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支道林 謝盛德 共集王家注+① 許詢․謝安․王濛.할새 顧謂諸人하되
今日 可謂彦會니이다 時旣不可留 此集固亦難常하니 當共言詠하여 以寫其懷니이다하다
許便問하되
主人有莊子不잇가하니
正得漁父一篇注+② 莊子曰 “孔子遊乎緇帷之林, 休坐乎杏壇之上. 孔子絃歌鼓琴, 奏曲未半, 有漁者下船而來, 鬚眉交白, 被髮揄袂, 行原以上, 距陸而止, 左手據膝, 右手持頤, 以聽. 曲終而招子貢․子路, 語曰 ‘彼何爲者也?’ 曰 ‘孔氏.’ 曰 ‘孔氏何治?’ 子貢曰 ‘服忠信, 行仁義, 飾禮樂, 選人倫, 孔氏之所治也.’ 曰 ‘有土之君歟?’ 曰 ‘非也.’ 漁人曰 ‘仁則仁矣, 恐不免其身.’ 孔子聞而求問之, 遂言八疵․四病, 以誡孔子.”이라
謝看題하고 便各使四坐通하니 支道林先通하여 作七百許語한대 敍致精麗하고 才藻奇拔하여 衆咸稱善이라 於是 四坐各言懷畢이라 謝問曰
卿等盡不잇가하니
皆曰
今日之言 少不自竭이니이다하다
謝後麤難하고 因自敍其意하여 作萬餘語한대 才峰秀逸注+③ 文字志曰 “安, 神情秀悟, 善談玄理.”하여 旣自難干하고 加意氣擬託하여 蕭然自得하니 四坐莫不厭心이라 支謂謝曰
一往奔詣하니 故復自佳耳니이다하다
【頭註】
劉云 “漁父, 僞書, 何足千萬?”


9-16 지도림支道林(지둔支遁)․허순許詢사안謝安성덕盛德(명현名賢)들이 함께 왕몽王濛의 집에 모였다.注+허순許詢사안謝安왕몽王濛이다. 사안이 여러 사람들을 돌아보면서 말하였다.
“오늘은 언회彦會(현사賢士의 모임)라고 할 만합니다. 시간은 이미 붙잡아 둘 수 없고 이 모임도 진실로 역시 항상 있기 어려우니, 마땅히 함께 담론하여 자신의 회포를 쏟아내야 합니다.”
허순이 물었다.
“주인께서는 ≪장자莊子≫가 있습니까?”
그러자 바로 〈어부漁父〉 한 편을 찾아왔다.注+② ≪장자莊子≫ 〈어부漁父〉에 말하였다. “공자孔子가 어둑어둑할 정도로 무성한 숲에서 노닐다가 행단杏壇에 앉아 쉬고 있었다. 공자는 노래를 부르면서 을 연주하고 있었는데, 연주하던 곡조가 채 반이 끝나지 않았을 때 어부 한 사람이 배에서 내려 가까이 다가왔다. 그는 수염과 눈썹이 모두 하얀 노인이었는데, 머리를 풀어헤치고 소매를 휘저으면서 늪지대를 걸어 올라와 언덕에 이르러 멈추고는 왼손으로 무릎을 짚고 오른손으로 턱을 괸 채 연주를 들었다. 곡이 끝나자 〈그는〉 자공子貢자로子路를 손짓으로 불러 ‘저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물으니, ‘공씨입니다.’ 대답하였다. 〈그가〉 ‘공씨는 어떤 일을 하는가?’ 물으니, 자공이 ‘충신忠信을 일삼고 인의仁義를 실행하며, 예악禮樂을 닦고 인륜을 가르치는 것이 공씨가 하는 일입니다.’ 하였다. 〈그가〉 ‘영토를 가지고 있는 군주인가?’ 물으니, ‘아닙니다.’ 하였다. 어부가 ‘인자하다면 인자하다고 하겠지만, 아마도 그 몸은 재앙을 면치 못할 것이다.’ 하였다. 공자가 그 말을 듣고는 청하여 〈재앙에 대해〉 물으니, 〈그가〉 마침내 을 말하여 공자를 경계시켰다.”
