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敬仁 年十三 作賢人論한대 長史 送示眞長하니 眞長答云
見敬仁所作論하니 便足參微言注+① 脩集載其論曰 “或問 ‘易稱賢人, 「黃裳元吉」, 苟未能闇與理會, 何得不求通? 求通則有損, 有損則 「元吉」之稱, 將虛設乎?’ 答曰 ‘賢人誠未能闇與理會, 當居然人從, 比之理盡, 猶一豪之領一梁. 一豪之領一梁, 雖於理有損, 不足以撓梁. 賢有情之至寡, 豪有形之至小, 豪不至撓梁, 於賢人何有損之者哉?’”이니이다하다
【頭註】
王云 “此等論, 在今世未免撫掌, 當時所謂‘名理’乃爾, 文章一大厄也.”
劉云 “未造理所.”


9-13 왕경인王敬仁(왕수王脩)이 13세 때에 을 지었는데, 〈그의 부친〉 왕장사王長史(왕몽王濛)가 유진장劉眞長(유담劉惔)에게 보내 보여주었더니, 유진장이 대답하였다.
“왕경인이 지은 논문을 보니, 즉시 미언微言(심오한 담론)에 참여하기에 충분합니다.”注+① ≪왕수집王脩集≫에 그 논문을 싣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혹자가 물었다. ‘≪주역周易≫ 에서 현인賢人을 일컬어 했으니, 만일 〈성인聖人처럼〉 암암리에 이치에 융회관통할 수 없다면 어찌 통달하기를 구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통달하기를 구한다면 손상이 생기니, 손상이 생긴다면 「크게 길하다」라는 언표는 혹시 빈말인가?’ 왕수가 대답하였다. ‘현인賢人은 진실로 아직 이치에 암암리에 융회관통할 수 없으니, 그대로 사람이 따라가서 이치가 완벽히 구현된 수준에 미치려고 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는 하나의 터럭이 하나의 들보를 매달고 있는 것과 같다. 하나의 터럭이 하나의 들보를 매달고 있는 것은 비록 이치에 대해 부족함이 있는 것이지만, 들보를 부러뜨리기에는 역부족이다. 현인은 이 지극히 적고 터럭은 형체가 지극히 작다. 터럭이 들보를 부러뜨리는 데에 이르지 못하니, 현인에 대해 어찌 손상시킬 것이 있겠는가.’”
두주頭註
왕세무王世懋:이런 논의는 요즘 시대에는 웃음거리가 되는 것을 피하지 못한다. 당시의 이른바 명리名理라는 것이 이와 같으니, 문장의 측면에서 보면 하나의 큰 재앙이다.
유진옹劉辰翁이소理所(이치가 있는 곳)에 나아가지 못하였다.


역주
역주1 賢人論 : ≪晉書≫ 〈王脩列傳〉에는 〈賢全論〉으로 되어 있다.
역주2 황색……길하다 : 황색은 中色이고 치마는 아래에 있는 것이므로 높은 지위에 있으면서도 분수를 알아 자신을 낮게 처하면 길하다는 뜻이다.(≪周易≫ 坤卦 六五 爻辭)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