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1)

세설신어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孔中丞 在都하고 弟道存 爲江夏內史할새 東土旱儉하여 都下米貴하니 道存 慮中丞貧乏하여 遣吏載五百米餉之하다 中丞呼吏語曰
我在彼三載로대 去之日 不辦有路糧이어늘 郎至未幾한대 何縁得有此米 可載還하라하니
吏白
自古無有載米上水者니이다하다
中丞不聽하니 竟載還江夏注+① 宋書曰 “孔顗, 字思遠, 會稽山陰人. 祖琳之, 贈太常, 父邈, 楊州治中. 顗骨鯁有風力, 以是非爲己任. 口吃, 好讀書. 擧秀才, 補主簿, 官至御史中丞. 道存, 官至南海太守.”하다


2-3【공중승孔中丞(공의孔顗)은 수도에 있고 아우 공도존孔道存강하내사江夏內史가 되었을 때였다. 당시에 동쪽 지역에 가뭄이 들어 수도의 쌀값이 비쌌다. 공도존은 형 공중승이 궁핍할 것을 염려하여 관리를 보내 500의 쌀을 실어다 주게 하였다. 공중승이 관리를 불러 말하였다.
“내가 그곳에 3년간 있었지만 〈관직을〉 떠나는 날에 길에서 먹을 식량을 마련하지 못했었다. 그런데 아우는 부임한 지 얼마 안 되는데 어떻게 이 쌀을 얻을 수 있었는가? 싣고 돌아가라.”
관리가 말하였다.
“예로부터 쌀을 싣고 물을 거슬러 올라간 일은 없습니다.”
공중승이 받아주지 않아 결국 싣고 강하江夏로 돌아갔다.注+① ≪송서宋書≫ 〈공의전孔顗傳〉에 말하였다. “공의孔顗사원思遠이고 회계會稽 산음山陰 사람이다. 조부 공림지孔琳之태상太常에 추증되었고, 부친 공막孔邈양주치중楊州治中이었다. 공의는 강직剛直하고 기상이 있었으며 시비是非를 가리는 것을 자신의 임무로 삼았다. 말을 더듬었고 독서를 좋아하였다. 수재秀才로 천거되어 주부主簿에 보임되었고 관직이 어사중승御史中丞에 이르렀다. 공도존孔道存은 관직이 남해태수南海太守에 이르렀다.”


역주
역주1 [斛] : 저본에는 ‘斛’이 없으나, ≪宋書≫ 〈孔顗傳〉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세설신어보(1)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