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殷中軍 見佛經하고
注+① 佛經之行中國, 尙矣, 莫詳其始. 牟子曰 “漢明帝夜夢神人, 身有日光. 明日博問群臣, 通人傅毅對曰 ‘臣聞天竺有道者, 號曰佛, 輕擧能飛, 身有日光, 殆將其神也.’ 於是, 遣羽林將軍秦景․博士弟子王遵等十二人, 之大月氏國, 寫取佛經四十二, 在蘭臺石室.” 劉子政列仙傳曰 “歷觀百家之中, 以相檢驗, 得仙者百四十六人. 其七十四人已在佛經, 故撰得七十, 可以多聞博識者遐觀焉.” 此卽漢成․哀之間, 已有經矣, 與牟子傳記, 便爲不同. 魏略西戎傳曰 “天竺城中有臨兒國. 浮屠經云 ‘其國王生浮圖, 浮圖者, 太子也. 父曰屑頭邪, 母曰莫邪. 浮屠者, 身色黃, 髮如靑絲, 爪如銅. 其母夢白象而孕, 及生, 從右脅出而有髻, 墜地能行七步.’ 天竺又有神人, 曰沙律. 昔漢哀帝元壽元年, 博士弟子景慮, 受大月氏王使伊存口傳浮屠經, 曰 ‘復豆者, 其人也.’” 漢武故事曰 “昆邪王殺休屠王, 以其衆來降, 得其金人之神, 置之甘泉宮, 金人皆長丈餘. 其祭不用牛羊, 惟燒香禮拜, 上使依其國俗祀之.” 此神全類於佛, 豈當漢武之時, 其經未行於中土, 而但神明事之邪. 故驗劉向․魚豢之說, 佛至自哀․成之世, 明矣. 然則所言四十二者, 其文今存非妄, 盖明帝遣使廣求異聞, 非是時無經也.이라하다


8-18 은중군殷中軍(은호殷浩)이 불경佛經을 보고 말하였다.
“이치가 응당 에 있지.”注+① 불경이 중국에 유행한 지 오래되었으나 그 시초는 알지 못한다.
에 말하였다. “ 명제明帝가 밤에 꿈을 꾸었는데, 몸에 태양 같은 광채가 나는 신인神人이 등장하였다. 다음날 여러 신하에게 〈이에 대해〉 널리 물었더니, 모든 것에 통달한 사람인 부의傅毅가 대답하였다. ‘제가 들으니, 천축天竺(부처)이라고 불리는 도통한 자가 있는데, 가볍게 뛰어 올라 날아다닐 수 있고 몸에 태양 같은 광채가 난다고 하니 아마 그 신인인 듯합니다.’ 이에 우림장군羽林將軍 진경秦景박사제자博士弟子 왕준王遵 등 12명을 대월지국大月氏國에 파견하여 불경 을 필사해서 가져오게 하고, 그것을 난대석실蘭臺石室(궁중도서관)에 보관하였다.”
유자정劉子政(유향劉向)의 ≪열선전列仙傳≫에 말하였다. “모든 학파의 책을 두루 살펴보면서 검사하고 증명해보니 신선이 된 자가 146명인데, 그 가운데 74명은 이미 불경에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 의 행적을 찬술하여 박학다식한 사람들이 두루 살펴볼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다면
어환魚豢의 ≪위략魏略≫ 〈서융전西戎傳〉에 말하였다. “천축국天竺國 가운데 임아국臨兒國(룸비니, Lumbinī)이 있다. ≪부도경浮屠經≫에 ‘그 국왕이 부도浮圖(붓다, Buddha)를 낳았는데, 부도는 〈그 나라의〉 태자太子이다. 부친의 이름은 설두사屑頭邪(슈도다나, Śuddhodana)이고, 모친의 이름은 막야莫邪(마야, Māyā)이다. 부도는 몸의 빛깔이 황금색이고 머리카락이 푸른 실과 같으며 손톱이 구리와 같았다. 그 모친이 꿈에 흰 코끼리를 본 뒤에 잉태했는데, 태어날 때 모친의 오른쪽 옆구리에서 나오고 상투가 있으며, 땅에 떨어졌을 때 일곱 걸음을 걸을 수 있었다.’ 하였다. 천축국에 또 사율沙律이라는 신인이 있다. 옛날 한 애제 원수元壽 원년(B.C. 2)에 박사제자 경려景慮가 대월지국 왕의 사신 이존伊存이 구전으로 전해준 ≪부도경≫을 받았는데, 〈그 내용에 보이는〉 ‘복두復豆(Buddha)라는 사람이 바로 그 사람이다.’ 하였다.”
