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이니 凡四方小大邦함은 于罰이니라
[傳]惟天 不與不明其德者 凡四方小大國喪滅 無非有辭於天所罰이라하니 言皆有闇亂之辭
[疏]‘自成’至‘于罰’
○正義曰:旣言命湯革夏, 又說後世皆賢, 至紂始惡, 天乃滅之.
自成湯至於帝乙, 無不顯用有德. 憂念祭祀, 後世亦賢, 非獨成湯以用其行合天意,
亦惟天大立安治有殷. 殷家諸王, 皆能明德憂祀, 亦無敢失天道者, 無不皆配天而布其德澤, 以此得天下, 久爲民主.
在今後嗣王紂, 大無明於天道, 敢行昏虐之政於天, 天猶且忽之, 況曰其有聽念先王父祖勤勞國家之事乎.
乃復大淫過其泆, 無所顧於上天, 無能明民爲敬, 以此反於先王, 違逆天道.
惟是上天不安紂之所爲, 下若此大喪亡之誅, 惟天不與不明其德之人故也. 天不與惡, 豈獨紂乎.
凡四方諸侯小大邦國, 其喪滅者, 無非皆有惡辭, 是以致至於天罰. 汝紂以惡而見滅, 汝何以不服我也.
[疏]○傳‘自帝’至‘社稷’
○正義曰:下篇說中宗‧高宗‧祖甲三王以外, 其後立王, 生則逸豫, 亦罔或能壽.
如彼文, 則帝乙以上非無僻王, 而此言無不顯用有德, 憂念祭祀者,
立文之法, 辭有抑揚, 方說紂之不善, 盛言前世皆賢正, 以守位不失, 故得美而言之.
憂念祭祀者, 惟有齊肅恭敬, 故言“憂念齊敬, 奉其祭祀.” 言能保宗廟社稷, 爲天下之主, 以見紂不恭敬, 故喪亡之.
[疏]○傳‘湯旣’至‘德澤’
○正義曰:帝乙已上諸王, 所以長處天位者, 皆由湯之聖德延及後人.
“湯旣革夏, 亦惟天大立安治於殷”者, 謂天安治之, 故殷家得治理也. 殷家諸王自成湯之後, 皆能憂念祭祀, 無敢失天道者.
故得常處王位, 無不配天布其德澤於民. 爲天之子, 是‘配天’也. 號令於民, 是“布德”也.
[疏]○傳‘言紂’至‘亂甚’
○正義曰:‘淫’‧‘泆’, 俱訓爲過, ‘言紂大過其愆過 無顧於天’, 言其縱心爲惡, 不畏天也.
‘無能明民爲敬’, 言其多行虐政, 不憂民也. 不畏於天, 不愛於民, 言其‘暴亂甚’也.
此經‘顧於天’與‘顯民祗’, 共蒙上‘罔’文, 故傳再言‘無’也.
[疏]○傳‘惟天’至‘之辭’
○正義曰:能明其德, 天乃與之, 惟天不與, 不明其德者, 紂不明其德, 故天喪之.
因卽廣言天意, 凡四方小大邦國, 謂諸侯有土之君, 其爲天所喪滅者, 無非皆有惡辭聞於天, 乃爲上天所罰.
言被天罰者, 皆有闇亂之辭, 上天不罰無辜, 紂有闇亂之辭, 故天滅之耳.
天旣滅不明其德, 我有明德, 爲天所立, 汝等殷士, 安得不服我乎. 以其心仍不服, 故以天道責之.


하늘이 그 을 밝히지 않는 이에게는 〈天命을〉 주지 않으니, 무릇 사방의 작고 큰 나라들이 喪亡함은 하다는 소문이 〈하늘에 알려져 하늘의〉 誅罰한 바 되지 않음이 없었다.”
