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高文通 居鄕時 隣里 有爭財하여 持兵而鬪러니 文通 往解之 不已어늘 乃脫巾叩頭하고 請曰
仁義遜譲 奈何棄之리오하니
爭者 投兵謝罪注+① 嵇康高士傳曰 “高鳳, 字文通, 南陽葉人. 少爲書生, 家以農畝爲業, 鳳専精誦習. 妻常之田, 曝麥於庭, 令鳳護雞. 時天暴雨, 鳳持竿誦經, 不覺潦水流麥. 妻還怪問, 乃省. 其後遂爲名儒.”하다
【頭註】
李云 “無味.”


1-4【고문통高文通(고봉高鳳)이 향리에 있을 때 이웃 마을에서 재산 다툼이 생겨 무기를 들고 다투었다. 고문통이 가서 화해시키려 하였으나 다툼이 그치지 않자 두건을 벗고 머리를 조아리며 청하였다.
인의仁義와 양보를 어찌 버린단 말인가.”
그러자 다투던 자들이 무기를 버리고 사죄하였다.注+혜강嵇康의 ≪고사전高士傳≫에 말하였다. “고봉高鳳문통文通이고 남양南陽 사람이다. 젊어서 서생書生이었을 때 집안은 농사를 업으로 삼았으나 고봉은 외우고 익히는 데 전념하였다. 아내는 항상 밭에 나갈 때면 마당에 보리를 널어놓고 고봉에게 〈보리를 먹지 못하도록〉 닭을 지키게 하였다. 갑자기 소나기가 내렸는데 고봉은 막대기를 쥔 채 경문을 외우느라 빗물에 보리가 떠내려가는 것도 알아채지 못하였다. 아내가 돌아와 이상하게 여겨 물어보니 그제야 알았다. 그는 후에 마침내 이름난 유자儒者가 되었다.”
두주頭註
이지李贄:아무 맛이 없다.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