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服虔 旣善春秋하고 將爲注 欲參考同異러니 聞崔烈 集門生講傳注+① 摯虞文章志曰 “烈, 字威考, 高陽安平人, 駰之孫․瑗之兄子也. 靈帝時, 官至司徒․太尉, 封陽平亭侯.”하고 遂匿姓名하여 爲烈門人賃作食이라
每當至講時하여는 輒竊聽戶壁間이러니 旣知不能踰己하고 稍共諸生으로 敍其短長하니 烈聞 不測何人이나 然素聞虔名하니 意疑之
明蚤往하니 及未寤할새 便呼子愼子愼하니 不覺驚應하고 遂相與友善이라


7-5 복건服虔이 ≪춘추春秋≫에 해박해진 뒤에 주해하려고 할 때에 〈다른 사람의 견해와〉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참고하고자 했는데, 〈마침〉 최열崔烈이 문하생을 모집하여 〈≪춘추≫를〉 강의한다는 소식을 듣고는注+에 말하였다. “최열崔烈위고威考로, 고양高陽안평安平 사람이고, 최인崔駰의 손자이자 최원崔瑗의 형의 아들이다. 후한後漢 영제靈帝 때에 관직이 사도司徒태위太尉에 이르고 양평정후陽平亭侯에 봉해졌다.” 마침내 자신의 성명을 숨기고 최열의 문하생에게 밥을 해주는 품팔이꾼으로 고용되었다.
매번 최열이 강론할 때가 되면 그때마다 지게문과 벽 사이에서 몰래 엿들었는데, 〈최열의 강론 수준이〉 자신을 능가하지 못한다는 것을 안 뒤에 잠시 여러 문하생들에게 강론의 장점과 단점을 진술하였다. 최열이 〈복건의 평가를〉 듣고는 그가 누구인지 추측하지 못했으나, 평소에 복건의 이름을 들었던 터라 마음속으로 〈복건이 아닌지〉 의심하였다.
다음날 아침 〈최열이 복건의 거처에〉 갔는데 〈복건이〉 아직 깨기 전이었다. 최열이 ‘자신子愼, 자신子愼’ 하면서 〈복건의 를〉 부르자, 복건이 부지불식간에 놀라면서 대답하여 〈신분이 드러나게 되었고〉 마침내 이들은 서로 친밀하게 되었다.


역주
역주1 摯虞 : 지우(250~300)는 西晉시대 저명한 학자로, 字가 仲洽이고, 京兆 長安 사람이다. 젊어서 皇甫謐(황보밀)을 섬겼으며, 재주와 학문이 뛰어나 박식하였고, 저서로 ≪族姓昭穆≫․≪文章志≫․≪流別集≫이 있다.
역주2 文章志 : 魏晉南北朝시대에 처음 출현한 것으로, 문장가의 小傳, 작자가 지은 문장의 유형․제목․편수, 문장에 대한 논평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摯虞의 ≪문장지≫를 시작으로 傅亮의 ≪續文章志≫, 丘深之의 ≪晉義熙以來新集目錄≫, 宋 明帝의 ≪晉江左文章志≫, 沈約의 ≪宋世文章志≫, 顧愷之의 ≪晉文章志≫, 丘靈鞠의 ≪江左文章錄序≫ 등이 있는데, 모두 散佚되었다. ≪晉書≫ 〈摯虞傳〉에 “지우가 ≪문장지≫ 4권을 지었다.” 하였다.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