에 또 ‘佾’로 되어 있고, ‘豫’는 어떤 本에 또 ‘忬’로 되어 있다.
그 德을 잃자, 백성들이 모두 배반할 마음을 품었는데,
임금이 그 德을 상실하면 백성들이 모두 두 마음(배반할 마음)을 품는다는 것이다.
〈太康이〉 節度 없이 마음껏 즐기면서 놀아대어
盤樂하고 遊逸함에 法度가 없었다.
○‘盤’은 어떤 本에는 더러 ‘槃’으로 되어 있다.
洛水의 밖으로 사냥 나가서 100일이 지나도록 돌아오지 않았다.
‘洛水의 밖’은 洛水의 남쪽이다. 10일을 ‘旬’이라고 하니, 사냥에 빠져 100일이 지나도록 돌아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역주
역주1 (則)[卽] : 저본에는 ‘則’으로 되어 있으나, ≪十三經注疏正字≫에 “‘則’은 아마 ‘卽’의 잘못인 듯하다.[則疑卽字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卽’으로 바로잡았다.
역주2 (迷)[述] : 저본에는 ‘迷’로 되어 있으나, “閩本‧監本‧毛本에는 ‘迷’가 ‘述’로 되어 있으니, 살펴보건대 ‘述’자가 옳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述’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