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傳]合黎 水名이니 在流沙東이라
○弱 本或作溺이라 合黎 馬云 地名이라하니라
[疏]‘導弱水’
○正義曰:此下所導, 凡有九水, 大意亦自北爲始. 以弱水最在西北, 水又西流, 故先言之.
黑水雖在河南, 水從雍‧梁西界南入南海, 與諸水不相參涉, 故又次之. 四瀆江‧河爲大, 河在北, 故先言河也.
漢入於江, 故先漢後江. 其濟發源河北, 越河而南, 與淮俱爲四瀆, 故次濟, 次淮. 其渭與洛俱入于河, 故後言之.
計流水多矣, 此擧大者言耳. 凡此九水, 立文不同, 弱水‧黑水‧沇水不出于山, 文單, 故以水配.
其餘六水, 文與山連. 旣繫於山, 不須言‘水’. 積石山非河上源, 記施功之處, 故云‘導河積石’, 言發首積石起也.
漾‧江先山後水, 淮‧渭‧洛, 先水後山, 皆是史文詳略, 無義例也.
又淮‧渭‧洛, 言‘自某山’者, 皆是發源此山, 欲使異於導河, 故加‘自’耳.
鄭玄云 “凡言‘導’者, 發源於上, 未成流, 凡言‘自’者, 亦發源於上, 未成流.”
必其俱未成流, 何須別‘導’與‘自’. 河出崐崘, 發源甚遠, 豈至積石, 猶未成流而云‘導河’也.
[疏]傳‘合黎’至‘沙東’
○正義曰:弱水得入合黎, 知‘合黎’是水名. 顧氏云 “地書‘合黎, 山名.’ 但此水出合黎, 因山爲名.” 鄭玄亦以爲山名.
地理志張掖郡刪丹縣, 桑欽以爲導弱水自此, 西至酒泉‧合黎. 張掖郡又有居延澤, 在縣東北, 古文以爲流沙.
如志之言, 酒泉郡在張掖郡西, 居延屬張掖, 合黎在酒泉, 則流沙在合黎之東, 與此傳不合.
案經弱水西流, 水旣至于合黎, 餘波入于流沙, 當如傳文合黎在流沙之東, 不得在其西也.
餘波 入于流沙
[傳]弱水餘波 西溢入流沙


弱水를 유도하시되 合黎에 이르러
合黎는 물 이름인데 流沙의 동쪽에 있다.
○弱은 어떤 本에는 ‘溺’으로 되어 있다. 合黎는 馬融이 “땅 이름이다.”라고 하였다.
經의 [導弱水]
○正義曰:이 아래 유도한 대상에는 모두 아홉 개의 물이 있는데, 대의는 또한 북쪽으로부터 시단을 삼았다. 弱水는 가장 서북쪽에 위치해 있고 물이 또 서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먼저 말하였다.
黑水는 비록 河水의 남쪽에 위치해 있으나 물이 雍州와 梁州의 서쪽 지계를 따라 남쪽으로 南海에 들어와 여러 물과 서로 관섭하지 않기 때문에 또 그 다음에 말하였다. 四瀆 중에 江水와 河水가 제일 크고, 河水가 북쪽에 있기 때문에 河水를 먼저 말하였다.
漢水가 江水에 들어가기 때문에 漢水를 먼저 말하고 江水를 뒤에 말하였다. 濟水는 河水의 북쪽에서 발원하여 河水를 넘어 남쪽으로 가서 淮水와 함께 四瀆이 되기 때문에 濟水를 그 다음에 말하고 또 淮水를 그 다음에 말하였다. 渭水와 洛水는 함께 河水로 들어가기 때문에 맨 뒤에 말하였다.
따져보면 흐르는 물이 많지만, 여기서는 큰 것만을 들어서 말했을 뿐이다. 이 아홉 개 물에 대해서 문장을 쓴 것이 같지 않은데, 弱水‧黑水‧沇水는 산에서 나오지 않아 문장이 단조롭기 때문에 ‘水’를 가지고 배합하였다.
그 나머지 여섯 개의 물에 대해서는 문장이 산과 연계되어 있다. 이미 산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水’를 말할 필요가 없다. 積石山은 河水의 上源이 아니고 공력을 쓴 곳을 기록한 것이기 때문에 ‘導河積石’이라고 하였으니, 적석산에서 공사를 시작하여 일으킴을 말한 것이다.
