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1)

묵자간고(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9-8-2 又率天下之民하여 以詬天侮鬼하고 賊傲萬民이라
舊本 亦譌賤이라
王云 賤 亦當爲賊이요 當爲殺이라 說文 敖字 本作𢾍하니
殺字 古文作
二形相似 誤爲敖하고 又誤爲傲耳 墨子 多古字한대 後人不識이라 傳寫多誤
此說桀紂幽厲之暴虐이라 曰 詬天侮鬼하고 賊殺萬民이라하니 非謂其賤傲萬民也이라
上文 言 堯舜禹湯文武 尊天事鬼하고 愛利萬民이라하니 愛利 與賊殺 亦相反이라
法儀篇 曰 禹湯文武 兼愛天下之百姓하여 率以尊天事鬼하니 其利人多
桀紂幽厲 兼惡天下之百姓하여 率以詬天侮鬼하니 其賊人多라하니 知賤傲爲賊殺之誤
魯問篇 賊敖百姓이라한대 太平御覽兵部七十七 引賊敖하여 作賊殺하니 是其明證也
案 王說 是也 今竝據正


또 천하의 인민들을 이끌어 하늘을 헐뜯고 조상을 모욕하며 만민을 해치고 죽였기 때문이다.
’은 舊本에 역시 ‘’으로 잘못되어 있다.
王念孫:‘’은 응당 ‘’이 되어야 하고, ‘’는 응당 ‘’이 되어야 한다. ≪說文解字≫에 ‘’자는 원래 ‘𢾍’로 되어 있다.
자는 古文에서 ‘’로 쓰는데 두 글자가 형태가 비슷하여 ‘’를 잘못 ‘’로 쓴 것이고, 또한 잘못하여 ‘’가 된 것일 뿐이다. ≪墨子≫에는 古字가 많은데 후세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한 까닭에 옮겨 쓰면서 생긴 오류가 많다.
여기에서는 의 포학함을 말하기 때문에 “하늘을 헐뜯고 귀신을 모욕하며 만민을 해치고 죽였다.[賊殺]”고 한 것이지, 그들이 만민을 천하게 여기고 멸시하였다[賤傲]고 한 것이 아니다.
윗글에서는 가 하늘을 받들고 조상을 섬기고 만민을 아끼고 이롭게 하였던 것[愛利]에 대해 말하니, 아끼고[] 이롭게[] 하는 것은 해치고[] 죽이는[] 것과 또한 相反된다.
墨子≫ 〈法儀〉에서 “天下百姓을 아울러 아껴 그들을 이끌고 하늘을 받들고 귀신을 섬기니 그들이 인민을 이롭게 하는 것이 많았으며,
天下百姓을 아울러 미워하여 그들을 이끌고 하늘을 헐뜯고 귀신을 모욕하니 그들이 인민을 해치는 것[]이 많았다.”라 하였다. 그러므로 ‘賤傲’가 ‘賊殺’의 誤字임을 알 수 있다.
墨子≫ 〈魯問〉에서 “賊敖百姓”이라 하였는데, ≪太平御覽≫ 〈兵部 77〉에서 이 대목을 인용하면서 ‘賊敖’를 ‘賊殺’이라 하였으니, 이것이 그 분명한 증거가 된다.
:王念孫의 설이 옳다. 지금 이에 의거하여 바로잡는다.


역주
역주1 : 저본 傍注에 “‘’는 원래 ‘敖’로 잘못되어 있으나, 王念孫의 ≪讀書雜志≫에 의거하여 고쳤다.”라 하였다.

묵자간고(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