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5-8-6 以及其葬也 下毋及泉이요 上毋通臭 壟若參耕之畝
參耕之畝 謂三耦耕之畝也 考工記 匠人 爲溝洫 耜廣五寸이요 二耜爲耦 一耦之伐 廣尺深尺이니 謂之𤰕이라한대
鄭注 云 古者 耜一金이니 兩人 併發之 其壟中 曰𤰕이라하며 𤰕 曰伐이라하다 今之耜歧頭兩金 象古之耦也라하다
說文耒部 云 耕廣五寸爲伐이요 二伐爲耦라하니 與考工說同하다
若然一耦之𤰕 其廣一尺이니 則三耦之𤰕 其廣三尺也


매장할 때에는, 아래로는 지하수에 미칠 〈정도로 깊어서는〉 안 되며, 위로는 냄새가 새어나올 〈정도로 얕아서는〉 안 되며, 봉분은 세 번 갈아엎은 밭두둑 정도면
參耕之畝’는 세 번 耦耕(나란히 밭을 감)한 밭이랑을 말한다. ≪周禮≫ 〈考工記〉에 “匠人爲溝洫 耜廣五寸 二耜爲耦 一耦之伐 廣尺深尺 謂之𤰕(匠人溝洫을 만들 때, 보습[]의 너비는 다섯 치이고, 보습 둘이 한 짝이 된다. 한 짝의 은 너비 1자 깊이 1자이니, ‘𤰕’이라 한다.)”이라 하였는데,
鄭玄에 “古者耜一金 兩人併發之 其壟中曰𤰕 𤰕土曰伐 今之耜歧頭兩金 象古之耦也(옛날에는 보습에 쇠[]가 하나이고 두 사람이 함께 갈아 헤친다. 밭둔덕 복판을 ‘밭도랑[𤰕]’이라 하며, 밭도랑 위를 갈아 헤친 것을 ‘’이라 한다. 지금 보습의 갈라진 꼭지에 쇠가 둘이 있는 것은 예전에 나란히 갈던 일을 본뜬 것이다.)”라 하였다.
說文解字≫ 〈耒部〉에 “밭 가는 것은, 너비 다섯 치가 ‘’이고, 두 ‘’이 ‘’이다.”라 하였으니, ≪周禮≫ 〈考工記〉의 설명과 같다.
그렇다면 한 번 耦耕한 𤰕은 그 너비가 한 자이고 세 번 耦耕한 𤰕은 그 너비가 세 자가 되는 것이다.


역주
역주1 (土)[上] : 저본 傍注에 “원문에 ‘土’자로 잘못되어 있으니, 活字本에 의거하여 고친다. ≪周禮≫ 〈攷工記〉의 鄭玄의 주와도 부합한다.”라고 하였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