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3)

세설신어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魏武嘗過曹娥碑下 楊修從이러 碑背上 見題作黃絹幼婦外孫韲臼八字 魏武謂修曰
解不아하니
答曰
魏武曰
卿未可言하고 待我思之하라
行三十里 魏武乃曰
吾已得이라하고
令修別記所知하니 修曰
黃絹 色絲也 於字爲絕이요 幼婦 少女也 於字爲妙 外孫 女子也 於字爲好 韲臼 受辛也 於字爲辭 所謂絕妙好辭也
魏武亦記之한대 與修同하니 乃歎曰
我才不及卿 乃覺三十里注+① 會稽典錄曰 “孝女曹娥者, 上虞人. 父盱能撫節按歌, 婆娑樂神. 漢安二年, 迎君神, 泝濤而上, 爲水所淹, 不得其尸. 娥年十四, 號慕思盱, 乃投于江, 其父尸曰 ‘父在此, (瓜)[衣]當沈.’ 旬有七日, (瓜)[衣]偶沈, 遂自投於江而死. 縣長度尚悲憐其義, 爲之改葬, 命其弟子邯鄲子禮爲之作碑.” 按曹娥碑在會稽中, 而魏武․楊修未嘗過江也. 異苑曰 “陳留蔡邕避難過吳, 讀碑文, 以爲詩人之作, 無詭妄也. 因刻石旁作八字. 魏武見而不能了, 以問群寮, 莫有解者. 有婦人浣於汾渚, 曰‘第四車解.’ 既而禰正平也. 衡即以離合義解之. 或謂此婦人即娥靈也.”라하다
【頭註】
劉云 “雖經論註, 猶覺難解, 不知古人何見作此.”


21-3 위무제魏武帝(조조曹操)가 언젠가 조아曹娥의 비문 옆을 지날 적에 양수楊修가 따라 갔다. 위무제가 양수에게 물었다.
“무슨 말인지 알겠는가?”
양수가 대답하였다.
“압니다.”
위무제가 말하였다.
“경은 아직 말하지 말고, 내가 생각해 낼 때까지 기다리라”
30리를 가서 위무제가 마침내 말하였다.
“내가 이제 알겠다.”
그리고는 양수에게 알고 있는 내용을 따로 쓰게 하였다. 양수가 쓰기를,
황견黃絹은 색깔 있는 실[색사色絲]이니 ‘’자이고, 유부幼婦는 어린 여자[소녀少女]이니 ‘’자이며, 외손外孫은 딸[]의 아들[]이니 ‘’자이고, 이른바 ‘절묘호사絶妙好辭’이다.”라고 하였다.
위무제 역시 글로 썼는데 양수와 〈내용이〉 같았다. 위무제가 마침내 탄식하며 말하였다.
“나의 재주가 경에게 미치지 못하는 것이 30리 차이라는 것을 깨달았네.”注+에 말하였다. “효녀 조아曹娥상우上虞 사람이다. 부친 조우曹盱는 장단을 맞춰 노래하고 춤을 추어 을 즐겁게 할 수 있었다. 한안漢安 2년(143)에 을 맞이하러 물살을 거슬러 올라가다가 물에 빠졌는데 그 시체를 찾을 수 없었다. 이때 조아는 14살이었는데 통곡하며 부친 조우를 그리워하다가, 마침내 강에 옷을 던지며 자기 부친의 시신屍身에게 빌기를, ‘아버지가 여기에 계시면 옷이 가라앉게 하소서.’ 라고 하였다. 17일 만에 옷이 가라앉자 조아가 마침내 강에 투신하여 죽었다. 현장縣長 이 조아의 뜻을 가엾게 여겨 그녀를 다시 장사지내주고, 자신의 제자 한단자례邯鄲子禮(한단순邯鄲淳)에게 명하여 조아의 비석을 세우게 하였다.”
내(유효표劉孝標)가 살피건대, 조아의 비석이 회계會稽 땅에 있었으나 위무제와 양수는 강을 건너간 적이 없었다.
에 말하였다. “진류陳留 사람 채옹蔡邕이 난리를 피해 오나라를 지나다가 비문을 읽고 시인이 지은 내용에 거짓되고 허황한 내용이 없다고 생각하여 비석 옆에 8글자를 새겼다. 위무제가 보고 무슨 뜻인지 알 수 없어 관료들에게 물었으나 아무도 그 뜻을 아는 자가 없었다. 그때 강가에서 빨래하던 부녀자가 말하기를, ‘4번째 수레〈에 탄 이〉가 알 것입니다.’라고 하였는데, 잠시 후에 〈보니〉 예정평禰正平이었다. 예형은 즉시 글자를 분리하고 합하는 방식으로 그 뜻을 해석하였다. 혹은 이 부녀자가 바로 조아의 혼령이었다고도 한다.”
두주頭註
유신옹劉辰翁:〈황견유부외손제구黃絹幼婦外孫韲臼에 대한 풀이는〉 그것을 논한 주해를 읽어도 여전히 난해하니, 옛사람이 무엇을 보고 이것을 지었는지 모르겠다.


