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夷甫父乂 爲平北將軍일새 有公事하여 使行人論이로대 不得이라 夷甫 在京師라가 命駕하여 見僕射羊祜․尙書山濤 夷甫 時總角이로대 姿才秀異하고 叙致旣快하며 事加有理하니 濤甚奇之 旣退 看之不輟하고 乃歎曰
生兒 不當如王夷甫邪아하니
羊祜曰
亂天下者 必此子也라하다注+① 晉陽秋曰 “夷甫父乂有, 將免官. 夷甫年十七, 見所繼從舅羊祜, 申陳事狀, 辭甚俊偉. 祜不然之, 夷甫拂衣而起. 祜顧謂賓客曰 ‘此人必將以盛名, 處當世大位. 然敗俗傷化者, 必此人也.” 漢晉春秋曰 “初, 羊祜以軍法, 欲斬王戎, 夷甫又忿祜言其必敗, 不相貴重. 天下爲之語曰 ‘二王當朝, 世人莫敢稱羊公之有德.’”
【頭註】
劉云 “代父致辭.”
李云 “羊公, 退一步是步步踏實地人也. 夷甫, 狂者, 自不相入, 安得便再輕重?”
劉云 “羊公識王, 高于巨源.”
又云 “別史云 ‘二王當國, 羊公無德, 更有佳.’”


14-16 의 부친 왕예王乂평북장군平北將軍으로 있을 때 공적인 일이 있어 행인行人(사자使者)을 시켜 진술하였으나 〈뜻대로〉 되지 않았다. 이때 왕이보가 경사京師에 있었는데 수레를 준비하게 하여 복야僕射 양호羊祜상서尙書 산도山濤를 만났다. 왕이보가 이때 머리를 한 소년이었는데 자태가 빼어나고 재주가 뛰어났으며 서술이 명쾌한데다 일처리까지 논리가 있자, 산도가 그를 매우 기특하게 여겼다. 그가 물러가자 하염없이 바라보면서 감탄하여 말하였다.
“자식을 낳으면 왕이보 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그러자 양호가 말하였다.
“천하를 어지럽힐 자가 필시 이 아이일 것입니다.”注+에 말하였다. “왕이보王夷甫(왕연王衍 256~311)의 부친 왕예王乂는 〈비난하는〉 문서가 있어서 장차 관직에서 파면될 상황이었다. 왕이보가 당시 17살이었는데, 계모繼母종형제從兄弟양호羊祜(211~278)를 만나 일의 실상을 자세히 진술할 때 말이 매우 준엄하고 훌륭하였다. 양호가 자신의 말을 인정하지 않자, 왕이보는 옷자락을 떨치며 일어나 버렸다. 양호가 돌아보며 빈객에게 말하기를, ‘이 사람은 필시 성대한 명성으로 당대의 높은 지위에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풍속을 무너뜨리고 교화를 해칠 자는 필시 이 사람이다.’” 하였다.
에 말하였다. “처음에 양호羊祜군법軍法으로 〈왕연王衍종형從兄인〉 왕융王戎을 처형하려 하였고, 왕이보는 또 양호가 자신을 두고 반드시 패망할 것이라 말한 것을 분하게 여겨 서로 존중하지 않았다. 천하 사람들이 그 때문에 말하기를, ‘두 왕씨王氏(왕융王戎왕연王衍)가 정권을 잡고 있을 때는 세상 사람들이 양공羊公에게 덕이 있다고 칭찬해서는 안 된다.’라고 하였다.”
두주頭註
유진옹劉辰翁:부친을 대신하여 진술한 것이다.
이지李贄:양공은 한 걸음 물러나서 걸음걸음이 차분한 사람이고, 이보夷甫(왕연王衍)는 광자狂者라서 자연히 서로 맞지 않으니, 어찌 더 이상 평가할 수 있겠는가.
◦ 유진옹:양공(양호羊祜)이 왕연王衍을 알아본 것이 거원巨源(산도山濤)보다 뛰어나다.
◦ 유진옹:별사別史에 이르기를 ‘두 왕씨(왕융王戎왕연王衍)가 정권을 잡았을 때, 양공은 아무런 이 없었으니 더욱 뛰어나다.’ 하였다.


역주
역주1 王夷甫(王衍) : 256~311. 字는 夷甫이고, 瑯琊 臨沂 사람이다. 瑯琊王氏 출신으로, 司徒 王戎의 堂弟이고, 西晉에서 司徒를 지냈다. 清談을 좋아하고 실제 정사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三公의 한 사람으로서 국가를 구하지 않고 保身만 추구하다가 결국 石勒에게 잡혀 죽임을 당하였다. 후세에서 그를 ‘청담으로 나라를 망친 자’라고 비난하여 서진 멸망에 책임이 있다고 평가하였다.(≪晉書≫ 〈王衍傳〉)
역주2 總角 : 머리털을 모두 모아 양쪽에 뿔[角]같이 상투를 만든 것을 말한다. 고대에 兒童들이 하던 머리 형태이다. 여기서 총각 머리를 했다는 것은 王衍이 이때 소년이었음을 뜻한다.
역주3 晉陽秋 : 東晉의 孫盛(302~374)이 편찬한 책으로 32권이며 西晉과 東晉의 역사를 기술하였다.
역주4 漢晉春秋 : 東晉의 習鑿齒가 편찬한 史書로, 後漢의 光武帝부터 西晉의 晉愍帝(司馬鄴)까지의 약 300년간의 역사가 서술되어 있다.
역주5 簡書 : 秦ㆍ漢 이전에는 종이가 없어 竹簡에 글자를 썼으므로 ‘簡書’라고 하였다. 후에는 文書나 公案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