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江左殷太常父子 竝能言理로되 亦有辯訥之異 揚州 口談至劇하니 太常輒云
更思吾論注+① 中興書曰 “殷融, 字洪遠, 陳郡人. 桓彝有人倫鑑, 見融, 甚歎美之. 著象不盡意․大賢須易論, 理義精微, 談者稱焉. 兄子浩, 亦能淸言, 每與浩談, 有時而屈, 退而著論, 融更居長. 爲司徒左西屬. 飮酒善舞, 終日嘯詠, 未嘗以世務自嬰. 累遷吏部尙書․太常卿, 卒.”하라하다
【頭註】
王云 “以上, 以玄理論文學, 云云.
劉云 “浩長於談, 融長於筆也.”


9-3 강좌江左(동진東晉)의 는 모두 현리玄理의 담론에 뛰어났으나, 역시 달변과 눌변의 차이가 있었다. 〈조카인〉 양주자사揚州刺史(은호殷浩)는 말솜씨가 매우 현란했으니, 〈그가 논변을 펼칠 때마다 숙부인〉 은태상이 번번이 말하였다.
“너는 나의 논의를 다시 생각해 보거라.”注+하법성何法盛의 ≪진중흥서晉中興書≫에 말하였다. “은융殷融홍원洪遠으로, 진군陳郡 사람이다. 환이桓彝는 인물을 제대로 파악하는 식견을 지녔는데, 은융을 보고는 매우 감탄하면서 찬미하였다. 〈상부진의론象不盡意論〉과 〈대현수역론大賢須易論〉을 지었는데, 이치가 정밀하고 의미가 심오하여 담론가들이 칭찬하였다. 그 형(은선殷羨)의 아들 은호殷浩도 역시 청담에 뛰어났는데, 매번 은호와 담론할 때마다 자주 논리가 꺾였으나, 물러나서 논문을 지어 다시 우위에 설 수 있었다. 사도司徒(왕도王導)의 좌서속左西屬이 되었다. 술을 마시고 춤을 잘 추며 온종일 시를 읊조릴 뿐 한 번도 세속의 일로 스스로를 속박하지 않았다.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이부상서吏部尙書태상경太常卿으로 승진한 뒤에 세상을 떠났다.”
두주頭註
왕세무王世懋:이상은 현리玄理로써 문학을 논의한 것이다,
유진옹劉辰翁은호殷浩는 담론에 뛰어났고, 은융殷融은 작문에 뛰어났다


역주
역주1 殷太常(殷融) 부자 : 은융과 殷揚州(殷浩)는 숙부와 조카 사이인데, 옛날에는 叔姪 사이도 ‘父子’라고 통칭하였다.(≪世說音釋≫)
역주2 운운 : 이에 해당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장에서 별도로 하나의 조항을 빼내는 것은 魏나라 때부터 시작되었으니, 이는 하나의 항목을 두 개의 항목으로 분리하는 것이다. 凌濛初(1580~1644)는 “≪世說新語≫에는 이 조항이 ‘太叔廣은 말재주가 매우 뛰어났다(8-42항)’는 항목 다음에 위치하니, 원문의 ‘亦有辯訥之異’의 ‘亦’은 위의 조항을 이어 받은 것이다.” 하였다. 생각건대, ≪世說新語補≫는 당시의 편차에 근거하여 순서의 혼란을 야기했으니, 이는 작자의 의도에 어긋난다.(≪世說箋本≫)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