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3)

상서정의(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今我民 罔弗欲喪曰 天 曷不降威하며 大命 不摯 라하나이다
[傳]摯 至也 民無不欲王之亡하여 言天何不下罪誅之 有大命宜王者 何以不至 王之凶害 其如我所言이라하니라
○摯 本又作𡠗
[疏]傳‘摯至也’至‘所言’
○正義曰:‘摯’‧‘至’同音, 故‘摯’爲至也. ‘言天何不下罪誅之’, 恨其久行虐政, 欲得早殺之也.
‘有大命宜王者 何以不至’, 向望大聖之君, 欲令早伐紂也. ‘王之凶禍 其如我之所言’, 以王不信, 故審告之也.


지금 우리 백성들은 나라가 망하기를 바라지 않는 이가 없어서 ‘하늘은 왜 엄한 벌을 내리지 않으며, 하늘의 大命을 받은 분은 왜 오지 않는가. 지금의 임금은 우리가 말한 바와 같다.’라고 합니다.”
摯는 至(이름)의 뜻이다. 백성들은 왕이 망하기를 바라지 않는 이가 없어서 “하늘은 왜 죄를 내려 베어죽이지 않는고. 하늘의 大命을 지녀 의당 王을 해야 할 분은 왜 이르지 않는고. 王의 凶害는 우리가 말한 바와 같다.”라고 한 것이다.
○‘摯’는 어떤 本에 또 𡠗로 되어 있다.
傳의 [摯至也]에서 [所言]까지
○正義曰:‘摯’와 ‘至’는 音이 같기 때문에 ‘摯’를 至의 뜻으로 여긴 것이다. ‘言天何不下罪誅之’는 그가 오래도록 虐政을 행하는 것에 한을 품어 그가 일찍 죽게 되기를 바란 것이다.
‘有大命宜王者 何以不至’는 大聖의 임금이 빨리 紂를 쳐주기를 바란 것이다. ‘王之凶禍 其如我之所言’은 王이 믿지 않기 때문에 세심하게 고한 것이다.


역주
역주1 [胡] : 저본에는 ‘胡’가 없으나, “살펴보건대 孔傳과 正義에는 모두 ‘胡’가 있는 것처럼 되어 있다. ≪史記≫에는 ‘大命胡不至’라고 되어 있다.”라고 한 盧文弨의 ≪群書拾補≫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2 今王其如台 : 蔡傳에서는 “지금의 임금은 우리에게 어찌할 셈인가.”라고 풀이하였다.

상서정의(3)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