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顧榮 在洛陽 嘗應人請한대 覺行炙人 有欲炙之色하고 因輟己施焉하다 同坐嗤之하니 榮曰
豈有終日執之而不知其味者乎아하다
遭亂渡江할새 每經危急 常有一人左右己한대 問其所以하니 乃受炙人也注+① 文士傳曰 “榮, 字彥先, 吳郡人. 其先越王勾之支庶, 封於顧邑, 子孫遂氏焉. 世爲呉著姓, 大父雍, 吳丞相, 父穆, 宜都守. 榮, 少朗俊機警, 風穎標徹, 歷廷尉正. 曾在省與同僚共飮, 見行炙者有異於常僕, 乃割炙以噉之. 後趙王倫篡位, 其子爲中領軍, 逼用榮爲長史. 及倫誅, 榮亦被執, 凡受戮等輩十有餘人. 或有救榮者, 問其故, 曰 ‘某, 省中受炙臣也.’ 榮乃悟而嘆曰 ‘一餐之惠, 恩今不忘, 古人豈虛言哉.’”
【頭註】
應登云 “請, 謂以酒食請之.”
劉云 “不可謂無.”


1-38 고영顧榮낙양洛陽에 있을 때 어느 날 어떤 사람의 초청에 응하여 갔는데, 구이를 나르는 사람이 구이를 먹고 싶어 하는 기색이 있는 것을 알아채고 자기가 먹으려던 고기를 그에게 주었다. 같은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 비웃자, 고영이 말하였다.
고영顧榮고영顧榮
“어찌 하루 종일 〈고기를〉 만지면서 그 맛을 알지 못해서야 되겠습니까.”
후에 난리를 만나 강을 건널 때 매번 위급한 일을 만나면 늘 어떤 사람이 자신을 도와주었는데, 그 이유를 물어보니 바로 그때 구이를 받아먹었던 사람이었다.注+에 말하였다. “고영顧榮언선彥先이고, 오군吳郡 사람이다. 그의 선조는 월왕越王 구천勾踐의 후손인데 고읍顧邑에 봉해져 자손들이 마침내 〈읍명邑名으로〉 성씨姓氏를 삼았다. 대대로 나라의 명문가가 되어 대부大父 고옹顧雍은 오나라의 승상을 지냈고, 부친 고목顧穆의도태수宜都太守였다. 고영은 젊어서부터 명철하고 민첩하였으며 풍채가 빼어나고 눈에 띄었으며, 정위정廷尉正을 역임하였다. 한번은 에 있을 때 동료와 같이 음식을 먹는데 구이를 나르는 자가 다른 종과 남다른 것을 보고 고기를 잘라주어 먹게 하였다. 후에 조왕趙王 사마륜司馬倫이 찬탈하고 그 아들이 중령군中領軍이 되자 고영을 핍박하여 장사長史에 기용하였다. 사마륜이 주살되자 고영 역시 붙잡혔는데 같은 무리 중에 죽임을 당한 자가 10여 인이나 되었다. 그런데 어떤 이가 고영을 구제해주어 그 이유를 물으니 ‘저는 성에서 구이를 받았던 신하입니다.’ 하였다. 고영이 마침내 기억해내고는 ’라고 감탄하였다.”
두주頭註
유응등劉應登:청하였다는 것은 술과 밥으로 초청한 것을 말한다.
유진옹劉辰翁:은혜를 아는 이가 없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


역주
역주1 文士傳 : 晉나라의 張隱이 편찬한 史部 傳記類에 속하는 책으로, 원본은 5권이었으나 산실되었고 지금 魯迅이 집록한 輯本 등이 남아 있다. 張隱에 대해서는 미상이나, ≪晉書≫ 〈陶侃傳〉에 실린 ‘廬江太守 张夔의 아들로, 陶侃의 參軍을 지낸 인물’이라는 주장도 있다.
역주2 밥……했겠는가 : ≪春秋左氏傳≫ 宣公 2년 條에 나오는 일화를 가리키는 것으로, 趙宣子가 首山에서 사냥할 때 3일을 굶은 靈輒이라는 사람에게 밥과 고기를 후하게 주어 먹였는데 그 후 晉 靈公의 甲士가 된 영첩이 전쟁터에서 창을 돌려 조선자를 위험에서 구해준 일을 말한다.
역주3 (賤)[踐] : 저본에는 ‘賤’으로 되어 있으나, ≪史記≫ 〈越王句踐世家〉와 ≪世說新語≫에 의거하여 ‘踐’으로 바로잡았다.
역주4 (大)[太] : 저본에는 ‘大’로 되어 있으나, 安永本에 의거하여 ‘太’로 바로잡았다.
역주5 知恩 : 元刊本 ≪世說新語≫에는 ‘知恩’ 2자가 없다.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