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3)

세설신어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蜀先主 嘗因旱儉禁酒러니 刑吏 於人家 檢得釀具하여 欲令與釀酒者同罰이러니 簡雍從先主遊라가 見一男子行道하고 謂先主曰
彼人欲行淫이어늘 何以不縛
先主曰
卿何以知之
雍曰
彼有淫具하여 與欲釀同이라하니
先主大笑하고 命原欲釀者注+① 蜀志曰 “簡雍, 字憲和, 涿郡人. 少與先主有舊, 隨從周旋. 先主至荊州, 與竺․孫乾同爲從事中郞, 常爲談客, 往來使命. 後拜昭德將軍. 優游諷議, 性簡傲跌宕, 在先主坐, 猶箕踞傾倚. 諸葛亮已下, 則獨擅一榻, 枕臥語, 無所爲屈.”하다


19-5 【선주先主(유비劉備)가 가뭄으로 흉년이 들자 금주령을 내린 적이 있었다. 형리刑吏가 인가에서 술 빚는 도구를 찾아내어 술을 빚는 자와 동일하게 처벌시키려고 했다. 당시 간옹簡雍이 선주를 따라 밖으로 나가 돌아보고 있었는데, 어떤 남자가 길을 가는 것을 보자 선주에게 말했다.
“저 사람은 음탕한 짓을 하려고 합니다. 어찌하여 포박하지 않으십니까?”
선주가 말했다.
“경은 어떻게 아는가?”
간옹이 말했다.
“저 사람은 음탕한 물건을 갖고 있으니 술을 빚으려 하는 것과 같습니다.”
선주가 크게 웃고는 술을 빚으려고 한 자를 용서해 주라고 명하였다.注+① ≪촉지蜀志≫에 말했다. “간옹簡雍헌화憲和탁군涿郡 사람이다. 젊어서부터 선주先主와 오랜 친분이 있어 수행하며 일을 처리했다. 선주가 형주荊州에 이르렀을 때 미축糜竺, 손건孫乾과 함께 종사중랑從事中郞이 되었으며 늘 세객說客이 되어 〈여러 곳을〉 왕래하며 사명使命을 수행하였다. 뒤에 소덕장군昭德將軍에 제수되었다. 풍간을 잘하였으며 성품은 도도하고 구애됨이 없어 선주가 있는 자리에서도 다리를 벌리고 앉거나 비딱하게 서곤 했다. 제갈량諸葛亮 이하의 사람을 만나면 혼자 자리를 다 차지하고 베개를 베고 누워 이야기를 하였으며 남에게 굴복하는 일이 없었다.”


역주
역주1 糜麋 : ≪三國志≫ 〈蜀書 簡雍傳〉에는 ‘麋’로 되어 있다.
역주2 : ≪三國志≫ 〈蜀書 簡雍傳〉에는 ‘適’ 앞에 “威儀不肅, 自縱”이 있어 ‘適’이 앞 문장에 포함된다. 이 경우 ‘縱適’은 선제 앞에서 구애받지 않고 마음대로 행동하는 간옹의 태도를 이르는 말이 된다.
역주3 (頂)[項] : 저본에는 ‘頂’으로 되어 있으나, ≪三國志≫ 〈蜀書 簡雍傳〉에 의거하여 ‘項’으로 바로잡았다.

세설신어보(3)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