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來紹上帝하사 自服于土中하소서
[傳]言王今來居洛邑하여 繼天爲治하니 躬自服行敎化於地勢正中이라
旦曰 其作大邑하여 하여 配皇天하며
[傳]稱周公言하여 其爲大邑於土中하여 其用是大邑하여 配上天而爲治
毖祀于上下하며 其自時中乂라하나니
[傳]爲治 當愼祀于天地하면 則其用是土中하여 大致治
厥有成命하고 治民하여 今休하리이다
[傳]用是土中致治 則王其有天之成命하고 治民하여 今獲太平之美
[疏]‘王來’至‘今休’
○正義曰:周公之作洛邑, 將以反政於王, 故召公述其遷洛之意. 今王來居洛邑, 繼上天爲治,
躬自服行敎化於土地正中之處, 故周公旦言曰 “其作大邑於土中, 其令成王用是大邑, 配大天而爲治.
爲治之道, 當事神訓民, 謹愼祭祀上下神祇, 其用是土中大致治也.
旣能治, 則王其有天之成命, 治理下民, 今獲太平之美矣.”
[疏]○傳‘言王’至‘正中’
○正義曰:傳言“躬自服行”, 則不訓自也. 鄭‧王皆以‘自’爲用.
[疏]○傳‘稱周’至‘爲治’
○正義曰:王肅云 “旦, 周公名也. 禮, 君前臣名, 故稱周公之言爲‘旦曰’.”
王者爲天所子, 代天治民, 天有其意, 天子繼天使成, 謂之‘紹上帝’也.
天子設法, 其理合於天道, 是爲‘配皇天’也. 天子將欲配天, 必宜治居土中, 故稱周公之言,
其爲大邑於土之中, 其當令此成王, 用是大邑行化, 配上天而爲治也. 說周公之意然, 戒成王使順公也.
周禮大司徒云 “以土圭之法測土深, 正日影, 以求地中. 日南則影短多暑, 日北則影長多寒,
日至之影尺有五寸, 謂之地中, 天地之所合也,
四時之所交也, 風雨之所會也, 陰陽之所和也. 然則百物阜安, 乃建王國焉.” 馬融云 “王國, 東都王城, 今河南縣是也.”
[疏]○傳‘爲治’至‘致治’
○正義曰:祭法云 “有天下者祭百神.” 天地爲大, ‘上下’, 卽天地也, 故“爲治當愼祀於天地.”
擧天地則百神之祀皆愼之也. 能事神訓民, 則其用是土中大致治也.
[疏]○傳‘用是’至‘之美’
○正義曰:用是土中致治, 當於天心, 則王其有天之成命, 降福與之, 使多歷年歲治民, 今獲太平之美. 自‘旦曰’至此, 述周公之意也.


왕께서 이곳으로 오셔서 上帝의 뜻을 이어받아 천하의 중앙인 〈洛邑에서〉 몸소 정사를 행하소서.
이 지금 洛邑에 와서 거주하며 하늘을 계승하여 정치를 하게 되었으니, 몸소 스스로 敎化地勢正中한 곳에서 服行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周公의 이름)도 〈洛邑을 건설할 당시에〉 ‘큰 도읍을 만들어 이 큰 도읍을 이용해서 皇天을 대하고,
周公의 말이라 칭해서 큰 도읍을 토지의 正中한 곳에 만들어 이 큰 도읍을 이용해서 上天을 대하여 정사를 해야 한다고 하였다.
上天下地에 삼가 제사를 지내며, 이 正中한 곳을 이용해서 다스려야 한다.’고 말하였으니,
정치를 함에 있어서 마땅히 하늘과 땅에 삼가 제사를 지내면, 곧 이 토지의 正中한 곳을 이용해서 크게 정사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왕께서 하늘의 이루어진 밝은 을 가지고 백성을 다스려 지금 〈태평의〉 아름다운 이름을 얻을 것입니다.
이 토지의 중정한 곳을 이용해서 정사를 한다면 은 하늘의 이루어진 밝은 을 가지고 백성을 다스려 지금 太平의 아름다운 이름을 얻을 것이란 말이다.
의 [王來]에서 [今休]까지
正義曰周公洛邑을 만들어 장차 에게 정권을 돌려주려고 하기 때문에 召公洛邑으로 옮기는 뜻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께서 지금 洛邑에 오셔 거주하며 하늘을 이어받아 다스림을 하게 되셨으니,
몸소 스스로 敎化地勢正中한 곳에서 服行하기 때문에 周公 도 말하기를 ‘큰 도읍을 지세가 正中한 곳에 만들어 成王으로 하여금 이 큰 도읍을 이용해서 上天을 대하여 정사를 하게 하려 한다.
정사를 하는 방도는 응당 을 섬기고 백성을 교훈해야 하므로 上下 神祇에게 삼가 제사 지내며, 이 토지의 정중한 곳을 이용해서 나라를 크게 다스려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이미 능히 정사를 한다면 왕이 하늘의 이루어진 밝은 을 가지고 백성을 다스려 지금 태평의 아름다운 이름을 얻을 것입니다.”
의 [言王]에서 [正中]까지
正義曰에서 “몸소 스스로 服行한다.”고 말하였으니, 鄭玄王肅은 다 ‘’자를 ‘’자로 여겼다.
의 [稱周]에서 [爲治]까지
正義曰王肅은 “‘’은 周公의 이름이다. 에 임금의 앞에서는 신하 이름을 부르게 되어 있기 때문에 周公의 말이라 칭하면서 ‘旦曰’이라 했다.”라고 하였다.
