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帝曰 兪 允若玆하면 嘉言 罔攸伏하며 野無遺賢하여 萬邦 咸寧하리니
[傳]攸 所也 善言無所伏 言必用이니 如此則賢才在位하여 天下安寧이리라
稽于衆하여 舍己從人하며 不虐無告하며 不廢困窮 惟帝 時克이러시니라
[傳]帝 謂堯也 舜因嘉言無所伏하여 遂稱堯德以成其義 考衆從人하고 矜孤愍窮 凡人所輕이요 聖人所重이라
[疏]‘曰后’至‘時克’
○正義曰:禹爲帝舜謀曰 “君能重難其爲君之事, 臣能重難其爲臣之職, 則上之政敎乃治, 則下之衆民, 皆化而疾修其德.”
而帝曰 “然. 信能如此, 君臣皆能自難, 竝願善以輔己, 則下之善言無所隱伏, 在野無遺逸之賢, 賢人盡用, 則萬國皆安寧也.
爲人上者, 考於衆言, 觀其是非, 舍己之非, 從人之是, 不苛虐鰥寡孤獨無所告者, 必哀矜之,
不廢棄困苦貧窮無所依者, 必愍念之, 惟帝堯於是能爲此行, 餘人所不能.” 言‘克艱’之不易也.
[疏]○傳‘敏疾’至‘修德’
○正義曰:許愼說文云 “敏, 疾也.” 是相傳爲訓.
‘爲君難 爲臣不易’, 論語文. 能知爲君難, 爲臣不易, 則當謹愼恪勤, 求賢自輔, 故其政自然治矣.
見善則用, 知賢必進, 衆民各自擧, 則皆疾修德矣. 此經上不言禹者, 承上禹事, 以可知而略之.
[疏]○傳‘攸所’至‘下安
○正義曰:‘攸 所’, 釋言文.
‘善言無所伏’者, 言其必用之也. 言之善者, 必出賢人之口, 但言之易, 行之難.
或有人不賢而言可用也, 故嘉言與賢異其文也. 如此用善言, 任賢才在位, 則天下安.
[疏]○傳‘帝謂’至‘所重’
○正義曰:舜稱爲帝, 故知‘帝謂堯也.’ 舜因嘉言無所伏, 以爲堯乃能然, 故遂稱堯德以成其義.
此禹言之義, 以堯之聖智, 無所不能, 惟言其‘考衆從人, 矜孤愍窮’, 以爲堯之美者,
此是‘凡人所輕, 聖人所重.’ ‘不虐’‧‘不廢’, 皆謂矜撫愍念之, 互相通也.
王制云 “少而無父謂之孤, 老而無子謂之獨, 老而無妻謂之鰥, 老而無夫謂之寡. 此四者, 天民之窮而無告者.”
故此‘無告’ 是彼四者. 彼四者而此惟言孤者, 四者皆孤也, 言‘孤’足以摠之. 言‘困窮’, 謂貧無資財也.


帝舜이 말씀하셨다. “옳거니. 진실로 이와 같이 한다면 아름다운 말이 숨겨지는 바가 없으며, 초야에 버려지는 賢人이 없어서 萬邦이 모두 편안할 것이니,
攸는 所의 뜻이다. ‘아름다운 말이 숨겨지는 바가 없다.’는 것은 반드시 쓰임을 말한 것이니, 이와 같이 하면 어진 인재가 직위에 있어 天下가 安寧하게 될 것이다.
여러 사람의 말을 상고하여 자기의 생각을 버리고 남의 의견을 따르며, 호소할 곳 없는 자들을 학대하지 않으며, 곤궁한 자들을 방치하지 않는 일은 오직 帝堯만이 능하시다.”
帝는 堯임금을 이르니, 舜임금이 ‘아름다운 말이 숨겨지는 바가 없다.’는 것으로 인하여 드디어 堯임금의 德을 칭송해서 그 뜻을 완성시켰다. 여러 사람의 말을 상고하여 남의 의견을 따르고, 외롭고 곤궁한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일은 보통 사람은 가볍게 여기는 바이고, 성인은 무겁게 여기는 바이다.
經의 [曰后]에서 [時克]까지
○正義曰:禹가 帝舜을 위하여 謀慮하기를 “임금은 임금 노릇 하는 일을 매우 어렵게 여기고 신하는 신하 노릇 하는 직분을 매우 어렵게 여길 수 있다면 위에서 시행하는 政敎가 잘 다스려질 것이며, 〈政敎가 잘 다스려지면〉 아래에 있는 백성들이 모두 교화되어 빨리 그 덕을 닦을 것입니다.”라고 하니,
帝舜이 말하기를 “옳소. 진실로 이와 같이 할 수 있다면 임금과 신하가 모두 스스로 어렵게 여길 것이오. 아울러 善으로써 자기를 돕기를 원한다면 아랫사람들의 善한 말이 隱伏된 바가 없고 초야에 遺逸된 현인이 없게 될 것이니, 현인들이 빠짐없이 다 쓰인다면 萬國이 모두 편안하게 될 것이다.