漾水‧江水에 대해서는 산을 먼저 말하고 물은 뒤에 말하였으며, 淮水‧渭水‧洛水에 대해서는 물을 먼저 말하고 산을 뒤에 말하였는데, 모두 史官이 기록해 놓은 글의 詳‧略에 관한 문제이지, 정해진 義例(凡例)가 있는 것은 아니다.
또 淮水‧渭水‧洛水에서 ‘어떤 산으로부터’라고 말한 것은 모두 이 산에서 발원한 것이라, ‘導河’와 다르게 하려고 하였기 때문에 ‘自’자를 더 붙였을 뿐이다.
鄭玄은 “‘導’를 말한 것은 위에서 발원하였지만 아직 물길을 이루지 못한 것이고, ‘自’를 말한 것 역시 위에서 발원하였지만 아직 물길을 이루지 못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꼭 그것이 모두 물길을 이루지 못했다면 어찌 ‘導’와 ‘自’를 구별할 필요가 있었겠는가. 河는 崐崘山에서 나오므로 발원한 지점이 매우 먼데, 어찌 積石山에 이르도록 아직까지 물길을 이루지 못했으면서 ‘導河’라고 하였겠는가.
傳의 [合黎]에서 [沙東]까지
○正義曰:弱水가 合黎로 들어가게 되었기 때문에 ‘合黎’가 물 이름임을 안 것이다. 顧氏(顧彪)는 “≪地記書≫에 ‘合黎는 산 이름이다.’라고 하였다. 다만 이 물이 合黎山에서 나왔기 때문에 산을 따라 명명했을 뿐이다.”라고 하였고, 鄭玄도 산 이름이라고 하였다.
≪漢書≫ 〈地理志〉 張掖郡 刪丹縣 조에서 桑欽은 “弱水를 따라 물을 소통시키는 일은 여기서부터 시작해서 서쪽으로 酒泉과 合黎에 이르렀다.”라고 하였다. 張掖郡 조에 또 “居延澤이 있어 居延縣의 동북쪽에 있는데 古文에서는 流沙라 했다.”라고 하였다.
〈地理志〉의 말대로 酒泉郡이 張掖郡 서쪽에 있고, 居延澤이 張掖郡에 속해 있고, 合黎가 酒泉郡에 있다면 流沙는 合黎의 동쪽에 있게 되므로 이 孔傳과 합하지 않는다.
經文을 살펴보면 弱水는 서쪽으로 흐르니, 물이 이미 合黎에 이르렀을 때 남은 물줄기가 流沙로 들어간다면 당연히 傳文처럼 合黎는 流沙의 동쪽에 있어야지, 그 서쪽에 있을 수 없다.
남은 물줄기가 流沙로 들어가게 하셨다.
弱水의 남은 물줄기가 서쪽으로 넘쳐서 流沙로 들어가게 했다는 것이다.


역주
역주1 導弱水……入于流沙 : 蔡傳에서 “하천을 준설하는 일은 산을 따라서 시작되기 때문에 물을 인도하는 일이 산을 인도하는 일 다음에 놓인 것이다.[濬川之功 自隨山始 故導水次於導山也]”라고 하였다. 조선시대 吳熙常은 ≪老洲集≫ 〈讀書隨記〉에서 “〈禹貢〉의 경우, 먼저 九州를 차례로 배열하여 山川의 規制를 기록하고 나서 비로소 홍수 다스리는 일을 말하였는데, 導山을 導水보다 먼저 한 것은 泉源들이 모두 산에서 나오고, 川과 瀆이 모두 바다로 들어가기 때문에 泉源을 疏滌하여 川과 瀆으로 돌리고, 川과 瀆을 터서 바다로 注入시켰으니, 이것은 治水의 대세를 가지고 말한 것이다. 만일 그 시공의 차례라면, 반드시 아래로부터 올라가면서 먼저 하류를 분쇄시켜야 상류가 바야흐로 물길을 따라 범람하지 않을 것이니, ≪朱子語類≫에서 ‘禹의 治水는 먼저 지대가 낮은 곳에서 시작했다.’는 것이 참으로 맞는 말이다. 그런데 蔡傳에서 ‘하천을 준설하는 일은 산을 따라서 시작되기 때문에 물을 인도하는 일이 산을 인도하는 일 다음에 놓인 것이다.’라고 한 말은 곡절에 흠이 있는 듯싶다.”라고 하였다.
역주2 (說)[記] : 저본에는 ‘說’로 되어 있으나, 武英殿本‧薈要本 및 ≪十三經注疏正字≫에 의거하여 ‘記’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