사안이 표제를 보고는 좌중의 모든 사람들에게 각각 해석하라고 하였다. 지도림이 먼저 해석하여 7백 여 마디의 말을 지었는데, 사리事理의 서술이 정밀하고 아름다우며, 표현의 재치가 기발하여 모든 사람들이 훌륭하다고 칭찬하였다. 이에 좌중의 모든 사람들이 각자 자신의 회포를 모두 피력하자 사안이 물었다.
“그대들은 다 말씀하셨습니까?”
모두 말하였다.
“오늘의 담론은 스스로 다 말하지 않은 바가 거의 없습니다.”
사안이 이후에 대략 논란하고, 이어서 스스로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여 만 여 마디의 말을 지었는데, 재봉才峰(재기才氣)이 빼어나注+왕음王愔의 ≪고금문자지목古今文字志目≫에 말하였다. “사안은 풍모가 수려하고, 현묘한 이치에 대한 담론에 능했다.” 이미 그 자체로 건드리기 어렵고 의기意氣를 보태어 〈논지에〉 의탁하여 명쾌하게 훌륭한 논설이 되니, 좌중의 모든 사람들이 흡족해하였다. 지도림이 사안에게 말하였다.
“당신은 뒤도 돌아보지 않고 내달려 〈현묘한 경지에〉 나아갔기 때문에 절로 훌륭하게 된 것입니다.”
두주頭註
유진옹劉辰翁:〈어부漁父〉는 위작이니 어찌 중시할 만하겠는가.


역주
역주1 八疵 : 사람에게 있는 여덟 가지 문제점으로, 摠․佞․諂․諛․讒․賊․慝․險이다. ≪莊子≫ 〈漁父〉에 “자기의 일이 아닌데도 일삼는 것을 아무 일에나 ‘나댄다[摠]’고 하고, 돌아보는 이도 없는데 進言하는 것을 ‘말이 많다[佞]’고 하고, 상대의 마음을 엿보고 그 기분에 맞춰 말하는 것을 ‘아첨한다[諂]’고 하고, 옳고 그른 것을 가리지 않고 말하는 것을 ‘무조건 따른다[諛]’고 하고, 남의 결점을 즐겨 말하는 것을 ‘헐뜯는다[讒]’고 하고, 타인의 우정을 쪼개고 친족을 이간질하는 것을 ‘해친다[賊]’고 하고, 남을 겉으로는 칭찬하면서 속으로는 기만하고 속여서 남을 파멸시키는 것을 ‘사악하다[慝]’고 하고, 선악을 가리지 않고 양쪽을 다 받아들여 양쪽에 다 얼굴을 부드럽게 대하면서 자기가 갖고 싶은 것을 훔쳐 빼내는 것을 ‘음험하다[險]’고 한다.” 하였다.
역주2 四病 : 일에 대처할 때 나타나는 네 가지 문제점으로 叨․貪․很․矜인데, ≪莊子≫에는 ‘四患’으로 되어 있다. ≪장자≫ 〈漁父〉에 “큰일에 나서는 것을 좋아하며 공연히 자주 변경하여 원칙까지 바꾸어 功名을 높이 세우려는 것을 ‘외람되다[叨]’고 하고, 자기의 지혜를 과신하고 멋대로 일을 처리하여 남의 영역을 침범하며 자기 힘을 발휘하는 것을 ‘탐욕스럽다[貪]’고 하고, 자기의 과오를 알고서도 고치지 않고 충고하는 말을 들으면 도리어 더 심하게 어기는 것을 ‘패려궂다[很]’고 하고, 남의 견해가 자기와 같으면 인정하고 자기와 같지 않으면 착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나쁘다고 하는 것을 ‘잘난체한다[矜]’고 한다.” 하였다.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