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武帝 語和嶠曰
我欲先痛罵王武子하고 然後爵之라하니
嶠曰
武子雋爽하니 恐不可屈이리이다하다
遂召武子하여 苦責之하고 因曰
知愧不注+① 晉諸公贊曰 “齊王當出藩, 而王濟諫請無數, 又累遣常山長廣公主共入, 稽顙陳乞留之. 世祖甚恚, 謂王戎曰 ‘我兄弟至親, 今出齊王, 自朕家計, 而甄德․王濟連遣婦入來, 生哭人邪. 濟等尙爾, 況餘者乎.’ 濟自此被責, 左遷國子祭酒.”아하니
武子曰
尺布斗栗之謠 常爲陛下恥之注+② 漢書曰 “淮南厲王長, 高祖少子也. 有罪, 文帝徙之於蜀, 不食而死. 民作歌曰 ‘一尺布, 尙可縫, 一斗栗, 尙可舂, 兄弟二人, 不能相容.’” 瓚注曰 “言一尺布帛, 可縫而共衣, 一斗米粟, 可舂而共食, 況以天下之廣, 而不相容也.”니이다 他人 能令踈親이어늘 不能使親하니 以此愧陛下니이다하다


10-17 무제武帝(사마염司馬炎)가 화교和嶠에게 말하였다.
“나는 우선 를 통렬히 꾸짖은 뒤에 그에게 작위를 주려고 하오.”
화교가 말하였다.
“왕무자는 재능이 출중하고 호방하니 아마 굴복시킬 수 없을 것입니다.”
무제가 마침내 왕무자를 불러 호되게 꾸짖은 뒤에 말하였다.
“부끄러움을 느끼는가?”注+부창傅暢의 ≪진제공서찬晉諸公敍贊≫에 말하였다. “제왕齊王(사마유司馬攸)이 〈조정에 있다가〉 봉국封國으로 나가게 되었을 때, 왕제王濟가 〈보내지 말라고〉 무수하게 간하고 요청하였다. 또, 여러 차례 〈자신의 아내〉 상산공주常山公主(사마염의 누이)와 의 아내 장광공주長廣公主(사마염의 누이 경조공주京兆公主)를 함께 조정에 들여보내 머리를 땅에 조아리면서 〈제왕을 조정에〉 머물게 해달라고 간청하게 하였다. 세조世祖(사마염)가 매우 화를 내면서 에게 ‘우리 형제들은 더할 나위 없이 친밀하지만, 지금 제왕을 내보내는 것은 짐의 집안을 위해 생각한 것인데, 견덕과 왕제가 연달아 자기 부인을 들여보내 산채로 곡을 하는구나. 〈인척 관계에 있는〉 왕제 등이 오히려 이러하니 하물며 다른 사람들은 말할 것도 없다.’ 하였다. 왕제가 이로부터 견책을 받아 국자좨주國子祭酒로 좌천되었다.”
왕무자가 말하였다.
“한 자의 베와 한 말의 곡식에 대한 노래를 생각하면 항상 폐하께 부끄러운 마음이 듭니다.注+② ≪한서漢書≫에 말하였다. “회남여왕淮南厲王 유장劉長고조高祖(유방劉邦)의 막내아들이다. 백성들이 노래를 지어 ‘한 자의 베도 오히려 재봉하여 〈함께 옷을〉 입을 수 있고, 한 말의 곡식도 오히려 찧어 〈함께〉 먹을 수 있거늘, 형제 두 명이 서로 용납할 수 없구나.” 하였다. 의 주석에 말하였다. “한 자의 옷감도 재봉하여 함께 옷을 입을 수 있고, 한 말의 곡식도 찧어 함께 먹을 수 있는데, 하물며 광대한 천하를 소유하고도 〈아우를〉 용납할 수 없었다는 말이다.” 타인들은 소원한 사람을 친밀하게 할 수 있는데, 저는 친밀한 사람조차 이 때문에 폐하께 부끄럽습니다.”


역주
역주1 王武子(王濟) : 太原 晉陽 사람으로, 字는 武子이다. 魏(三國)나라 司空 王昶의 손자이자 司徒 王渾의 둘째 아들이며, 晉 文帝(司馬昭)의 사위이다.
역주2 甄德 : 西平 사람으로, 字는 彦孫이다. 魏晋시대의 大臣으로, 晉 武帝(司馬炎)의 姊兄이자 京兆公主(長廣公主)의 남편이다.
역주3 王戎 : 234~305. 琅玡 臨沂 사람으로, 字는 濬冲이다. 三國시대로부터 西晉시대에 이르기까지의 名士이자 관원이며, 竹林七賢의 한 명이다.
역주4 죄를……죽었다 : B.C. 174년 淮南厲王 劉長이 匈奴 및 閩越지역의 수령과 연락하여 반란을 도모하다가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신하들이 사형을 내려야 한다고 했으나 文帝가 허락하지 않고, 王號를 폐지하고 蜀郡 嚴道로 유배 보냈는데, 도중에 먹지 않아 죽었다. 시호는 厲王이다.
역주5 薛瓚 : 太原 사람으로, 北朝 前秦의 苻堅 때에 中書侍郞을 역임했고, 淝水의 전투에서 패배한 이후 后秦에 투항하였다.
역주6 친밀한……없으니 : 王濟는 武帝(司馬炎)의 누이 常山公主의 남편이니, 妻男인 무제를 친밀하게 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역주7 (王)[公主] : 저본에는 ‘王’으로 되어 있으나, ≪晉書≫ 〈王濟列傳〉에 의거하여 ‘公主’로 바로잡았다.
역주8 (婦)[甄德妻] : 저본에는 ‘婦’로 되어 있으나, ≪晉書≫ 〈王濟列傳〉에 의거하여 ‘甄德妻’로 바로잡았다.
역주9 (踈)[親] : 저본에는 ‘踈’로 되어 있으나, ≪晉書≫ 〈王濟列傳〉에 의거하여 ‘親’으로 바로잡았다.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