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周公 拜手稽首曰 王命予來하사 承保乃文祖受命民하고
[傳]拜而後言하여 許成王留 言王命我來하여 承安汝文德之祖文王所受命之民하니 是所以不得去
[傳]於汝大業之父武王 大使我恭奉其道라하니 敍成王留己意


周公이 손을 이마에 얹고 머리를 땅에 대어 큰 절을 하고 나서 말씀하였다. “께서 나를 〈洛邑으로〉 오도록 명하시어 당신의 文祖(文王)께서 〈하늘의〉 을 받은 백성을 이어받아 안정시키고,
절하고 나서 말하여 成王의 만류를 허락하였다. “이 나를 〈洛邑으로〉 오도록 명하여 당신 文德의 할아버지인 文王이 〈하늘의〉 을 받은 백성을 이어받아 안정시키게 했다.”라고 말하였으니, 이것이 떠나갈 수 없는 이유이다.
당신의 光烈이신 武王에 대하여, 크게 나로 하여금 그 도리를 공손히 받들게 하신 것입니다.
功業을 이루신 당신의 아버지인 武王에 대하여 크게 나로 하여금 그 도리를 공손히 받들게 하신 것이라 하였으니, 成王이 자기를 만류한 뜻을 서술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承保乃文祖受命民 越乃光烈考武王 : 蔡傳은 ‘越’을 ‘及’의 뜻으로 보아 이상의 “誕保文武受民”이란 말에 답한 것으로 풀이하였다.
역주2 弘朕恭 : 蔡傳은 “이 이하는 周公이 成王이 洛邑에 머물게 하는 등의 일을 허락한 것이다.[此下 周公 許成王留等事也]”로 풀이하는 동시에 또한 “‘임금에게 어려운 일을 하도록 권면하는 것’을 공손함이라 이르니, ‘나의 공손한 태도를 대단하게 여긴다.’는 것은 어려운 일을 하도록 권면하는 의리를 대단하게 여긴다는 것이다.[責難於君 謂之恭 弘朕恭 大其責難之義也]”라고 하였는데, 이에 대하여 丁若鏞(≪尙書知遠錄≫)은 “周公이 아직 머물기를 허락하지 않았으니, 蔡說이 잘못된 것이다.[周公尙未許留 蔡說非也]”라고 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