역주
역주1 비문……보고 : 이 비문은 東漢때의 孝女인 曹娥를 기리는 비문인데, 漢나라 末에 蔡邕이 비문 뒤에 ‘黃絹幼婦外孫韲臼’ 8자를 써넣었다고 한다. ≪後漢書≫ 〈列女傳〉 孝女曹娥 條에는 ‘韲’가 ‘虀’로 되어 있다.
역주2 韲臼는……‘辭’이니 : 韲臼는 양념을 빻는 절구로, 마늘 등 매운 맛이 나는 재료를 그 안에 넣어 잘게 부수는 도구이다. ‘受’와 ‘辛’ 두 자를 합하면 ‘辤’이고, 이는 ‘辭’의 이체자이다.
역주3 會稽典錄 : 晉나라 때 虞预(약 285~340)가 會稽 출신 士人들의 전기를 편찬한 책이다. 우예는 東晉의 저명한 역사학자로, 본명은 虞茂이고 字는 叔寧이며 会稽 餘姚(지금의 浙江 餘姚市)사람이다. 저술로 ≪会稽典录≫ 24권 외에 ≪晉書≫ 44권, ≪诸虞传≫ 12권, 文集 10권이 있다.(≪晉书≫ 〈虞预传〉)
역주4 俉君神 : 伍子胥의 영혼을 말한다. ≪古文苑≫에 실린 曹娥碑 注에 “伍子胥가 濤神이 되었다.”라고 하였다. 오자서는 춘추시대 초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員이고 字가 子胥인데, 주로 字로 불렸다. 吳王 闔閭을 도와 초나라를 토벌했으나, 나중에 오왕 夫差에게 살해되어 강물에 시체가 버려져 水神이 되었다고 한다.(≪世說音釋≫)
역주5 度尚 : 117~166. 字는 博平이며 山阳郡 湖陆(지금의 山东 金乡西)사람이다. 东汉의 名将이며 ‘八厨’의 한 사람이다. 上虞長을 지냈고 간악한 죄인을 잘 잡아 神明하다고 일컬어졌다.
역주6 異苑 : 10권이며, 宋(南朝)의 劉敬叔이 편찬하였다. 총 383則에 晉文公․秦始皇에서부터 劉裕․劉毅 등에 이르기까지 천문지리․사회인문․자연민속에 관련된 신기하고 괴이한 일들에 대해 기록하였다.
역주7 禰衡 : 173~198. 字는 正平이고 青州 平原郡 般県(지금의 山東省 楽陵市)사람이다. 뛰어난 재능을 지녔으나 오만무례한 태도로 타인을 혹평하여 사람들에게 미움을 받았으며, 曹操․劉表․黄祖를 능멸하다 황조에게 처형되었다. 다만 孔融만은 그를 높이 평가하여 조조에게 그를 추천하였다.(≪後漢書≫ 〈禰衡傳〉)
역주8 (五)[伍] : 저본에는 ‘五’로 되어 있으나, ≪古文苑≫ 〈曹娥碑〉에 의거하여 ‘伍’로 바로잡았다.(≪世說音釋≫)
역주9 (瓜)[衣] : 저본에는 ‘瓜’로 되어 있으나, ≪李卓吾批點世說新語補≫(安永本)과 ≪後漢書≫ 〈曹娥傳〉 등에 의거하여 ‘衣’로 바로잡았다. 이 기사의 다른 ‘瓜’도 같다.
역주10 : ≪後漢書≫ 〈列女傳〉 注에는 ‘祝’으로 되어 있다.

세설신어보(3)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