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殷中軍 被廢東陽 始看佛經이라 初視維摩詰注+① 僧肇注維摩經曰 “維摩詰者, 秦言淨名. 盖法身之大士, 見居此土, 以弘道也.”한대 疑般若波羅蜜 太多러니 後見小品에는 恨此語少注+② ‘波羅蜜’, 此言到彼岸也. 經云 “到者有六焉. 一曰檀, 檀者, 施也. 二曰黎, (𣅪)[毗]黎者, 持戒也. 三曰羼提, 羼提者, 忍辱也. 四曰尸羅, 尸羅者, 精進也. 五曰禪, 禪者, 定也. 六曰般若, 般若者, 智慧也. 然則五者爲舟, 般若爲導, 導則俱絶有相之流, 升無相之彼岸也. 故曰波羅蜜也.” 淵源未暢其致, 少而疑其多. 已而究其宗, 多而患其少也.


8-55 처음으로 불경佛經을 읽었다. 처음에 ≪유마힐소설경維摩詰所說經≫을 읽었는데注+① ≪유마힐소설경維摩詰所說經≫ 〈서품序品〉의 승조僧肇에 말하였다. “유마힐은 우리 후진後秦에서는 ‘정명淨名’이라고 불렀다. 〈이 사람은〉 대사大士(보살)로, 이 속세에 나타나 살면서 불도佛道를 확장하였다.”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이라는 말이 너무 많다고 의구심을 지녔다가 이후에 ≪소품반야바라밀경小品般若波羅蜜經≫을 읽을 때에는 이 말이 적다고 아쉬워하였다.注+② ‘바라밀波羅蜜’이라는 이 말은 피안彼岸에 도달한다는 뜻이다. 불경佛經에 말하였다. “피안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여섯 가지 수행을 해야 한다. 첫째는 이니, ‘단’이라는 것은 보시布施이다. 둘째는 이니, ‘비려’라는 것은 지계持戒(계율 준수)이다. 셋째는 이니, ‘찬제’라는 것은 인욕忍辱이다. 넷째는 이니 ‘시라’라는 것은 정진精進이다. 다섯째는 이니, ‘선’이라는 것은 이다. 여섯째는 이니, ‘반야’라는 것은 지혜智慧이다. 그렇다면 앞의 다섯 가지는 배[]가 되고 반야는 배를 이끄는 선도가 되니, 〈반야가〉 선도하면 모두 이 있는 세상의 물결을 끊어 이 없는 피안에 오른다. 그러므로 ‘바라밀’이라고 한다.”
은연원殷淵源(은호殷浩)이 아직 반야바라밀의 이치를 완벽히 이해하지 못했을 때는 그 말이 적은데도 많다고 의구심을 가졌고, 얼마 뒤에 그 종지宗旨를 연구한 뒤에는 그 말이 많은데도 적다고 걱정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殷中軍(殷浩)이……때 : 永和 8년(352)에 은호가 中軍長軍으로서 北伐에 나서 許昌과 洛陽을 공격했는데, 9년에 적군의 계략에 걸려 허창에서 패배하자, 桓溫이 탄핵하는 글을 올려 그를 庶人으로 만들고 東陽郡으로 유배 보냈다.
역주2 法身 : 報身․應身과 더불어 三身의 하나로, 淸淨한 본성을 각성하고 획득하여 일체의 功德을 성취한 자이다. 불생불멸하고, 형체가 없지만 곳곳에서 형체가 있는 상태로 나타나며, 佛身이라고도 한다.
역주3 : dānā-pāramitā(檀那波羅蜜)로, 자신의 모든 것을 중생들에게 조건 없이 베풀면서도 무엇을 주었다는 생각마저 버림으로써 자신의 貪心을 끊고 집착을 떠나며, 타인의 괴로움을 없애주는 윤리적 실천이다.
역주4 毗黎 : vῑrya-pāramitā(毘梨耶波羅蜜)로, 몸과 마음을 가다듬고 善行과 波羅蜜을 힘써 실천하여 나태한 마음을 버리고 善法을 닦아나가는 것이다. ≪世說新語補考≫에 “劉孝標의 注에서 ‘持戒’라고 한 것은 오류이다.” 하였다.
역주5 羼提 : Kṣānti(羼提波羅蜜)로, 타인으로부터 받는 모든 박해와 고통을 잘 참고, 나아가 그것을 받아들여 원한과 노여움을 없애고 諸法을 밝게 관찰하여 마음이 안주하는 것이다.
역주6 尸羅 : śῑla-pāramitā(尸羅波羅蜜)로, 在家와 出家, 大乘과 小乘의 모든 戒와 律을 잘 지켜 惡業을 없애고 몸과 마음의 청정을 얻는 것이다. ≪世說新語補考≫에 “劉孝標의 注에서 ‘精進’이라고 한 것은 오류이다.” 하였다.
역주7 : dhyāna-pāramitā(禪那波羅蜜)로, 마음이 산란해지는 것을 멈추고 마음을 한 곳에 모아 진리를 바르게 사유하는 것이다.
역주8 般若(반야) : prajñā-pāramitā(般若波羅蜜)로, 一切法의 自性이 空하다는 것을 깨달아 眞如實相을 똑바로 보는 지혜의 완성이다.
역주9 : 상대적이고 차별적인, 형체가 있는 事相이나 생멸하고 변화하는 사상을 이른다.
역주10 (𣅪)[毗] : 저본에는 ‘𣅪’로 되어 있으나, ≪世說新語≫ 각본과 安永本에 의거하여 ‘毗’로 바로잡았다.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