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太甲下 第七
孔氏 傳 孔穎達 疏
伊尹 申誥于王曰 嗚呼 惟天 無親하고 克敬 惟親하시며
[傳]言天於人 無有親疏 惟親能敬身者
[疏]‘伊尹申誥于王’
○正義曰:伊尹以至忠之心, 喜王改悔, 重告於王, 冀王大善, 一篇皆誥辭也.
天親克敬, 民歸有仁, 神享克誠, 言天民與神皆歸於善也.
奉天宜其敬謹, 養民宜用仁恩, 事神當以誠信, 亦準事相配而爲文也.
民罔常懷하고 懷于有仁이며
[傳]民所歸無常이요 以仁政爲常이라
鬼神 無常享이요 享于克誠하나니
[傳]言鬼神不保一人이요 能誠信者則享其祀
天位艱哉니이다
[傳]言居天子之位難 以此三者


伊尹이 거듭 왕께 아뢰었다. “아! 하늘은 친애하는 사람이 따로 없고 능히 공경하는 사람만을 친애하시며,
하늘은 사람에 대하여 무작정 친애하거나 소원함이 없고 오직 능히 몸을 경건하게 갖는 자만을 친애한다는 말이다.
經의 [伊尹申誥于王]
○正義曰:伊尹이 지극한 충성심으로 왕이 悔改한 것을 기뻐하며 거듭 왕에게 고하여 왕이 크게 착해지기를 바랐으니, 한 편이 모두 告誡한 말로 이루어졌다.
하늘은 능히 공경하는 사람만을 친애하고, 백성은 어진 마음을 가진 사람에게만 돌아가며, 귀신은 능히 정성을 다하는 사람의 제사만을 흠향하므로 하늘과 백성 및 귀신은 모두 착한 사람에게 돌아감을 말한 것이다.
하늘을 받드는 데는 敬謹하여야 하고, 백성을 양육하는 데는 仁恩을 베풀어야 하고, 귀신을 섬기는 데는 誠信하여야 하니, 또한 일에 맞게 서로 배열하여 문장을 만든 것이다.
백성은 그리워하는 사람이 일정하게 없고 어진 사람만을 그리워하며,
민심이 돌아가는 곳은 일정하게 정해진 데가 없고 仁政을 가지고 일정하게 돌아가는 곳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귀신은 흠향하는 데가 일정하게 없고 능히 정성을 다하는 사람의 제사만을 흠향하니,
귀신은 어느 한 사람만을 보호하지 않고, 능히 誠信을 다하는 사람이면 그의 제사를 흠향하여 〈그를 보호한다는 점을〉 말한 것이다.
天子의 자리는 어려운 자리입니다.
天子의 자리에 거하기가 어려움은 이 세 가지 때문이란 점을 말한 것이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