하늘이 그 을 밝히지 않는 이에게는 〈天命을〉 주지 않았다. 그러므로 무릇 사방의 작고 큰 나라들이 喪亡함은 하다는 소문이 〈하늘에 알려져 하늘의〉 誅罰한 바 되지 않음이 없었다는 것이니, 모두 闇亂하다는 소문이 있었음을 말한 것이다.
의 [自成]에서 [於罰]까지
正義曰:〈하늘이〉 임금에게 명하여 나라를 개혁한 일에 대해 이미 말하고 나서 또 후대에도 모두 어진 〈임금들이었는데,〉 에 와서 비로소 을 하자, 하늘이 이에 멸망시켰다는 것을 말하였다.
成湯으로부터 帝乙에 이르기까지는 이 있는 이를 드러내 쓰고 憂念하여 祭祀를 받들지 않음이 없었으며, 그 후대에도 또한 어진 임금들이었으니, 유독 成湯만이 행한 바가 하늘의 뜻에 합치된 것은 아니었다.
또한 하늘이 크게 나라를 세워 安治시켰고, 나라의 여러 들도 모두 능히 이 있는 이를 드러내 쓰고 憂念하여 祭祀를 받들어 감히 天道를 잃은 분이 없었기 때문에 모두 하늘을 짝하여 그 德澤을 펴지 않음이 없었으니, 이 때문에 천하를 얻어 오랫동안 백성들의 임금이 된 것이다.
그런데 지금 後嗣王 는 크게 天道에 밝지 못하여 감히 昏虐한 정사를 천하에 행하니 하늘도 오히려 홀대하거늘 하물며 先王父祖國家勤勞한 일을 경청하여 유념함이 있다고 하겠는가.
는〉 다시 크게 그 愆過를 지나치게 해서 하늘을 돌아보지(두려워하지) 않고, 백성을 드러내 공경하지 아니하였으니, 이로써 先王과 반대되게 하고, 天道를 어기었다.
하늘이 의 하는 일을 불안하게 여기어 이와 같은 큰 喪亡誅罰을 내렸으니, 하늘이 그 을 밝히지 않은 사람에게 〈천명을〉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늘이 한 사람에게 〈천명을〉 주지 않은 것은 어찌 유독 에게만 그랬겠느냐.
사방 諸侯의 작고 큰 나라들이 喪滅한 경우는 모두 악하다는 소문이 있지 않음이 없었으니, 이 때문에 하늘의 주벌에 이르게 된 것이다. 너희 때문에 멸망을 당하였는데, 너희는 어찌하여 우리에게 복종하지 아니하느냐.”
의 [自帝]에서 [社稷]까지
正義曰:아랫에서는 中宗高宗祖甲 등 3 이외에, 그 뒤로 卽位들은 태어나면 안일을 탐하고 또한 장수를 누린 이도 없었다고 설명하였다.
저 글의 경우는, 帝乙 이상은 邪僻이 없지 않았으나 여기서는 이 있는 이를 드러내 쓰고 憂念하여 祭祀를 받들지 않은 자가 없었다고 말하였으니,
立文의 방법이 말에 抑揚이 있기 때문에 바야흐로 不善을 말할 때에는 “전대는 모두 賢良하고 方正하여 왕위를 지키어 잃지 않았다.”라고 풍성하게 말하였기 때문에 아름답게 말할 수가 있었던 것이다.
憂念하여 祭祀를 받들었다는 것은 齊肅하고 恭敬하기 때문에 “憂念하고 齊敬하여 제사를 받들었다.”라고 말한 것이니, 능히 宗廟社稷을 보존하여 天下君主가 된 것을 말해서 恭敬치 않았기 때문에 喪亡되었다는 점을 보인 것이다.
의 [湯旣]에서 [德澤]까지
正義曰帝乙 이상 여러 들이 길이 天位에 처하게 된 것은 모두 임금의 聖德後人에게 뻗쳤기 때문이다.
