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朱文季注+① 范曄後漢書曰 “朱暉, 字文季, 南陽宛人. 家世衣冠. 暉早孤, 有氣决.” 與張堪注+② 范曄後漢書曰 “張堪, 字君游, 南陽宛人. 志美行厲, 世祖召拜郎中. 歷漁陽太守, 去職之日, 乘折轅車, 布被囊而已.”으로 同縣이라 張於太學中 見文季하고 甚重之하여 把臂語曰
欲以妻子託朱生이라한대
文季不敢對 張亡後 聞其妻子貧困하고 自往候視하여 厚賑贍之하다 子怪問曰
大人 不與堪爲友어늘 何忽如此잇가하니
文季曰
嘗有知己之言하여 吾以信於心也라하다


1-3【주문계朱文季(주휘朱暉)는注+범엽范曄의 ≪후한서後漢書≫ 〈주휘전朱暉傳〉에 “주휘朱暉는 자가 문계文季이고 남양南陽 사람이다. 집안이 대대로 벼슬을 하였다. 주휘는 어려서 부친을 여의었으나 과감한 기백이 있었다.” 하였다. 장감張堪注+범엽范曄의 ≪후한서後漢書≫ 〈장감전張堪傳〉에 말하였다. “장감張堪은 자가 군유君游이고 남양 사람이다. 품은 뜻이 훌륭하고 행실이 방정하여 세조世祖(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가 그를 불러 낭중郎中에 임명하였다. 어양태수漁陽太守를 역임하였는데, 관직을 떠나는 날에 끌채가 부러진 마차를 타고 이불 포대만 가지고 갔다.” 같은 사람이다. 장감이 태학太學에서 주문계를 만나 그를 매우 존중하며 그의 팔을 잡고 말하였다.
“나의 처자식을 주생朱生(주휘朱暉) 그대에게 부탁하겠소.”
주문계가 감히 대답하지 못하였다. 장감이 죽은 뒤에 주문계가 그의 처자식이 빈곤하다는 소식을 듣고 직접 가서 살펴보고 후하게 구제해주었다. 그의 아들이 이상하게 여겨 물었다.
대인大人께서는 장감과 교우하지 않았는데 어찌 갑자기 이렇게 하십니까?”
주문계가 말하였다.
“장감이 전에 나를 알아주는 말을 하여 내가 그 말을 마음속으로 실천하려 하였다.”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