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司空表聖 預爲壙하고 故人來者 引置內하여 賦詩對酌이라 人或難之 表聖曰
我非止暫遊此中이니 公何不廣耶注+① 宋祁唐書曰 “司空圖, 字表聖, 河中虞鄕人, 累官中書舍人. 昭宗召拜兵部侍郞, 會遷洛陽, 柳璨希賊意, 誅天下才望, 助喪王室. 詔圖入朝, 圖陽墮笏, 意趣野耄, 璨知無意於世, 乃聽還. 居中條山王官谷, 遂隱不出.”아하다


13-30 【사공표성司空表聖(사공도司空圖)은 미리 (묘실墓室)을 만들어놓고 벗이 방문하면 〈그를〉 묘실 안으로 끌고 들어가 시를 짓고 술을 마셨다. 손님이 간혹 난감해하면 사공표성이 말하였다.
그대는 어찌 〈도량이〉 넓지 못하시오?”注+송기宋祁의 ≪신당서新唐書≫ 〈사공도열전司空圖列傳〉에 말하였다. “사공도는 표성表聖으로, 하중河中 우향虞鄕 사람이며,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중서사인中書舍人이 되었다. 소종昭宗이 〈화주華州에 있을 때 그를〉 불러 병부시랑兵部侍郞에 제수하려고 했는데, 〈족질足疾을 핑계로 사양하고 귀향을 간청하였다.〉 그때 마침 〈이 소종을〉 낙양洛陽으로 옮기려 했는데, 적신賊臣(주전충)의 뜻에 영합하려고 천하의 재능과 명망 있는 사람을 주살하여 〈당나라〉 왕실의 쇠퇴를 가속화하려 했다. 사공도에게 조서를 내려 입조入朝하게 하자, 사공도가 〈일부러〉 을 떨어뜨려 초라하고 노쇠한 뜻을 드러내 보이자, 유찬은 〈그가〉 세상에 뜻이 없다는 것을 알고 마침내 귀향할 것을 허락하였다. 중조산中條山왕관곡王官谷에 거처하면서 마침내 은거하여 세상에 나오지 않았다.”


역주
역주1 나는……아니니 : ≪何氏語林≫에는 이 구절 앞에 ‘達人大觀 幽顯一致(통달한 사람은 원대하게 상황을 파악하여 저승과 이승을 똑같이 여긴다)’ 8자가 있는데, 이것에 근거하면 지금 잠시 동안 이 壙中(墓所)에서 놀 뿐만 아니라 이후에 죽어서도 이곳에 있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역주2 朱全忠 : 852~912. 唐나라를 멸망시킨 後梁의 태조이다. 원래 黃巢의 賊徒 출신으로, 당나라에 귀순하여 四鎭節度使에 이르고 梁王에 봉해졌는데, 그 뒤 昭宗과 哀帝를 시해하고 국호를 梁으로 바꿨으나, 만년에 누차 패하면서 세력이 위축되다가 마침내 次子인 朱友珪에게 피살되었다.
역주3 柳璨 : ?~906. 河東 사람으로, 字는 照之이다. 어릴 때 가난하여 땔나무를 팔아 생계를 유지하고 밤에 독서하여 역사에 정통하게 되었다. 唐 昭宗 때에 翰林學士․諫議大夫․同中書門下平章事를 역임하고 재상이 되었다. 哀帝 天祐 2년(905)에 재상이었던 그는 朱全忠의 뜻에 영합하여 大臣인 裴樞 등 7인을 모함해서 滑州 白馬驛에서 죽였다.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