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潘元茂注+① 文章志曰 “潘勖, 字元茂, 陳留中都人, 少有逸才. 獻帝時, 爲尙書郞, 遷東海相, 未發, 拜尙書左丞, 病卒.” 作魏公冊命注+② 後漢書曰 “曹操自爲魏公, 加九錫.”하니 人謂與訓誥 同風이라하다 元茂亡後 王仲宣注+③ 王粲, 別見. 擅名하니 當時 便疑此冊 是仲宣所爲 及晉王爲太傅 臘日大會賓客할새 語元茂子滿曰
尊君作魏公冊 高妙하니 仲宣 亦以爲不如라하니
人始信是元茂作注+④ 文多, 不載.이라


7-10【반원무潘元茂(반욱潘勖)가注+① ≪문장지文章志≫에 말하였다. “반욱潘勖원무元茂로, 진류陳留중도中都 사람인데, 어려서부터 뛰어난 재주가 있었다. 후한後漢 헌제獻帝 때에 상서랑尙書郞이 되고, 동해상東海相으로 옮기려고 했는데, 부임지로 출발하기 전에 상서좌승尙書左丞에 제수되었으며, 〈상서좌승에 임명된 그해에〉 병으로 사망하였다.” 을 지었는데,注+② ≪후한서後漢書≫에 말하였다. 사람들이 ≪서경書經≫의 문체인 와 풍격이 같다고 평가하였다. 반원무가 사망한 뒤에 왕중선王仲宣(왕찬王粲)이注+왕찬王粲은 다른 곳에 보인다. 명성을 독차지하니 당시에는 줄곧 이 책명이 왕중선이 지은 문장일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진왕晉王(문왕文王 사마소司馬昭)이 황제의 태부太傅가 되었을 때, 에 대규모로 빈객을 모아 회합하는 자리에서 반원무의 아들 에게 말하였다.
“그대의 선친께서 지은 위공의 책명은 더할 나위 없이 오묘하니, 왕중선도 자신이 〈반원무만〉 못하다고 하였네.”
사람들이 그제야 이 문장은 반원무가 지었다는 것을 믿게 되었다.注+④ 〈위공魏公책명冊命은〉 문장이 길어서 싣지 않는다.


역주
역주1 魏公(曹操)의 冊命 : 蕭統의 ≪文選≫에 〈冊魏公九錫文〉이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다.
역주2 曹操가……내렸다 : 조조는 후한 말기에 천자로부터 九錫을 받고 魏王에 봉해진 후, 충분히 황실을 찬탈할 힘이 있었으나, 자신을 周 文王에 비유하고 끝내 찬탈을 감행하지 않았다. ‘구석’은 천자가 특별한 공로가 있는 신하에게 하사하는 아홉 가지 은전으로, 車馬․衣服․樂器․朱戶․納陛(中陛로 올라갈 수 있음)․虎賁(從者 1백 명)․弓矢․鈇鉞․秬鬯(검은 기장과 향초를 섞어 빚은 술)이다.(≪春秋公羊傳≫ 莊公 元年)
역주3 訓誥 : ≪書經≫에는 여섯 종류의 문체가 있는데, 〈堯典〉과 〈舜典〉 등의 典, 〈大禹謨〉와 〈皐陶謨〉 등의 謨, 〈伊訓〉의 訓, 〈湯誥〉와 〈康誥〉 등의 誥, 〈牧誓〉와 〈秦誓〉 등의 誓, 〈說命〉과 〈文侯之命〉 등의 命이 이것이다. ‘훈’은 교육과 훈도의 내용이고, ‘고’는 회동할 때 베푼 경계와 권고의 내용이다.
역주4 臘日 : 冬至 뒤 세 번째 戍日로, 이날 여러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데, 이를 臘祭라고 한다. ≪世說音釋≫에서 “王者는 五行의 왕성한 날을 祖로 삼고 쇠미한 날을 臘으로 삼는데, 魏나라는 土德을 기본으로 하니 土는 辰에 쇠약해지기 때문에 辰日을 납으로 삼았다.” 하였다.
역주5 潘滿 : 平原太守를 역임하고, 부친 潘勖과 마찬가지로 뛰어난 학문과 훌륭한 행실로 명성이 자자하였다.(≪世說音釋≫)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