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2)

상서정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浮于積石하여 至于龍門西河하여
[傳]積石山 在金城西南하니 河所經也 沿河順流而北하여 千里而東하고 千里而南하니라 龍門山 在河東之西界
[疏]傳‘積石’至‘西界’
○正義曰:地理志云 “積石山在金城河關縣西南羌中, 河行塞外, 東北入塞內.”
積石非河之源, 故云 “河所經也.” 河從西來, 至此北流, 故禹沿河順流而北.
釋水云 “河千里一曲一直.” 故千里而東, 千里而南, 至于龍門西河也.
地理志云 “龍門山在馮翊夏陽縣北.” 此山當河之道, 禹鑿以通河東郡之西界也.
禹至此渡河而還都白帝也. ‘沿’或誤爲‘治’, 此說禹行, 不說治水也.
하나니라
[傳]逆流曰會 自渭北涯 逆水西上이라
[疏]傳‘逆流’至‘西上’
○正義曰:會, 合也. 人行逆流而水相向, 故‘逆流曰會’. 從河入渭, 自渭北涯逆水西上, 言禹白帝訖, 從此而西上, 更入雍州界也.
諸州之末, 惟言還都之道, 此州事終, 言發都更去, 明諸州皆然也.


積石山 곁에서 배를 띄워 龍門山의 西河에 이르러서
積石山은 金城郡의 서남쪽에 있으니, 황하가 지나가는 곳이다. 황하를 따라 순류해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서 1,000리를 가서는 동쪽으로 향하고, 1,000리를 더 가서는 남쪽으로 향한다. 龍門山은 河東의 서쪽 지계에 있다.
傳의 [積石]에서 [西界]까지
○正義曰:≪漢書≫ 〈地理志〉에 “積石山은 金城郡 河關縣 서남쪽 羌中에 위치해 있고, 황하는 塞外로 흘러가서 동북으로 塞內로 들어간다.”라고 하였다.
積石山은 황하의 발원지가 아니기 때문에 “황하가 지나가는 곳이다.”라고 한 것이다. 황하가 서쪽으로부터 흘러와 여기에 이르러서 북쪽으로 흘러가기 때문에 禹가 황하를 따라 순류하여 북쪽으로 방향을 틀었다.”라고 한 것이다.
≪爾雅≫ 〈釋水〉에 “황하가 1,000리 간격으로 한 번은 굽게 흐르고 한 번은 곧게 흐른다.”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1,000리를 가서는 동쪽으로 향하고 1,000리를 더 가서는 남쪽으로 향하여 龍門山의 西河에 이른다.
〈地理志〉에 “龍門山은 左馮翊 夏陽縣 북쪽에 위치해 있다.”라고 하였다. 이 산이 황하가 흐르는 길을 막고 있었기 때문에 禹가 그 산을 파서 河東郡의 서쪽 지계로 통하게 한 것이다.
禹가 여기에 이르러서는 황하를 건너 帝都로 돌아와서 황제께 〈홍수 다스린 일을〉 아뢰었다. ‘沿’자는 더러 잘못하여 ‘治’자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禹의 행적을 말하였지, 홍수 다스리는 일을 말하지 않았다.
渭水의 북쪽으로 거슬러 올라가셨다.
逆流하는 것을 會라 하니, 渭水의 북쪽 언덕으로부터 물을 거슬러 서쪽으로 올라갔다는 것이다.
傳의 [逆流]에서 [西上]까지
○正義曰:會는 合의 뜻이다. 사람이 역류해 가면 물이 서로 향하기 때문에 ‘逆流하는 것을 會라 한다.’고 한 것이다. 황하를 따라 渭水로 들어가고 渭水의 북쪽 언덕으로부터 물을 거슬러 서쪽으로 올라갔다는 것은 禹가 황제에게 아뢰는 일을 마치고 나서 여기에서부터 서쪽으로 올라가서 다시 雍州의 지계로 들어갔음을 말한 것이다.
모든 州의 끄트머리에는 오직 帝都로 돌아오는 길만 말하였으나 이 州에서는 〈홍수 다스리는〉 일이 끝났으니, 帝都를 출발해서 다시 감을 말하여 모든 州에서 다 그렇게 하였음을 밝혔다.


역주
역주1 會于渭汭 : 蔡傳에서는 雍州에서 貢物을 바치는 길이 渭水와 汭水로 모이는 것으로 보았다.

상서정의(2) 책은 2019.10.0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