임금이 이미 나라를 개혁하였고 또한 하늘이 크게 나라를 세워 安治시켰다.”라고 한 것은 하늘이 安治시켰기 때문에 나라가 다스려지게 된 점을 이른 것이다. 나라 여러 들은 成湯으로부터 이후가 모두 능히 憂念해서 祭祀를 받들어 감히 天道를 잃은 자가 없었다.
그러므로 항상 王位에 처하게 되어 하늘을 짝하여 그 德澤을 백성에게 펴지 않음이 없었다. 하늘의 아들이 된 것이 바로 ‘하늘을 짝한 것’이고, 백성에게 호령을 하는 것이 바로 ‘을 편 것’이다.
의 [言紂]에서 [亂甚]까지
正義曰:‘’과 ‘’은 모두 (지나침)로 풀이하니, “는 크게 그 愆過를 지나치게 해서 하늘을 돌아보지 않았다.”라고 말한 것은 마음대로 을 하여 하늘을 두려워하지 않은 점을 말한 것이고,
“인민을 드러내 공경하지 않았다.”라고 한 것은 포학한 정사를 많이 행해서 백성을 걱정하지 않은 점을 말한 것이다. 하늘을 두려워하지 않고 백성을 사랑하지 않은 것이 그 ‘暴亂이 심했던 점’을 말한 것이다.
의 ‘顧於天’과 ‘顯民祗’가 함께 위의 ‘’자를 이어받았기 때문에 에서 두 번 ‘’자를 말한 것이다.
의 [惟天]에서 [之辭]까지
正義曰:능히 그 을 밝히면 하늘이 〈천명을〉 주는 법인데 하늘이 〈천명을〉 주지 않은 것은 덕을 밝히지 않은 자이기 때문이니, 가 덕을 밝히지 않았기 때문에 하늘이 喪亡시킨 것이다.
따라서 하늘의 뜻을 넓혀서 말하기를 “무릇 사방의 작고 큰 나라”라고 한 것은 諸侯로서 토지를 가진 임금을 이른 것이니, 하늘에게 喪滅된 것은 모두 의 소문이 하늘에 알려져 하늘이 주벌한 대상이 된 것이다.
하늘의 주벌을 입었다고 말한 것은 모두 闇亂의 소문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늘은 무고한 사람을 주벌하지 않는데, 闇亂의 소문이 있었기 때문에 하늘이 멸망시킨 것이다.
하늘이 이미 덕을 밝히지 않은 자를 멸망시켰으니, 나는 明德을 가져 하늘이 〈왕으로〉 세운 대상이 되었는데, 너희 나라 들은 어찌하여 나에게 복종하지 아니하느냐라는 것이다. 그들 마음이 이내 복종하지 않기 때문에 天道를 가지고 꾸짖은 것이다.


역주
역주1 惟天不畀不明厥德 : 官吐는 “惟天不畀는 不明厥德일새니라”로 토를 달고, 諺解는 “하늘이 〈天命을〉 주지 않으심은 그 德을 밝히지 않았기 때문이다.”로 풀이하였다.
역주2 罔非有辭於罰 : 蔡傳은 “그 처벌함이 모두 말할 만한 〈죄목이〉 있었거늘, 하물며 商나라 〈紂는〉 죄가 꽉 차서 周나라가 죄목을 가지고 친 것이 아니었던가.[其致罰 皆有可言者 況商罪貫盈 而周奉辭以伐之者乎]”라고 풀이하였다.
역주3 : 蘇軾(≪書傳≫)은 ‘主張’으로, 林之奇(≪尙書全解≫)‧夏僎(≪尙書詳解≫)‧呂祖謙(≪增修東萊書說≫)‧金履祥(≪資治通鑑前編≫)‧蔡傳‧元代 朱祖義(≪尙書句解≫)‧明代 岳虞巒은 ‘구실(죄목)’로 보았다.
역주4 [下] : 저본에는 없으나, 〈商書 湯誥〉의 “以布行虐政於天下百官”에 의거하여 ‘下’를 보충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