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3)

세설신어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孫齊由․齊莊二人 小時詣庾公한대 公問齊由
何字오하니
答曰
字齊由
公曰
欲何齊邪오하니
齊許由注+① 晉百官名曰 “孫潛, 字齊由, 太原人.” 中興書曰 “潛, 盛長子也. 豫章太守殷仲堪, 下討王國寳, 潛時在郡, 逼爲咨議參軍, 固辭不就, 遂以憂卒.”
齊莊何字오하니 答曰
字齊莊이라
公曰
欲何齊오하니
齊莊周
公曰
何不慕仲尼하고 而慕莊周오하니
對曰
聖人 故難企慕라하니
庾公 大喜小兒對注+② 孫放别傳曰 “放, 字齊莊, 監君次子也. 年八歲, 太尉庾公召見之, 放清秀. 欲觀試, 乃授紙筆令書, 放便自疏名字. 公題後問之曰‘爲欲慕莊周邪?’ 放書答曰‘意欲慕之.’ 公曰‘何故不慕仲尼, 而慕莊周?’ 放曰‘仲尼生而知之, 非希企所及, 至於莊周, 是其次者, 故慕耳.’ 公謂賓客曰‘王輔嗣應答, 恐不能勝之.’ 卒長沙王相.”


22-18 손제유孫齊由(손잠孫潛)와 손제장孫齊莊(손방孫放) 두 사람이 어렸을 때 유공庾公(유량庾亮)에게 갔는데, 유공이 제유에게 물었다.
가 무엇이냐?”
허유許由허유許由
제유가 대답하였다.
“자는 제유입니다.”
유공이 말하였다.
“누구와 같이 되고 싶은 것이냐?”
제유가 대답하였다.
와 같이 되고 싶습니다.”注+① ≪진백관명晉百官名≫에 말하였다. “손잠孫潛제유齊由이고, 태원太原 사람이다.”
중흥서中興書≫에 말하였다. “손잠은 손성孫盛의 큰아들이다. 예장태수豫章太守 은중감殷仲堪왕국보王國寳를 토벌하러 내려갔을 때, 손잠은 당시 에 있다가 억지로 자의참군咨議參軍에 임명되었으나 극력 사양하고 취임하지 않다가 결국 근심으로 인해 죽었다.”
재장齊莊에게 자가 무엇인지 묻자, 제장이 대답하였다.
“자는 제장齊莊입니다.”
유공이 말하였다.
공자孔子공자孔子
“누구와 같이 되고 싶은 것이냐?”
제장이 대답하였다.
와 같이 되고 싶습니다.”
유공이 말하였다.
“어찌 중니仲尼(공자孔子)를 본받지 않고 장주莊周를 본받으려 하느냐?”
제장이 대답하였다.
“성인께서는 나면서부터 〈만물의 이치를〉 아시는 분이기 때문에 같아지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유공이 아이들의 대답에 크게 기뻐하였다.注+② 〈손방별전孫放别傳〉에 말하였다. “손방孫放재장齊莊이고, 의 둘째 아들이다. 8살 때 태위太尉 유공庾公(유량庾亮)이 손방을 불러 만나보니 성품이 맑고 재주가 뛰어났다. 시험을 해보려고 마침내 종이와 붓을 주어 쓰게 하니 손방이 대번에 자신의 이름과 를 썼다. 유공이 글씨를 써준 뒤 그에게 “장주莊周를 본받으려 하느냐?”라고 묻자, 손방이 글로 써서 “그분을 본받으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라고 답하였다. 유공이 “무엇 때문에 중니仲尼(공자孔子)를 본받지 않고 장주를 본받으려 하느냐?”라고 묻자, 손방이 “중니께서는 나면서부터 아는 분이니 그분에게 미치기를 바라지 못하지만, 장주의 경우는 그 아래에 해당하는 분이기 때문에 본받으려한 것일 뿐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유공이 빈객들에게 “의 대답도 이 아이의 대답보다 나을 수는 없을 듯합니다.”라고 말하였다. 〈손방은〉 재상宰相으로 있다가 죽었다.
왕필王弼왕필王弼


역주
역주1 許由 : 中国 古代 三皇五帝時代의 隠者이다. 전설에 의하면 堯 임금이 허유에게 帝位를 물려주려 하자, 허유는 더러운 말을 들었다며 穎水에서 귀를 씻고 箕山에 들어가 은거하였다고 한다.
역주2 莊周 : 战国时期 道家学派의 대표적인 인물로, 저술로 ≪莊子≫가 있으며 그 안에 〈逍遥游〉 〈齐物论〉 〈养生主〉 등의 名篇이 포함되어 있다. 老子와 더불어 ‘老莊’으로 병칭된다.
역주3 監君 : 孫盛을 말한다. 손성이 秘書監이었기 때문에 감군이라 하였다.(≪世說音釋≫)
역주4 王輔嗣(王弼) : 輔嗣는 王弼(226~249)의 字이다. 왕필은 삼국시대 魏나라의 관원이자 经学家․哲学家로, 魏晉玄学의 대표 인물이자 창시한 사람 중 하나이다. 명철하고 지혜로우며 老子를 좋아하였고 언변에 능통하였다. 저술로 ≪老子注≫․≪老子指略≫․≪周易注≫․≪周易略例≫ 등이 있다.
역주5 長沙王 : 장사왕은 諸侯王의 王號로, 漢나라 때부터 여러 인물들이 이에 봉해졌는데, 西晉 때는 司馬乂와 그의 아들 司馬碩이었다. 이 일화는 사마석이 장사왕으로 있을 때이다.
역주6 生知 : ‘生而知之’의 준말로, 태어나면서부터 알아 배움이 필요 없는 사람을 말한다. 공자가 三知를 말하며 生知․學知․困知를 들었는데 그중 생지를 으뜸으로 들었다.(≪論語≫ 〈季氏〉)

세설신어보(3)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