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墨子閒詁(2)

묵자간고(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묵자간고(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3-7-7 是故 大用之 治天下不窕 小用之 治一國一家而不橫者
畢云 云 窕 閒也라하니 猶云無閒이라하다
王云 畢說 非也 不滿也 充塞也
孔子閒居 以橫於天下라한대 充也라하며 祭義 曰 置之而塞乎天地 溥之而橫乎四海라하니
以小居大 則窕 以大入小 則塞이라 唯此尙同之道 則大用之하면 治天下而不窕하며
小用之하면 治一國一家而不塞也 大戴記王言篇 曰 布諸天下而不窕 內諸尋常之室而不塞이라하다
又云 曰 窕 寬也라하며 昭二十一年左傳 라한대
曰 窕 細不滿也라하며 適音篇 不詹則窕라한대 云 窕 不滿密也라하다


이런 까닭에 ‘이를 크게 쓰면 천하를 다스림에 부족함이 없으며, 이를 작게 쓰면 한 나라와 한 집안을 다스림에 막힘이 없다.’는 것은
畢沅:≪爾雅≫에 “‘’는 ‘(사이지다, 틈나다)’이다.”라 하였으니, 〈‘不窕’는〉 ‘無閒(빈틈이 없다.)’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王念孫:畢沅은 옳지 않다. ‘’는 채워지지 않는다는 뜻이고, ‘’은 채워 막는다[充塞]는 뜻이다.
禮記≫ 〈孔子閒居〉에 “以橫於天下”라 하였는데, 鄭玄에 “‘’은 ‘(채운다)’이다.”라 하였으며, ≪禮記≫ 〈祭義〉에 “置之而塞乎天地 溥之而橫乎四海(이것을 세워두면 천지를 꽉 매우고, 이것을 펼쳐두면 사해에 퍼진다.)”라 하였으니,
작은 것을 큰 데에 두면 공간이 남고[] 큰 것을 작은 데에 넣으면 미어진다[]. 이 尙同는 이를 크게 쓰면 천하를 다스리더라도 부족함이 없고[不窕],
이를 작게 쓰면 한 나라 한 집안을 다스리더라도 미어지지 않는다[不塞]는 말이다. ≪大戴禮記≫ 〈王言〉에 “布諸天下而不窕 內諸尋常之室而不塞(천하에 펼치더라도 부족함이 없으며, 내실에 들여놓아도 미어지지 않는다.)”이라 하였다.
王念孫:≪廣雅≫에 “‘’는 ‘(넓다)’이다.”라 하였으며, ≪春秋左氏傳昭公 21년 조에 “鍾小者不窕(은, 작은 樂器는 소리가 너무 가늘지 않다.)”라 하였는데,
杜預에 “‘’는 소리가 가늘어서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다.”라 하였으며, ≪呂氏春秋≫ 〈適音〉에 “不詹則窕(넉넉하지 못하면 만족스럽지 않다.)”라 하였는데, 高誘에 “‘’는 빽빽하게 채워지지 않는 것이다.”라 하였다.


역주
역주1 爾雅 : 중국 最古의 訓詁書이다. ≪釋名≫ 또는 ≪釋言≫이라고도 한다. 저자와 편찬 시기는 분명치 않으며, 戰國時代(B.C.403~B.C.221) 말에서 前漢時代 武帝(B.C.141~B.C.87 재위) 사이일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爾雅≫의 經文을 풀이하여 注를 낸 郭璞(276~324)의 ≪爾雅注≫와, ≪爾雅≫의 경문과 ≪爾雅注≫를 풀이한 邢昺(932~1010)의 ≪爾雅疏≫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唐 高祖 때의 國學博士인 陸德明(550~630)이 ≪爾雅音義≫를 짓고 자신의 저서인 ≪經典釋文≫에 수록하였다.
역주2 : 中國 後漢 때의 儒學者인 鄭玄(127~200)을 가리킨다. 자는 康成이고, 高密 사람이다. 경학의 今文과 古文 외에 天文, 曆數에 정통하였다. ≪周易≫, ≪尙書≫, ≪毛詩≫, ≪周禮≫, ≪儀禮≫, ≪禮記≫, ≪論語≫, ≪孝經≫ 등 경서에 주를 달았다.
역주3 廣雅 : ≪博雅≫라고도 한다. 北魏 太和(227~232) 연간에 魏나라 학자 張揖이 ≪三蒼≫과 ≪說文解字≫ 등을 참고하여 ≪爾雅≫를 증보한 것이다. 총 10권이다. 古書의 字句를 해석하였으며 經書를 고증하고 주석을 달았다. 淸나라 王念孫(1744~1832)이 이를 증보하여 ≪廣雅疏證≫과 ≪釋大≫를 지었다.
역주4 鍾小者不窕 : ≪春秋左氏傳≫ 昭公 21년 조에 “鍾音之器也……小者不窕 大者不槬 則和於物 物和則嘉成(鍾은 音을 내는 器具이다.……작은 樂器는 소리가 너무 가늘지 않고 큰 악기는 소리가 너무 굵지 않으면, 악기들의 소리와 調和를 이루고, 악기들의 소리가 조화를 이루면 아름다운 音樂이 이루어진다.)”이라 하였다.
역주5 : 杜預(222~284)이다. 西晉의 京兆 杜陵 사람으로, 字는 元凱이다. 저서에 ≪春秋經傳集解≫가 있다.
역주6 呂氏春秋 : 秦나라의 呂不韋(?~B.C.235)가 食客에게 저술을 맡겨 편찬한 것이다. 총 26권이다. 儒家를 중심으로 道家‧墨家‧法家‧農家‧陰陽家 등 선진시대의 諸說과 說話를 채택하여 수록하였다. 선진시대 사상사를 연구하는 데 주요한 자료로 꼽힌다.
역주7 : 高誘(?~?)를 가리킨다. 涿郡 涿縣 사람이다. 後漢 末年에 활동했고, 馬融의 再傳弟子로 ≪淮南子≫‧≪呂氏春秋≫‧≪戰國策≫에 대한 주석이 있다.

묵자간고(2)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