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或問顧長康하되
君箏賦 何如嵆康琴賦오하니
顧曰
不賞者 作後出이라하여 相遺 深識者 亦以高奇見貴注+① 中興書曰 “愷之, 博學有才氣. 爲人遲鈍, 而自矜尙, 爲時所笑.” 宋明帝文章志曰 “桓溫云 ‘顧長康, 體中癡黠各半, 合而論之, 正平平耳.’ 世云有三絶, 畫絶․文絶․癡絶.” 續晉陽秋曰 “愷之, 矜伐過實, 諸年少因相稱譽, 以爲戱弄. 爲散騎常侍, 與謝瞻連省, 夜於月下長詠, 自云得先賢風制, 瞻每遙贊之, 愷之得此, 彌自力忘倦. 瞻將眠, 語搥脚人令代, 愷之不覺有異, 遂幾申旦而後止.”라하다


9-11 혹자가 고장강顧長康(고개지顧愷之)에게 물었다.
고개지顧愷之고개지顧愷之
“그대의 〈쟁부箏賦〉는 혜강嵆康의 〈금부琴賦〉와 비교하면 어떻습니까?”
고장강이 말하였다.
“〈제대로〉 감상할 줄 모르는 사람은 나의 작품이 〈금부〉보다 뒤에 나왔다고 버려두지만, 식견이 높은 사람은 역시 매우 뛰어나다고 하여 귀하게 여깁니다.”注+하법성何法盛의 ≪진중흥서晉中興書≫에 말하였다. “고개지顧愷之는 박학다식하고 재능이 있었다. 사람됨이 둔하고 똑똑하지 못했으면서도 스스로 잘났다고 뽐냈기 때문에 당시 사람들의 비웃음을 샀다.”
남조南朝 명제明帝의 ≪문장지文章志≫에 말하였다. “환온桓溫이 ‘고장강顧長康(고개지顧愷之)은 몸속에 어리석음과 총명함이 각각 절반이니, 종합적으로 논평하면 바로 중간 정도 수준이다.’ 하였다. 세상에서는 〈그에게〉 삼절三絶(세 가지 뛰어난 점)이 있다고 하는데, 그것은 화절畫絶(그림의 뛰어남)․문절文絶(문장의 뛰어남)․치절癡絶(어리석음의 뛰어남)이다.”
단도란檀道鸞의 ≪속진양추續晉陽秋≫에 말하였다. “고개지顧愷之는 자랑과 뽐냄이 실상을 지나쳤기 때문에 여러 연소자들이 그를 칭찬함으로써 조롱거리로 삼았다. 〈그가〉 산기상시散騎常侍가 되었을 때 사첨謝瞻과 관사가 맞닿아 있었다. 〈그가〉 밤에 달빛 아래에서 오래도록 시를 읊조리고는 스스로 선현先賢풍제風制(정취)를 얻었다고 하면 사첨이 매번 멀리서 칭찬해주었는데, 고개지는 그런 칭찬을 듣고 싶어서 피곤함을 잊은 채 더욱 힘썼다. 사첨이 잠자리에 들면서 발을 안마하는 시종에게 대신 칭찬하도록 했는데도 고개지는 이상한 점을 알아채지 못하고 마침내 새벽이 되어서야 〈낭송을〉 멈추었다.”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