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6-9-2 周詩 卽亦猶是也 周詩 曰 王道蕩蕩하니 不偏不黨이라 王道平平하니 不黨不偏이라
蘇云 見書洪範篇하면 四不字作無 玆稱周詩하니 或有據라하다
詒讓案 洪範 云 無偏無黨하면 王道蕩蕩하며 無黨無偏하면 王道平平이라한대
僞孔傳 云 蕩蕩 言開闢이요 平平 言辯治라하고 呂氏春秋貴公篇高注 云 蕩蕩 平易也라하다
史記張釋之馮唐傳 說苑至公篇 引書無竝作不하니 與此同이라
古詩書 亦多互稱하니 戰國策秦策 引詩云 大武遠宅不涉이라한대
卽逸周書大武篇所云 遠宅不薄이니 可以互證이라


周詩〉도 곧 이와 같다. 〈周詩〉에 이르기를 “王道는 확 트여 넓으니 치우치지 않고 사사롭지 않도다. 왕도는 평평하니 사사롭지 않고 치우치지 않도다.
蘇時學:≪尙書≫ 〈洪範〉을 보면 네 ‘’자가 ‘’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周詩’라 하는 것은 혹 근거가 있을 것이다.
詒讓案:≪尙書≫ 〈洪範〉에 “無偏無黨 王道蕩蕩 無黨無偏 王道平平(편벽됨이 없고 편당함이 없으면 왕도가 탕탕하며 편당함이 없고 편벽됨이 없으면 왕도가 평평하다.)”이라 했는데,
僞古文尙書≫의 孔安國 에 “‘蕩蕩’은 ‘開闢’을 말하는 것이고, ‘平平’은 ‘辯治(다스려짐)’를 말하는 것이다.”라 하였고, ≪呂氏春秋≫ 〈貴公高誘에 “‘蕩蕩’은 ‘平易(고르다, 평탄하다)’이다.”라 하였다.
史記≫ 〈張釋之馮唐傳〉과 ≪說苑≫ 〈至公〉에서 ≪尙書≫를 인용하면서 ‘’를 모두 ‘’이라 하였으니, ≪墨子≫의 이 부분과 같다.
옛날 는 또한 서로 바꿔 부르는 경우가 많으니, ≪戰國策≫ 〈秦策〉에서 ≪詩經≫을 인용하여 “大武遠宅不涉(大軍은 집을 멀리 떠나 건너지 않는다.)”이라 했는데,
이것이 바로 ≪逸周書≫ 〈大武〉에서 말한 “遠宅不薄(집을 멀리 떠나 공격하지 않는다.)”이니, 서로 증명할 수 있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