남의 윗자리에 앉은 자는 여러 사람의 말을 상고하여 옳고 그름을 깊이 관찰해서 자기의 그릇된 견해는 버리고 남의 옳은 견해를 따르며, 호소할 곳 없는 鰥寡와 孤獨을 가혹하게 학대하지 않고 반드시 불쌍히 여기며,
의지할 곳 없는 困苦하고 貧窮한 사람들을 방치하지 않고 반드시 가엽게 여겨야 하는데, 오직 帝堯만이 이에 능히 행할 수 있고, 여타의 사람들은 잘하지 못하는 바이다.”라고 하였으니, ‘어렵게 여김[克艱]’이 쉽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傳의 [敏疾]에서 [修德]까지
○正義曰:許愼의 ≪說文解字≫에 “敏은 疾(빠름)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이래서 서로 전하여 그렇게 풀이한다.
[爲君難 爲臣不易] ≪論語≫ 〈子路〉의 글이다. 능히 임금 노릇 하기 어렵고 신하 노릇 하기 쉽지 않다는 것을 알면, 응당 謹愼하고 恪勤해서 어진 이를 구하여 스스로 보필하게 하기 때문에 그 政敎가 자연 다스려지는 것이다.
아름다운 말을 들으면 사용하고 어진 사람인 줄 알면 반드시 진출시킨다면 백성들이 각자 천거할 것이니, 그렇다면 모두 빨리 덕을 닦을 것이다. 이 經文에서 위에 禹를 말하지 않은 것은 위에 있는 禹의 일을 이어받아서 알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한 것이다.
○傳의 [攸所]에서 [下安寧]까지
○正義曰:[攸 所] ≪爾雅≫ 〈釋言〉의 글이다.
[善言無所伏] 반드시 받아들여 시행함을 말한 것이다. 착한 말은 반드시 어진 이의 입에서 나오는 것인데, 다만 말하기는 쉬워도 행하기는 어려울 뿐이다.
혹 사람은 어질지 못해도 말은 쓸 만한 것이 있다. 그러므로 ‘嘉言’과 ‘賢’으로 그 글을 다르게 쓴 것이다. 이와 같이 착한 말을 받아들여 시행하고 어진 인재를 임용하여 직위에 있게 한다면 천하가 편안해질 것이다.
○傳의 [帝謂]에서 [所重]까지
○正義曰:舜임금이 ‘帝’라고 칭했기 때문에 ‘帝가 堯임금을 이른 것’임을 안 것이다. 舜임금이 ‘아름다운 말이 숨겨지는 바가 없다.’는 것으로 인하여 ‘堯임금만이 그렇게 할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에, 드디어 堯임금의 德을 칭송해서 그 뜻을 완성시킨 것이다.
여기서 禹가 말한 뜻은 堯임금의 성스러움과 지혜로는 능하지 못한 바가 없는데, 오직 여러 사람의 말을 상고하여 남의 의견을 따르며, 외롭고 곤궁한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일만을 말하여 堯임금의 아름다운 점으로 삼았으니,
이것이 바로 ‘보통 사람은 가볍게 여기는 바이고, 성인은 무겁게 여기는 바’라는 것이다. ‘不虐’과 ‘不廢’는 모두 불쌍히 여겨 위무하고, 안타깝게 여겨 염려함을 이르니, 서로서로 통한다.
≪禮記≫ 〈王制〉에 “어리면서 아버지가 없는 것을 ‘孤’라 이르고, 늙었으면서 자식이 없는 것을 ‘獨’이라 이르며, 늙었으면서 아내가 없는 것을 ‘鰥’이라 이르고, 늙었으면서 지아비가 없는 것을 ‘寡’라 이른다. 이 네 부류의 사람들은 天民 중에 곤궁하여 호소할 곳 없는 사람들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여기의 ‘無告’는 바로 저 네 부류의 사람들이다. 그러나 저기에서는 네 부류를 다 들었는데, 여기에서는 오직 孤만을 말한 것은 네 부류가 모두 孤이므로 孤만 말해도 충분히 총괄할 수 있기 때문이다. ‘困窮’이라고 말한 것은 가난해서 資財가 없음을 이른다.


역주
역주1 [寧] : 저본에는 없으나, 孔安國의 傳文에 의거하여 ‘寧’을 보충하였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