王者는 하늘이 자식처럼 여기는 대상이 되어 하늘을 대신하여 백성을 다스리는 존재이기 때문에 하늘이 뜻을 가지면 天子는 하늘의 뜻을 이어받아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니, 이를 일러 ‘上帝의 뜻을 이어받는 것’이라 이른다.
天子가 법을 설정함에 있어서는 그 이치가 天道에 합해야 하니, 이것이 ‘皇天을 대하는 것’이다. 天子가 장차 하늘을 대하려고 한다면 반드시 토지의 중앙에 거주하여 정사를 해야 하기 때문에 周公의 말이라 칭하여
“토지의 중앙에 큰 도읍을 만들어 마땅히 成王으로 하여금 이 큰 도읍을 이용해서 교화를 행하고 上天을 대하여 정사를 하게 해야 한다.”라고 하였으니, 周公의 뜻이 그러함을 말하여 成王을 경계해서 周公을 따르도록 한 것이다.
周禮≫ 〈地官 大司徒〉에 “土圭을 가지고 땅의 깊이를 측량하고 해의 그림자를 바르게 해서 땅의 중앙을 구한다. 〈土圭로 해 그림자를 재는〉 지역이 남쪽에 치우쳐 있으면 해 그림자가 짧으니 매우 덥고, 지역이 북쪽에 치우쳐 있으면 해 그림자가 기니 매우 춥고,
지역이 동쪽에 치우쳐 있으면 해 그림자가 이미 저녁때와 같으니 바람이 많이 불어 〈건조하다.〉 지역이 서쪽에 치우쳐 있으면 해 그림자가 외려 아침때와 같으니 비[]가 많이 내려 〈습하다.〉 夏至에 그림자가 1자 5치가 되면 이를 ‘地中(땅의 중앙)’이라 이르는데 하늘과 땅이 합하는 곳이고,
네 계절이 교차하는 곳이고, 바람과 비가 모이는 곳이고, 음과 양이 화합하는 곳이다. 그렇다면 온갖 사물이 풍부하고 안정하여 이에 王國을 건설한다.”라고 하였다. 馬融은 “王國東都王城으로 지금의 河南縣이 이곳이다.”라고 하였다.
의 [爲治]에서 [致治]까지
正義曰:≪禮記≫ 〈祭法〉에 “천하를 가진 이는 온갖 에게 제사를 지낸다.”라고 하였다. 天地가 가장 큰 것이니, ‘上下’는 곧 天地이기 때문에 “정사를 함에 있어서는 마땅히 하늘과 땅에 삼가 제사를 지내야 한다.”라고 하
였다. 하늘과 땅을 들면 온갖 의 제사를 모두 삼가게 되는 것이다. 능히 을 섬기고 백성을 교훈하려면 이 토지의 正中한 곳을 이용해서 크게 정사를 해야 한다.
의 [用是]에서 [之美]까지
正義曰:이 토지의 正中한 곳을 이용해서 정사를 하려는 데가 하늘의 중심에 맞닿는 곳이라면 은 하늘의 이루어진 밝은 을 가짐으로써 복을 내려주어 장구한 세월을 누리며 백성을 다스리게 하여 지금 太平의 아름다운 이룸을 얻을 것이다. ‘旦曰’로부터 여기까지가 周公의 뜻을 기술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其自時 : 蔡傳은 時를 是의 뜻으로 보아 ‘이로부터’로 풀이하였다. 아래의 其自時도 같다.
역주2 ‘自’자를……않았다 : 孔傳이 ‘몸소 스스로’라고 한 것은 ‘自’자를 풀이한 것이 아닌가. 무슨 뜻으로 말한 것인지 모르겠다.
역주3 日南則影短多暑……日西則影朝多陰 : 宋代 朱申의 ≪周禮句解≫에 의하면, ‘日東則景夕多風’은 “그림자가 表(標木)의 동쪽에 있으면 이 땅은 해의 동쪽에 있는 것이다. ‘景(影)夕’은 해가 중천에 있을 때 그 그림자는 이미 저녁때와 같은 것이다. 이와 같으면 그 땅에는 바람이 많이 분다.[景在表之東 是地在日東也 景夕 謂日中時 其景已如夕時也 如此則其地多風]”라고 하였고, ‘日西景朝多陰’은 “그림자가 表의 서쪽에 있으면 이 땅은 해의 서쪽에 있는 것이다. ‘景朝’는 해가 중천에 있을 때에도 그 그림자는 외려 아침때와 같은 것이다. 이와 같으면 그 땅에는 비가 많이 내린다.[景在表之西 是地在日西也 景朝 謂日中時 其景尙如朝時也 如此則其地多陰]”라고 하였고, ‘日南則景短多暑’는 “夏至의 해가 한 중천에 있을 때에 여덟 자의 表를 세워 해의 그림자가 나타나기를 기다려서 土圭法으로 헤아려 그 그림자가 土圭보다 짧으면 그 땅이 해의 남쪽에 있어서 더위가 많다.[夏至日正中時 立八尺之表 以侯日景 以土圭量之 其景短於土圭 則其地在日南而多暑]”라고 하였고, ‘日北則景長多寒’은 “그 그림자가 土圭보다 길면 그 땅이 해의 북쪽에 있어서 추위가 많다.[其景長於土圭 則其地在日北而多寒]”라고 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