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荀慈明 與汝南袁閬으로 相見注+① 荀爽, 一名諝. 漢南紀曰 “諝, 文章典籍, 無不涉. 時人諺曰 ‘荀氏八龍, 慈明無雙.’ 潛處篤志, 徵聘無所就.” 張璠漢紀曰 “董卓秉政, 復徵爽, 爽欲遁去, 吏持之急. 起布衣, 九十五日而至三公.” 問(頴)[潁]川人士 慈明 先及諸兄하니 笑曰
士但可因親舊而已乎아하다
慈明
足下相難하니 依據者 何經고하니
方問國士어늘 而及諸兄하니 是以 尤之耳라하다
慈明
昔者 內擧不失其子하고 外擧不失其讎하니 以爲至公注+② 春秋傳曰 “(祈)[祁]奚爲中軍尉, 請老, 晉侯問嗣焉. 稱解狐, 其讎也. 將立之而卒, 又問焉, 對曰 ‘午也可.’ 其子也. 君子謂(祈)[祁]奚可謂能擧善矣. 稱其讎不爲諂, 立其子不爲比.”이라 公旦文王之詩 不論堯舜之德하고 而頌文武者 親親之義也 春秋之義 内其國而外諸夏하니 且不愛其親而愛他人者 不為悖德乎아하다
【頭註】
李云 “無味.”


3-7 순자명荀慈明(순상荀爽)이 여남汝南원랑袁閬과 서로 만났을 때,注+순상荀爽순서荀諝라고도 한다. 에 말하였다. “순서는 문장文章전적典籍을 섭렵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당시 사람들의 속담에 ‘순씨荀氏팔룡八龍 중에 자명慈明이 제일이다.’라고 하였다. 은거하며 〈학문의〉 뜻을 돈독히 하여 벼슬에 불러도 나아가지 않았다.”
에 말하였다. “동탁董卓이 정권을 잡고 다시 순상을 불렀는데, 순상이 도망가려 하자 관리가 급히 붙잡았다. 〈벼슬 없는〉 포의布衣에서 발탁되어 95일 만에 〈지위가〉 삼공三公에 이르렀다.”
〈원랑이〉 영천潁川인사人士에 대해 물어보았다. 순자명이 먼저 자신의 형들을 언급하자, 원랑이 웃으며 말했다.
“선비께서는 단지 친척과 친구에게 기댈 수밖에 없는 것입니까?”
순자명이 말했다.
“그대가 저를 힐책하시는데 근거는 어떤 경전입니까?”
원랑이 말했다.
“금방 나라의 인재들을 물어보았는데 형들을 언급하였으니, 이 때문에 나무랐을 뿐입니다.”
순자명이 말했다.
“옛날 기해祁奚가 친척을 천거할 때 자신의 아들을 빠트리지 않았고, 외부 사람을 천거할 때 원수를 빠트리지 않았으니, 〈사람들이〉 지극히 공정하다고 여겼습니다.注+②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양공襄公 3년에 말하였다. “기해祁奚중군위中軍尉일 때에 연로하여 사직하겠다고 청하자, 진후晉侯가 후임을 물었다. 해호解狐를 천거했는데, 그의 원수였다. 장차 해호를 〈후임으로〉 세우려고 했는데 그가 죽어서 또 물어보니, 대답하기를 ‘기오祁午가 좋습니다.’라고 하였는데, 그의 아들이었다. 군자君子들은 기해가 좋은 사람을 잘 추천한다고 이를 만하다고 하였다. 원수를 천거했으나 〈사람들은〉 아첨한다고 여기지 않았고, 아들을 세웠으나 당파를 짓는다고 여기지 않았다.” 친친親親(자기의 친속을 친애하는 것)의 의리입니다. ≪춘추春秋≫의 의리는 자신의 나라를 안으로 삼고 중원의 다른 제후국들을 밖으로 삼았습니다. 자신의 친족을 사랑하지도 않으면서 다른 이를 사랑하는 것은 패덕悖德이 아니겠습니까?”
무왕武王무왕武王
문왕文王문왕文王
두주頭註
이지李贄:아무 맛이 없다.


역주
역주1 漢南紀 : 後漢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後漢南紀≫라고도 한다. 東晉의 張瑩이 지었으며 55권 또는 58권이라고 한다. 일찍 망실되었고 남아 있는 부분도 적다.
역주2 張璠의 ≪漢紀≫ : 張璠은 삼국시대 魏나라 사람으로, 晉나라에 들어서서는 令史가 되었다. ≪後漢紀≫ 30권을 찬술하였는데 널리 유전되지 못하고 일찍 산실되었다.
역주3 周公……것 : ≪詩經≫ 〈大雅 文王〉은 文王에 대한 칭송을 읊은 것이지 武王에 대한 언급은 없으니, 여기서 〈문왕〉 시라 한 것은 〈文王之什〉을 통틀어 말한 것으로 보인다. 〈문왕지십〉에는 〈文王〉, 〈大明〉, 〈綿〉, 〈棫樸〉, 〈旱麓〉, 〈思齊〉, 〈皇矣〉, 〈靈臺〉, 〈下武〉, 〈文王有聲〉의 10편이 있다. 陸德明의 ≪經典釋文≫에 “〈문왕〉에서 〈영대〉까지 8편은 문왕의 〈大雅〉이고, 〈하무〉와 〈문왕유성〉은 무왕의 〈대아〉이다.” 하였다. 그런데 이 시들을 주공이 지었다는 것은 확실한 근거가 없다.(≪世說新語箋疏≫)
역주4 (祈)[祁] : 저본에는 ‘祈’로 되어 있으나, 元刊本 ≪世說新語≫ 및 ≪春秋左氏傳≫에 의거하여 ‘祁’로 바로잡았다. 아래의 注도 같다.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