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温太真 問郭文舉하되
饑則思食하고 壯則思室 自然之性이니 先生 安獨無情乎아하니
文舉 答曰
由憶生하나니 不憶이니 故無情注+① 抱朴子曰 “郭文擧入陸渾山學道. 獨能無情, 意不生也.”이라하다
【頭註】
李云 “好個太眞. 思由餓生, 餓則憶至. 不思不憶, 固也, 能不餓乎. 非人情矣.”


4-18 온태진温太真(온교溫嶠)이 곽문거郭文舉(곽문郭文)에게 물었다.
온교溫嶠온교溫嶠
“굶주리면 먹고 싶고 장성하면 결혼하고 싶은 것이 자연스러운 본성입니다. 선생만 어찌 홀로 감정이 없겠습니까.”
곽문거가 대답하였다.
“〈무엇을〉 하고 싶다는 마음은 생각에서 생겨납니다.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감정이 없는 것입니다.”注+① ≪포박자抱朴子≫에 말하였다. “곽문거郭文擧하남성陸渾山에 들어가 를 배웠다. 홀로 감정이 없을 수 있었으니, 생각이 생기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두주頭註
이지李贄:훌륭하구나, 온태진溫太眞이여! 〈먹고 싶다는〉 마음은 배고픔에서 생기고 배가 고프면 생각나기 마련이다. 〈그런〉 마음도 들지 않고 생각도 나지 않는 것은 〈의지가〉 굳건하긴 하지만, 배가 고프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인지상정人之常情이 아니다.


역주
역주1 【補】 : 저본에는 ‘補’가 없으나, 이 일화는 ≪世說新語≫가 아닌 ≪何氏語林≫에 있으므로 ‘補’를 보충하였다.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