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宣武 集諸名勝하여 講易注+① 易乾鑿度曰 “孔子曰 ‘易者, 易也, 變易也, 不易也. 三成德, 其德也. 光明四通, 日月星辰布, 八卦序, 四時和也, 變也者, 天地不變, 不能成朝, 夫婦不變, 不能成家, 不易者, 其位也, 天在上地在下, 君南面臣北面, 父坐子伏, 此其不易也. 故易者, 天地人道也.’” 鄭玄序易曰 “易之爲名也, 一言而函三義. 簡易, 一也, 變易, 二也, 不易, 三也. 繫辭曰 ‘乾坤, 易之蘊也, 易之門戶也.’ 又曰 ‘乾, 確然示人易矣, 坤, 隤然示人簡也. 易則易知, 簡則易從.’ 此言其簡易法則也. 又曰 ‘其爲道也, 屢遷, 變動不居, 周流六虛, 上下無常, 剛柔相易, 不可以爲典要, 唯變所適.’ 此則言其從時出入移動也. 又曰 ‘天尊地卑, 乾坤定矣, 卑高以陳, 貴賤位矣, 動靜有常, 剛柔斷矣.’ 此則言其張設布列不易也. 據此三義而說易之道, 廣矣大矣.”하되 日說一卦이라 簡文欲聽이어늘 聞此하고 便還曰
義自當有難易하니 其以一卦爲限耶아하다


8-32 환선무桓宣武(환온桓溫)가 여러 들을 모아 ≪주역周易≫을 강론했는데,注+에 말하였다. “공자孔子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이라는 것은 간이簡易(간단하고 평이함), 변역變易(변화함), 불역不易(변화하지 않음)의 의미가 있다. 〈하나의 글자 「」이〉 간이․변역․불역의 의미를 포괄하여 (능력)을 이루니, 각종의 를 발현시키는 이 된다. 「간이」라는 것은 그 의 측면을 말한 것이다. 광명光明하여 사방으로 통하여 일월성신日月星辰이 하늘에 펼쳐져 있고 팔괘가 질서정연하며 네 계절이 조화로운 것을 가리키니, 이것이 바로 간단하고 평이하다[]는 것이다. 「변역」이라는 것은 그 의 측면을 말한 것이다. 것을 가리키니, 이것이 바로 변화한다[변역變易]는 것이다. 「불역」이라는 것은 그 의 측면을 말한 것이다. 하늘은 위에 있고 땅은 아래에 있으며, 군주는 남쪽을 향하고 신하는 북쪽을 향하며, 아버지는 앉고 자식은 엎드리는 것을 가리키니, 이것이 바로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다[불역不易]는 것이다.
정현鄭玄의 ≪주역周易에 말하였다. “이라는 명칭은 하나의 글자에 세 가지 의미를 포함하고 있으니, ‘간이’가 첫째이고, ‘변역’이 둘째이고, ‘불역’이 셋째이다.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 〉에서 이라고 하고, 〈계사전繫辭傳 〉에서 ‘건괘와 곤괘는 의 문’이라고 하였으며, 또 〈계사전 하〉에서 ‘천도天道은 굳세어 사람들에게 평이한 도리를 보여주고, 지도地道은 유순하여 사람들에게 간략한 도리를 보여준다.’ 하고, 〈계사전 상〉에서 ‘평이하면 알기 쉽고 간략하면 따르기 쉽다.’ 하였으니, 이는 ‘간이’의 법칙을 말한 것이다. 또 〈계사전 하〉에서 ‘가 자주 바뀌니, 변동하여 한 곳에 머물지 않아서 의 여섯 자리에 두루 흐르기 때문에 오르내림에 일정함이 없고 가 서로 바뀌어서 전요典要(일정한 법칙)로 삼을 수 없으니, 오직 맞닥뜨리는 상황마다 변화한다.’ 하였으니, 이는 때에 따라 출입하고 이동하는 〈‘변역’을〉 말한 것이다. 또 〈계사전 상〉에서 ‘하늘은 높고 땅은 낮으니 이 정해지고, 낮음과 높음이 펼쳐지니 이 제자리를 잡고, 에 일정함이 있으니 가 결정된다.’ 하였으니, 이는 자리가 사방으로 펼쳐질 때의 ‘불역’을 말한 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의미에 근거하여 를 설명하는 것은 넓고도 크다.”
하루에 하나의 만 설명하였다. 동진東晉 간문제簡文帝(사마욱司馬昱)가 그의 강론을 들으러 가려다가 이런 소식을 듣고는 즉시 돌아오면서 말하였다.
“의미는 본래 당연히 어려운 부분과 쉬운 부분이 있으니, 어찌 하나의 로 한정하는가.”


역주
역주1 名士 : 원문은 ‘名勝’이다. ≪資治通鑑≫ 注에 따르면, 江東의 인사들 가운데 명성이 뛰어나고 지위가 현달한 사람을 ‘佳勝’, ‘명승’이라고 불렀다.(≪世說音釋≫)
역주2 周易乾鑿度 : 西漢 말기에 유행한 ≪易緯≫ 가운데 하나로, ≪易緯乾鑿度≫․≪乾鑿度≫라고도 한다. 그 내용은 道家․大易․術數를 하나로 융합한 것인데, 緯書 가운데 철학사상이 비교적 풍부하다.
역주3 包籥(포약) : ≪世說新語補觿≫에서는 ‘橐籥(풀무)’으로 해석하였고, ≪世說新語補考≫와 ≪世說音釋≫에서는 ‘管(열쇠․관건)’으로 해석하였다.
역주4 천지가……없고 : 晝夜의 발생을 이른다.(≪世說新語補觿≫)
역주5 부부가……없다는 : 부부일 뿐이라면 대대로 가정을 이룰 수 없으니, 이는 生生의 도리를 이른다.(≪世說新語補觿≫)
역주6 ≪周易乾鑿度≫에……道이다 : 이곳에 인용된 ≪周易乾鑿度≫의 내용은 今本 ≪周易乾鑿度≫와 비교할 때, 일부 내용상 축약이 있다.
역주7 : ≪周易正義≫ 〈周易正義卷首〉의 첫 번째 항목 ‘論易之三名’에서 孔穎達이 인용한 ≪易贊≫과 ≪易論≫의 내용이다.
역주8 乾卦와……온축 : 64괘의 전체 의미가 모두 乾卦와 坤卦 속에 들어 있다는 뜻이다.
역주9 [管] : 저본에는 ‘管’이 없으나, 四庫全書本 ≪周易乾鑿度≫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0 (爲道包籥者易也)[爲道包籥易者] : 저본에는 ‘爲道包籥者易也’로 되어 있으나, 四庫全書本 ≪周易乾鑿度≫에 의거하여 ‘爲道包籥易者’로 바로잡았다. 安永本에는 ‘爲道包籥易也者’로 되어 있다.
역주11 [此其易也] : 저본에는 ‘此其易也’가 없으나, 四庫全書本 ≪太平御覽≫에서 인용한 ≪周易乾鑿度≫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2 [其氣也] : 저본에는 ‘其氣也’가 없으나, 四庫全書本 ≪太平御覽≫에서 인용한 ≪周易乾鑿度≫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3 [此其變易也] : 저본에는 ‘此其變易也’가 없으나, 四庫全書本 ≪太平御覽≫에서 인용한 ≪周易乾鑿度≫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