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桓公 將伐蜀할새 在事諸賢 咸以李勢在蜀旣久하고 承藉累葉하며 且形據上流三峽하여 未易可克이어늘 唯劉尹云
伊必能克蜀하리라 觀其蒱博하니 不必得이면 則不爲注+① 華陽國志曰 “李勢, 字子仁, 陽臨渭人. 本巴西宕渠賨人也. 其先李特, 因晉亂據蜀, 特子雄稱號成都. 勢祖驤, 特弟也. 驤生壽, 壽簒位自立, 勢即壽子也. 晉安西將軍伐蜀, 勢歸降, 遷之州. 自起至亡, 六世三十七年.” 溫別傳曰 “初, 朝廷以蜀處險遠而溫衆寡少, 軍深入, 甚以憂懼, 而溫直指成都, 李勢.” 語林曰 “劉尹見桓公, 每嬉戱必取勝, 謂曰 ‘卿乃爾好利, 何不?’ 及伐蜀, 故有此言.”라하다


14-26 환공桓公(환온桓溫)이 장차 을 정벌하려 할 때, 일을 맡고 있던 여러 사람들이 모두 이세李勢에 있은 지 이미 오래되었고, 계승한 지 여러 세대가 되었으며 또 지형이 상류의 삼협三峽에 근거하고 있어 정벌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런데 유윤劉尹(유담劉惔)만은 말하였다.
“그(환온)는 반드시 촉을 정벌할 것이다. 그가 도박하는 것을 관찰해보니 그는 반드시 딸 수 없으면 하지 않았다.”注+에 말하였다. “이세李勢자인子仁이고, 약양略陽 임위臨渭 사람이다. 본래 파서巴西 탕거종인宕渠賨人이었는데, 그의 선조인 이특李特나라의 난리를 틈타 에 웅거하였고 이특의 아들 이웅李雄성도成都에서 황제를 칭하였다. 이세의 조부 이양李驤은 이특의 아우이다. 이양이 이수李壽를 낳고 이수가 제위帝位를 찬탈하여 스스로 자립하였는데, 이세는 바로 이수의 아들이다. 나라의 안서장군安西將軍(환온桓溫)이 촉을 치자 이세가 항복하여 양주揚州로 옮겨졌으니, 창건에서 멸망까지가 6대 이었다.”
환온별전桓溫別傳〉에 말하였다. “처음에 조정에서는 촉이 험준하고 먼 곳에 위치하고 있는 반면 환온의 군사는 수가 적은데다가 고립된 군대가 깊이 들어가는 것이었으므로 매우 두려워하였다. 그러나 환온이 곧바로 성도成都로 쳐들어가자 이세가 항복하였다.”
에 말하였다. “유윤劉尹(유담劉惔)은 환공이 매번 도박에서 반드시 이기는 것을 보고는 말하기를, ‘경이 이렇게 이기기를 좋아하니 어찌 위급한 일을 해결하지 못하겠는가.’ 하였다. 을 치러 갈 때였으므로 이런 말을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華陽國志 : 東晉 永和 11년(355)에 常璩가 12권으로 편찬한 華陽 즉 巴ㆍ蜀ㆍ漢中의 地理志이다. 고대로부터 晉(南朝)까지의 역사가 단편적으로 쓰여 있고, 연혁과 産物에 대한 기록을 전하고 있다. 원본은 산실되었고, ≪後漢書≫와 ≪三國志≫ 주석에 일부 내용이 인용되어 있다. 1987년에 출간된 任乃強의 집본이 있다.
역주2 37년 : ≪晉書≫ 〈李特載記〉에는 “四十六”이라 하였고, ≪華陽國志≫ 권9에는 “이씨가 일어나서부터 망할 때까지 6대 47년이었다.[李氏自起事至亡 六世四十七年]”라고 하였다.
역주3 語林 : 東晉의 裴啓가 10권으로 편찬하였으며, 주로 漢나라 이후 東晉까지의 인물을 품평한 일화로 구성되어 있다. 隋나라 때 亡失되었고, 지금 周楞伽의 輯本이 있다.
역주4 (洛)[略] : 저본에는 ‘洛’으로 되어 있는데, ≪世說音釋≫과 ≪晉書≫ 〈李特載記〉와 ≪華陽國志≫ 등에 의거하여 ‘略’으로 바로잡았다.
역주5 (楊)[揚] : 저본에는 ‘楊’으로 되어 있으나, 安永本 등에 의거하여 ‘揚’으로 바로잡았다. 아래도 같다.
역주6 (縣)[懸] : 저본에는 ‘縣’이라 되어 있으나, ≪世說新語≫ 宋本과 ≪世說音釋≫에 의거하여 ‘懸’으로 바로잡았다. 懸軍은 멀리 정벌하러 出征하여 형세상 지원을 받기 어려운 군대를 말한다.
역주7 面縛 : 面縛銜璧의 줄임말로, 전쟁에 패한 쪽 사람이 자진해서 손을 뒤로 묶은 채 璧玉을 입에 물어 폐백으로 바치는 것을 말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군주의 항복을 뜻한다.
역주8 焦頭 : ≪世說音釋≫에 ‘赴急’과 같다고 하였는데, ‘赴急’은 ‘달려가 급하고 어려운 일을 해결하다’라는 의미이다.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