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世說新語補(2)

세설신어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세설신어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齊世祖 問王僕射하되
當今 誰能爲五言詩注+① 南齊書曰 “儉, 字仲寶, 瑯琊臨沂人. 祖, 曇首, 父, 僧綽. 儉生而僧綽遇害, 數歲襲爵, 拜受茅土, 流涕嗚咽. 幼有神彩, 專心篤學, 手不釋卷. 高帝爲太尉, 引爲長史, 遷尙書僕射.”오하니
王答曰
謝朏 得父膏腴注+② 南史曰 “謝朏, 字敬冲, 謝莊子. 幼聰慧, 十歲能屬文. 莊遊山, 使朏命篇, 攬筆便就, 莊撫其背曰 ‘眞吾家千金.’ 仕至中書監․司徒․衛將軍.”하고 江淹 有意注+③ 劉璠梁典曰 “江淹, 字文通, 濟陽人. 六歲能屬詩, 及長, 愛奇尙異. 宋桂陽王擧秀才, 齊興, 爲豫章王記室, 天監中, 爲金紫光祿大夫.” 鍾嶸詩品曰 “文通, 詩體總雜, 善於摹擬, 筋力於王微, 成就於謝脁. 初淹罷宣城郡, 遂宿冶亭, 夢一美丈夫, 自稱郭璞, 謂淹曰 ‘吾有筆, 在卿處多年矣, 可以見還.’ 淹探懷中, 得五色筆, 以授之. 爾後爲詩, 不復成語, 故世傳江淹才盡.”니이다하다


9-29 【】 〈남조南朝 세조世祖(무제武帝 소색蘇賾)가 왕복사王僕射(왕검王儉)에게 물었다.
“당대에 누가 오언시를 잘 짓는가?”注+① ≪남제서南齊書≫ 〈왕검열전王儉列傳〉에 말하였다. “왕검은 중보仲寶로, 낭야瑯琊 임기臨沂 사람이다. 조부는 왕담수王曇首이고, 부친은 왕승작王僧綽이다. 왕검이 태어났을 때 왕승작이 살해당하여 〈숙부 왕승건王僧虔에게 양육되었는데〉 어린 나이에 〈예녕후豫寧侯의〉 작위를 습봉襲封하고, 천자를 배알하고 를 받을 때 눈물을 흘리면서 오열하였다. 어릴 때부터 멋진 풍모가 있었고, 온 마음을 기울여 학문에 정진하여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다. 〈남조南朝 고제高帝(소도성蕭道成)가 태위太尉의 신분이었을 때 그를 장사長史로 발탁하고, 〈제나라 건국 이후에〉 상서복야尙書僕射로 승진하였다.”
왕복야가 대답하였다.
사비謝朏는 그의 부친 〈사장謝莊의〉 기름진 살을 얻었고,注+② ≪남사南史≫ 〈사비열전謝朏列傳〉에 말하였다. “사비는 경충敬冲으로, 사장謝莊의 아들이다.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지혜로워 10세에도 글을 잘 지었다. 사장이 에서 유람할 때 사비에게 문장을 짓게 하자, 붓을 잡자마자 바로 완성하였다. 사장이 그의 등을 쓰다듬으면서 ‘정말 우리 집안의 천금 보배로구나.’ 하였다. 관직이 중서감中書監사도司徒위장군衛將軍에 이르렀다.” 注+유번劉璠의 ≪양전梁典≫에 말하였다. “강엄江淹문통文通으로, 제양濟陽 사람이다. 6세에 시를 잘 지었고, 장성해서는 기이한 시풍을 좋아하고 숭상하였다. 〈남조南朝 계양왕桂陽王(유휴범劉休範)이 수재秀才로 천거하고, 나라가 건국된 뒤에는 예장왕豫章王(소억蕭嶷)의 기실記室이 되며, 〈 무제武帝천감天監 연간(502~519)에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가 되었다.”
종영鍾嶸의 ≪시품詩品≫에 말하였다. “강문통江文通(강엄江淹)은 시체詩體가 종합적으로 다양하고 모방에 뛰어났는데, 〈남조南朝 나라의〉 왕미王微를 배워 근력을 얻고, 나라의 사조謝脁를 배워 완성하였다. 예전에 강엄이 선성태수宣城太守를 그만두고 〈귀향하는 길에〉 마침내 야정冶亭에서 묵었는데, 꿈에 곽박郭璞이라고 자칭하는 잘생긴 사나이 한 명이 나타나 강엄에게 ‘내 소유의 붓이 그대에게 있은 지 여러 해이니, 돌려받아야겠소.’ 하니, 강엄이 품속을 더듬어 오색 붓을 찾아 그에게 주었다. 그 뒤에 시를 지었지만 더 이상 좋은 시구를 완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이 강엄의 재주가 바닥났다고 전하였다.”


역주
역주1 茅土 : 천자가 제후를 봉할 때 주는 흙으로, 제후로 봉해진 지역의 방위에 맞는 色土, 즉 동방은 靑土, 서방은 白土, 남방은 赤土, 북방은 黑土를 흰 띠에 싸서 주어 社를 세우게 하였다.(≪書經≫ 〈禹貢〉)
역주2 土山 : 江寧城에서 25리 쯤 되는 곳으로, 謝安이 會稽의 東山을 본떠서 만들고는 기생을 데리고 노닐던 곳이다.(≪世說音釋≫, ≪世說箋本≫)
역주3 의도를……있습니다 : 원문의 ‘有意’는 歇後(뒤끝을 흐리는 말)의 말이다. 의도를 갖고 시를 지으니, 그의 재주가 높은 경지에 이르지 못했다는 말이다.(≪世說啓微≫)
역주4 (上)[土] : 저본에는 ‘上’으로 되어 있으나, 安永本에 의거하여 ‘土’로 바로잡았다.

세설신어보(2) 책은 2023.12.1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