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邊文禮注+① 文士傳曰 “邊讓, 字文禮, 陳留人, 才儁辯逸. 大將軍何進聞其名, 召署令史, 以禮見之. 讓占對閑雅, 聲氣如流, 坐客皆慕之. 讓出就曹, 時孔融․王朗等, 並前爲掾, 共書刺從讓, 讓平衡與交接. 後爲九江太守, 爲魏武帝所殺.” 見袁奉高注+② 汝南先賢傳曰 “, 字奉高, 陽人. 友黃叔度於童齒, 薦陳仲擧於家巷. 辟太尉掾卒. 失次序하니 奉高
堯聘許由한대 面無怍色注+③ 皇甫謐曰 “由, 字武仲, 陽城槐里人也. 堯舜皆師而學事焉. 後隱於沛澤之中, 堯乃致天下而讓焉. 由爲人據義履方, 邪席不坐, 邪饍不食, 聞堯讓而去. 其友巢父, 聞由爲堯所讓, 以爲汚己, 乃臨池洗耳. 池主怒曰, ‘何以污我水.’ 由於是遁, 耕於中嶽(頴)[潁]水之陽箕山之下, 終身無經天下色. 死葬箕山之巓, 在陽城之南十里. 堯因就其墓, 號曰‘箕山公神’, 以配食五嶽, 世世奉祀, 至今不絶也.”이어늘 先生 何爲顚倒衣裳잇고하니
文禮 答曰
明府初臨하여 堯德未彰이라 是以 賤民顚倒衣裳耳注+④ 按袁卒於太尉掾, 未嘗爲汝南, 斯說謬矣.니이다하다
【頭註】
劉云 “奉高如此, 不足道.”
云 “奉高見士, 乃以堯聘許由自比, 亦非.”
劉云 “又添一怪.”


3-2 변문례邊文禮(변양邊讓)가注+① ≪문사전文士傳≫에 말하였다. “변양邊讓문례文禮이고 진류陳留 사람으로 재주가 뛰어나고 언변이 좋았다. 대장군大將軍 하진何進이 그의 명성을 듣고는 불러서 에 임명하고 예를 갖추어 접견했다. 변양의 응대는 우아하고 목소리는 물 흐르듯 하여 좌중에 있던 이들이 모두 우러러보았다. 변양이 나와서 담당 관사로 나아가는데, 당시에 공융孔融왕랑王朗 등이 모두 앞서 (속관)이 되어 있었기에 함께 명함을 써서 올리고 변양의 뒤를 따랐다. 변양은 자신과 대등하게 대우하며 함께 교유하였다. 후에 구강태수九江太守가 되었는데, 무제武帝(조조曹操)에게 죽임을 당했다.” 원봉고袁奉高(원랑袁閬)를注+② ≪여남선현전汝南先賢傳≫에 말하였다. “원랑袁閬봉고奉高이고 신양愼陽 사람이다. 어릴 때에 황숙도黃叔度(황헌黃憲)와 사귀었고, 태위太尉(속관)으로 초빙되어 있다가 죽었다.” 만나면서 예의의 절차에 실수가 있었다. 원봉고가 말하였다.
“옛날에 임금이 허유許由를 불렀는데 허유는 얼굴에 부끄러워하는 기색이 없었습니다.注+ 그런데 선생은 어찌하여
변문례가 대답하였다.
제요帝堯제요帝堯
태수太守께서 막 부임하셔서 요임금과 같은 덕이 아직 드러나지 않았기에 이 천한 백성이 상의와 하의를 뒤집어 입었을 뿐입니다.”注+④ 살펴보건대 원랑袁閬태위太尉(속관)으로 있다가 죽었고 여남태수汝南太守를 지낸 적이 없으니, 이 이야기는 잘못된 것이다.
두주頭註
유진옹劉辰翁원봉고袁奉高는 〈언행이〉 이러하니 말할 만한 인물이 되지 못한다.
유응등劉應登원봉고袁奉高가 선비를 만나면서 임금이 허유許由를 불렀던 일로 자신을 비유하니, 이 또한 잘못이다.
유신옹劉辰翁:〈황보밀皇甫謐의 주석은〉 또 괴이한 말을 하나 더 추가하였다.


역주
역주1 令史 : 大將軍의 속관으로 令史와 御屬이 있는데 31인을 두었다.(≪世說音釋≫)
역주2 고향에서……천거하였다 : 袁閬과 陳蕃 모두 汝南 사람으로, 진번은 汝南郡 孝廉으로 벼슬을 시작하였다.
역주3 皇甫謐이……있다 : 이 내용은 皇甫謐의 ≪高士傳≫에 보인다.
역주4 상의와……입으셨습니까 : 이것은 ≪詩經≫ 〈東方未明〉에 나오는 말이다. 윗옷을 ‘衣’라 하고 아래옷을 ‘裳’이라고 하는데, 윗옷을 아래에 입고 아래옷을 위에 입었다는 뜻이다. 여기서는 당황하여 행동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였다.
역주5 (表宏)[袁閬] : 저본에는 ‘表宏’으로 되어 있으나, ≪後漢書≫ 〈王龔傳〉에 의거하여 ‘袁閬’으로 바로잡았다.
역주6 : ≪御批資治通鑑綱目≫에는 ‘汝’로 되어 있다.
역주7 (閎)[閬] : 저본에는 ‘閎’으로 되어 있으나, ≪後漢書≫ 〈王龔傳〉에 의거하여 ‘閬’으로 바로잡았다.
역주8 (劉)[應登] : 安永本에는 ‘劉’으로 되어 있으나, 元刊本 ≪世說新語≫에 의거하여 ‘應登’으로 바로잡았다.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