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石勒 不知書注+① 石勒傳曰 “勒, 字世龍, 上黨武鄕人. 匈奴之苗裔也. 雄勇, 好騎射. 晉元康中, 流宕山東, 與平原茌平人師歡家庸, 耳恒聞鼓角鞞鐸之音, 勒私異之. 初, 勒鄕里原上地中, 生石日長, 類鐵騎之象, 中生人參, 葩葉甚盛. 于時父老相者, 皆云此胡體貌奇異, 有不可知, 勸邑人厚遇之, 人多哂而不信. 永嘉初, 豪傑竝起, 與胡王陽等十八騎, 詣汲桑, 爲左前督. 桑敗, 共推勒爲主, 攻下州縣, 都 死諡明皇帝.”하여 使人讀漢書러니 聞酈食其 勸立六國後하여 刻印將授之하고 大驚曰
此法當失이어늘 云何得遂有天下오하고
至留侯諫하얀 迺曰
賴有此耳注+② 鄧粲晉紀曰 “勒手不能書, 目不識字, 每於軍中, 令人誦讀, 聴之皆解其意.” 漢書曰 “項羽急圍漢王於滎陽, 漢王與酈食其謀撓楚權. 食其勸立六國後, 王令趣刻印, 張良入諫, 以爲不可, 輟食吐哺, 罵酈生曰 ‘豎儒㡬敗事.’ 趣令銷印.”라하다


14-17 석륵石勒이 글을 알지 못하여注+① 〈석륵전石勒傳〉에 말하였다. “석륵石勒세룡世龍이고, 상당上黨 무향武鄕 사람이다. 흉노匈奴의 후예이다. 용맹스럽고 말타기와 활쏘기를 좋아하였다. 나라 원강元康(291~299) 연간에 산동山東지역을 떠돌다가 평원平原 사람 사환師歡 집에 고용되었다. 귀에서 늘 북ㆍ나발ㆍ의 소리가 들려 석륵은 내심 이상하게 여겼다. 처음에 석륵이 살던 향리 들판 땅속에서 돌이 생겨나 나날이 자랐는데 철기鐵騎의 모습과 흡사하였고, 나라 안 〈집〉 정원에 인삼이 자라났는데 꽃과 잎이 매우 무성하였다. 이에 부로父老 중에 점을 치는 자들이 모두들 말하기를, ‘이 호인胡人은 생김새가 기이하고 알 수 없는 점이 있다.’라고 하며 고을 사람들에게 그를 후하게 대해줄 것을 권하였는데 사람들이 대부분 비웃고 믿지 않았다. 영가永嘉(307~313) 초에 호걸들이 모두 일어나자 석륵은 호인胡人 왕양王陽 등 18와 더불어 급상汲桑에게 나아가 좌전독左前督이 되었다. 급상이 패하자 모두 석륵을 추대하여 왕으로 삼고 주현州縣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양국현襄國縣에 도읍하였다. 〈석륵은〉 후에 참람하게 황제의 칭호를 썼으며 죽은 뒤의 시호는 명황제明皇帝이다.” 사람을 시켜 ≪한서漢書≫를 읽게 하였는데, 역이기酈食其가 6국의 후손을 세워줄 것을 권하여 〈한왕漢王이〉 인장印章을 새겨 내주려고 하는 대목을 듣고 크게 놀라며 말하였다.
“이 방법은 당연히 실패할 것인데, 어떻게 마침내 천하를 얻을 수 있었다고 했을까?”
유후留侯(장량張良)가 간하는 대목에 이르러서는 마침내 말하였다.
“이 사람 덕이었구나.”注+등찬鄧粲의 ≪진기晉紀≫에 말하였다. “석륵은 손으로 글씨를 쓸 줄 모르고 눈으로 글자를 알지 못하여 늘 군중軍中에서 사람을 시켜 글을 읽게 하였는데 한 번 들으면 모두 그 의미를 알았다.”
한서漢書≫ 〈장량전張良傳〉에 말하였다. “항우項羽형양滎陽에서 한왕漢王(유방劉邦)을 급히 포위하자 한왕이 역이기酈食其와 더불어 초나라의 권력을 약화시키려고 계획하였다. 역이기가 6국의 후손을 세워줄 것을 권하자 왕이 급하게 인장印章을 새기게 하였는데, 장량張良이 들어가 간하여 불가함을 말하였다. 한왕이 음식을 먹다가 말고 입안의 음식을 뱉으며 역이기를 욕하기를, ‘유자儒者 놈이 거의 내 일을 망칠 뻔했구나.’라고 하고서 즉시 인장을 녹여 없애게 하였다.”
장량張良장량張良


역주
역주1 鞞鐸 : 鞞(비)는 鼙(비)와 같은데, 騎鼓이다. 작은 鐘 모양으로 생겼으며 움직일 때마다 소리가 난다.
역주2 (國)[園] : 저본에는 ‘國’으로 되어 있으나, 安永本․≪世說箋本≫․≪晉書≫ 〈石勒 上〉에 의거하여 ‘園’으로 바로잡았다.
역주3 襄國 : 廣平郡에 있는 襄國縣인데, 春秋시대 趙나라의 군주인 趙襄子(趙無恤)의 諡號로 지명을 삼은 것이다.(≪世說音釋≫)
역주4 正號 : 황제를 칭하는 것을 말한다.(≪世說音釋≫)
역주5 乃公 : 乃는 汝이고 公은 漢王 자신을 가리킨다.(≪世說音釋≫)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