한무고사漢武故事≫에 말하였다. “〈흉노의〉 혼야왕昆邪王휴도왕休屠王을 살해하고 그 백성을 데리고 와서 투항했을 때 황금 신상神像을 얻어 감천궁甘泉宮에 안치했는데, 황금 신상은 모두 키가 1 남짓이었다. 〈투항한 자들이〉 이 황금 신상에 제사 지낼 때, 소나 양을 쓰지 않고 단지 향을 사르면서 예배할 뿐이었는데, 황제가 그 나라의 풍속에 따라 제사 지내게 하였다.”
이러한 신은 부처와 완전히 같은 것이니, 한 무제 시대에 그 경전이 중국에 유행하지 않은 상황에서 어찌 단지 신명神明으로 섬겼겠는가. 그러므로 그렇다면 ≪모자≫의 기록에서 언급한 ≪사십이장경≫은 그 문장이 현재 존재하여 거짓이 아니니, 아마 명제가 사신을 파견하여 신기한 이야기를 광범위하게 수집한 것이고 그때 불경이 없었던 것은 아닐 것이다.


역주
역주1 이것 : 원문은 ‘阿堵’인데, 魏晉南北朝시대의 구어로, ‘這(이)’, ‘這個(이것)’의 뜻이다.
역주2 牟子 : 170∼? 이름은 融, 字는 子博으로, 蒼梧郡의 廣信 사람이고, 東漢 말년의 佛學家이다. 제자백가의 학설에 정통하고 廣西지역에서 최초로 불학을 연구한 사람이다. 三國시대 초기에 유가와 도가의 학설을 종합하여 ≪理惑論≫ 37편을 지었는데, 이는 중국 최초로 불학을 연구한 책이다.
역주3 四十二章經 : 後漢 明帝 때에 인도 사람 迦葉摩騰과 竺法蘭이 번역하여 최초로 중국에 전한 불교 경전으로, 불교의 중요한 교훈을 뽑아 42단락으로 분류하고 적절한 비유로 설명한 책이다.
역주4 70명 : 신선이 된 146명 가운데 불경에 기재된 74명을 제외하면 72명이 되어야 하는데, 현존 ≪列仙傳≫에는 70명이 수록되어 있다.
역주5 漢나라……않는다 : 劉向의 생몰년이 B.C. 77∼B.C. 6인데, 이는 漢 成帝(재위기간 B.C. 33∼B.C. 7)와 哀帝(재위기간 B.C. 7∼B.C. 1)의 시대에 해당하기 때문에 ≪牟子≫에서 말한 明帝(재위기간 57∼75)보다 앞선다는 뜻이다.
역주6 유향과……명백하다 : 漢 武帝(재위기간 B.C. 141∼B.C. 87)의 시대가 成帝(재위기간 B.C. 33∼B.C. 7)와 哀帝(재위기간 B.C. 7∼B.C. 1) 이전이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역주7 理亦應阿堵上 : 저본에는 ‘理亦應阿堵上’으로 되어 있으나, ≪野客叢書≫와 ≪太平御覽≫ 〈釋部〉에는 ‘理應在阿堵上’으로 되어 있다. 校勘은 별도로 하지 않고 번역에만 참조하였다.
역주8 (部)[章] : 저본에는 ‘部’로 되어 있으나, ≪四十二章經≫에 의거하여 ‘章’으로 바로잡았다.
역주9 (服)[𦙀] : 저본에는 ‘服’으로 되어 있으나, 安永本․≪世說音釋≫․≪世說新語補觿≫․≪世說箋本≫에 의거하여 ‘𦙀’으로 바로잡았다. ≪世說音釋≫에서는 ≪字彙≫를 인용하여 “𦙀은 발음이 畔이고 뜻이 肉이다.” 하였다.
역주10 牟傳 : ‘傳’은 일부 ≪世說新語≫ 판본(宋本)에 ‘傅’로 되어 있다. ≪世說音釋≫과 ≪世說箋本≫에서도 ‘傅’로 보고 牟傅를 ‘≪牟子≫와 傅毅’라고 하였으나, ≪四十二章經≫을 언급한 것은 ≪모자≫이지 부의가 아니다. ≪모자≫에 인용된 부의의 말 바로 뒤에 ≪사십이장경≫이 나오므로 착각한 듯하다. ‘牟傳’은 앞에서 언급한 ‘牟子傳記(≪모자≫의 기록)’의 뜻으로 보아야 할 듯하다.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